분류 전체보기 14155

1,000 여가지 요리레시피

1,000 여가지 요리레시피 흰콩 닭고기 덮밥 흰살생선과 흑미밥 흰떡 라자냐 흑미 토마토컵 흑미주먹밥 흑미영양밥 흑미보리팥밥 흑미마늘리조토 회덮밥 홍화솥밥 홍합미역국밥 호박현미밥 호박잎쌈밥 호박볶음밥 현미찹쌀 율무밥 현미잡곡영양밥 현미잡곡밥 현미오곡밥 허브리조토 허브꽃초밥 햅쌀밤밥 햄초밥 해초현미비빔밥 해초비빔밥 해주비빔밥 해물짬뽕밥 해물솥밥 해물리조또 해물그라탱 해물 빠에야 해물 볶음밥 피클김밥 피클김밥2 피시커틀릿슬라이스초밥 푸실리미트소스 표고버섯볶음밥 팽이덮밥 팥밥 파프리카샐러드초밥 파프리카 흑미볶음밥 파슬리 볶음밥 파래볶음멸치주먹밥 톳고구마솥밥 토마토볶음밥 토마토리조토 태국식 닭고기숙주덮밥 탄두리치킨과카레샤프란 콩조림주먹밥 콩나물비빔밥 콩나물비빔밥2 콩나물북어국밥 콩나물버섯밥 콩나물밥 콩나물밥2 ..

장수 비법 중 하나인 '비타민K'

장수 비법 중 하나인 '비타민K' 비타민K 혈중 농도가 적절한 사람은 더 오래 산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터프스대 연구팀은 54~76세의 미국인 400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참가자들을 비타민K 혈중 농도에 따라 적정군과 부족군으로 분류했다. 그 결과, 비타민K 혈중 농도가 낮은 사람은 적정한 비타민K 혈중 농도를 가진 사람보다 사망 위험이 19% 더 높았다. 연구팀은 이번 결과에 대해 비타민K가 혈관 조직을 튼튼하게 해 질병 위험을 낮추기 때문으로 추측했다. 비타민K는 건강한 혈관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영양소로 알려져 있다. 녹황색 채소인 상추, 케일, 시금치, 치커리 등에 많이 들었다. 콩기름, 캐놀라유 같은 일부 식물성 기름에도 함유돼 있다. 하루 비타민K 적정 섭취량은 성..

발바닥 '굳은살' 위치에 따른 의심 질환

발바닥 '굳은살' - 위치에 따른 의심 질환 둘째발가락 밑에 계속 굳은살이 생긴다면 엄지발가락이 휘는 무지외반증일 수 있다. 걸을 때 체중이 많이 실리는 부위에 굳은살이 생기기 쉽다. 보통 발 뒤꿈치나 발가락 아래 튀어나온 부분에 생기는데, 다른 곳에 굳은살이 생겼다면 건강에 이상이 있을 수도 있다. 발바닥 굳은살 위치에 따른 의심 질환을 알아본다. 둘째발가락 둘째발가락 밑에 생기는 굳은살은 무지외반증의 신호일 수 있다. 무지외반증은 엄지발가락이 검지 쪽으로 굽는 질환이다. 무지외반증이 있으면 걸을 때 땅에 닿는 발바닥 면적이 비정상적으로 넓어져 발 안쪽에 체중이 과하게 실린다. 따라서 무의식적으로 둘째발가락에 힘을 주고 걷게 돼 이 부위에 굳은살이 생긴다. 새끼발가락 새끼발가락이나 그 주변에 굳은살이 ..

診斷學/망진 2021.08.08

하지마비 - 침구 요법

하지마비 - 침구 요법 ‘욕치기질 선치기심' 마비는 신경계통의 장애로 인하여 몸의 일부나 어떤 장기의 기능이 정지되는 상태 또는 그 병을 말한다. 운동마비와 지각마비가 있다 운동마비는 근육의 수의(隨意) 운동이 감약(減弱), 또는 소실된 상태를 말하며 의지에 속하는 신체 각 부의 근육이 의지의 명령에 따라 운동하지 않는 것으로 완전 마비와 불완전 마비가 있다. 완전 마비는 그 부분의 운동이 아주 없어져 경미한 정도의 수의 운동조차 할 수 없으며, 불완전 마비는 운동력이 매우 감쇠하는 것을 말한다. 마비의 원인은 소아마비와 중풍 후유증 마비 그리고 사고에 의한 마비가 대표적이다 ■ 침구 요법 침 자극은 움직이지 않는 쪽의 쇼크 받은 신경을 깨어나게 할 수 있는 특징적인 방법이다. 다시 말해서, 중풍을 치료..

묘향산(妙香山)

묘향산 높이 1,909m. 묘향산맥의 주봉을 이루며 예로부터 동금강(東金剛)·남지리(南智異)·서구월(西九月)·북묘향(北妙香)이라 하여 우리 나라 4대 명산의 하나로 꼽혔다. 또한, ‘수이장(秀而壯)’이라 하여 산이 빼어나게 아름다우면서도 웅장한 모습을 지닌 명산으로 알려졌다. 일명 태백산(太白山 또는 太佰山) 혹은 향산(香山)이라고도 한다. 묘향(妙香)은 불교용어로 기향(奇香)을 말하는데, 이것은 《증일아함경 增一阿含經》에 나오는 말이다. 묘향에는 다문향(多聞香)·계향(戒香)·시향(施香) 3종이 있으며, 이것은 역풍·순풍이 불 때 반대 방향에도 냄새를 풍기는 수묘(殊妙)한 향기를 말한다. 이 산에는 향목·동청(冬靑) 등 향기로운 나무가 많아 고려시대 이전부터 묘향산이라 지칭하였다. 태백산에서 ‘백(佰·白..

구월산(九月山)

구월산 황해도 신천군 용진면과 은율군 남부면·일도면에 걸쳐 있는 산. 높이 945m. 우리 나라 4대 명산 중의 하나. 기반암은 흑운모화강암으로 되어 있다. 심한 풍화작용으로 도처에 기암 절벽이 형성되고 그 사이에 작은 내가 흘러 풍치가 아름다운 곳이 많아 명승지를 이룬다. 아사달산(阿斯達山)·궁홀(弓忽)·백악(白岳)·증산(甑山)·삼위(三危)·서진(西鎭) 등으로도 불린다. 구월산이라는 말은 이 산이 소재하는 구문화현(舊文化縣)의 고구려 시대의 지명인 궁홀, 또는 궁올(弓兀)에서 유래하였다고 전하는데 이것이 궐구(闕口)로 변하였고, 다시 미화되어 구월산으로 되었다는 이야기가 있다. 또한 민간인 사이에서는 단군(檀君)이 아사달에서 9월 9일에 승천하여 신(神)이 되었으므로 구월산이라 일컫게 되었다는 이야기도..

음식디미방(요리서적)

음식디미방 1670년경 [ 閨壺是議方 ] 목차 장계향의 당부 400년 전의 진귀한 음식 조리법 146가지 『음식디미방』에 기록된 음식 내용 어머니의 어머니에게서 내려온 비법, 맛질방문 조선시대의 식품 조리서는 주로 남성에 의해 한문으로 쓰였고, 중국의 문헌을 그대로 옮겨놓은 경우도 많았다. 그런 상황에서 당대 여중군자(女中君子)로 불릴 정도로 덕망이 높은 여성이, 오랫동안 가정에서 실제로 만들어왔거나 외가에서 배운 조리법 백여 가지를 후손에게 전해주기 위해, 그것도 많은 여성들이 쉽게 읽고 사용할 수 있도록 한글로 정리한 책이 있었다. 1670년(현종 11년)경에 정부인 안동 장씨라 불리던 장계향(張桂香, 1598~1680)이 남긴 『음식디미방』이다. 가로 18cm, 세로 26.5cm 크기 종이에 표지 ..

국, 찌개 - 맛있는 국물내기 요령법

국, 찌개 맛있게 끓이는 국물내기 요령법 한국인의 상차림에서 빼놓을 수 없는 게 바로 국과 찌개 같은 국물음식이지 않을까 싶은데 혹시 여러분들 생각도 저와 같나요? 국 찌개 맛있게 끓이는법 찌개 국의 생명은 국물이 맛있어야 하는데, 그래서 오늘은 몇 가지 국물내기 요령을 익혀 두면 국이나 찌개, 전골 등 맛내기가 한결 쉬워지는 요령법을 함께 공유하고자 합니다. 그럼 바로 시작해볼께요 ​ ​ ■ 국 맛있게 끓이기 미역국 *맑은 장국 고기국, 미역국, 콩나물국같이 국물이 말간 국을 말간 장국이라고 합니다. 간은 보통 국간장과 소금으로 하며 시원한 맛을 내는 게 포인트라 할 수있겠죠^^ ​ 처음에는 국간장으로 간을 하고, 나중에 간을 더하려면 간장 대신 소금을 넣어줍니다. 간장으로만 간을 하면 국물의 색이 자..

조선시대의 궁중음식 상차림

조선시대의 궁중음식 상차림 집안의 행사가 있다던지 아주 특별한 날 차려지는 궁중음식들, 색색이 화려하고 너무나도 예뻐서 정말 먹기가 아까울 정도인데 우리나라 역사에서 음식문화가 가장 발달했던 곳도 바로 궁중입니다. ​ 어찌됐든 그만큼 조선시대의 궁중음식은 문헌으로 잘 전해져 현대 상차림에도 많이 응용이 되고 있습니다. ​ 갖은 재료로 준비하는 궁중음식 궁중에서는 평이리 대전, 중전, 대비전, 대왕대비전에 네 차례의 식사를 올렸습니다. 이른 아침에 제공하는 초조반상, 점심의 낮것상, 아침과 저녁에 올리는 수라상이 그것인데요. ​ 초조반상에는 주로 소화가 잘 되고 부담이 적은 음식을 올립니다. 죽과 국물이 있는 물김치, 소금, 새우젓으로 간한 맑은 조치가 대표적입니다. 죽의 재료로는 갖은 야채와 곡물, 고기..

중국 병법의 결정체 - 삼십육계 (三十六計)

중국 병법의 결정체 - 삼십육계 (三十六計) ' 삼십육계 줄행랑( 走爲上策) ' 이 기록되어 있는 는 무슨 책인가? 는 중국인의 지략을 집대성한 책으로서 저자와 집필 연대는 확실하지 않지만, 대개 5세기까지의 고사를 명나라 말에서 청나라 초기에 수집하여 만들어진 것이라고 전해지고 있다. 1941년 산시성 빈현에서 재발견되어 시류를 타고 대량으로 출판되었다. 저자는 어느 한 사람이 어느 한 시대에 지었다고 볼 수 없고, 중국에서 옛날부터 전해지는 병서의 정수를 모은 책으로 알려지고 있다. ​ 가 처음 정사에 등장한 것은 지금으로부터 1500년 전 남북조 시대의 남제(南齊,479~502년)역사를 기록한 에 '단공의 삼십육 책 중 주위상책 (走爲上策)이 으뜸이다'라는 기록이 시초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책(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