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化 遺跡 234

상사화 향연 - 직지사 / 사명대사공원 탐방

상사화 향연 - 직지사 / 사명대사공원 탐방 ♥ 탐방일 : 2022. . 9. 21 (맑음) ♥ 탐방경로 : 사명대사공원 ~ 직지사 ♥ 탐방인 : 초암과 여사 경북 김천 직지사 경내 꽃무릇 군락지에 붉은 꽃이 활짝 피어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김천시는 2019년 5월 천년고찰 직지사 입구에서 만세교 산책로 구간에 꽃무릇 21만본을 심었습니다. 올해 처음 꽃이 만개해 유난히 길었던 장마와 여러번의 태풍을 이겨내고 시민들의 휴식공간이 되고 있습니다. 꽃무릇은 9월에서 10월 사이에 붉은 꽃을 피우는 다년생 식물입니다 꽃이 먼저 피고 꽃이 진 다음에 잎이 자라나는 특성이 있어 꽃과 잎이 한번도 만나지 못해 이뤄 질 수 없는 사랑을 뜻하는 ‘상사화(相思花)’라고도 불립니다. ■ 직지사 [ 直指寺 ] 경상북..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사찰 - 구례 구층암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사찰 - 구례 구층암 기둥으로는 절대로 안 될 것 같다는 고정관념을 버리게 한 구례 화엄사 구층암 모과나무 기둥은 세월이 지날수록 보는 이로 하여금 용기와 희망을 준다.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이 모과나무 기둥을 보러 온다. 모과나무 기둥 부처님께 삼배를 올리다 지리산에서 뜨는 달이 장관이고 주변의 뭇 산봉우리들이 촘촘히 늘어서 층층이 부처님을 둘러싸고 있어 아름답다. 별빛과 달빛이 허공에 가득하며, 너울거리는 대나무 그림자는 산사의 여유를 만끽 할 수 있다. 뎅그렁! … 아무생각 없이 그냥 쉬고 싶은 곳 지치고 힘들 땐 아무생각 없이 그냥 쉬고 싶은 사찰, 요즘 말로하면 멍 때리기 좋은 꿈결 같이 포근한 곳이 구례 화엄사 구층암이다. 화엄사 대웅전을 뒤로하고 잠시 걸으면 조릿대 ..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사찰 - 경주 분황사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사찰] 경주 분황사 원효, 요석궁으로 간 까닭을 말하다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화강암보다 더 단단한 안산암을 벽돌처럼 만들어 9층으로 쌓아 올렸으나 지금은 3층만 남아있다. 신라 경주의 모습을 에서는 “절과 절은 뭇별처럼 늘어서 맞닿아 있고, 탑과 탑은 기러기처럼 날아갈 듯 솟아있다(寺寺星長 塔塔雁行)”고 했다. 왕릉의 부드러운 곡선과 불국사, 석굴암, 성덕대왕신종이 놀랍고 희유하지만 이것만 경주에 있는 것은 아니다. 분황사에는 세상 사람들을 뜨거운 가슴으로 품은 원효가 있어 좋다. 원효는 , , , 등 107종 231권 대부분을 분황사에서 저술했다. 특히 ‘제4 십회향품’에 이르러 붓을 꺾고 말았는데 보현보살의 원행(願行)만이 깨달음을 증득하는 것임을 느끼고 중생구제를 위해 ..

여름 여행의 맛 - 청도읍성 / 꽃자리(카페)

여름 여행의 맛 - 청도읍성 / 꽃자리(카페) ♥ 여행일 : 2022. . 7. 17 (맑음) ♥ 여행 경로 : 청도읍성 / 꽃자리(카페) ♥ 여행인 : 초암 가족 ■ 청도읍성 경상북도 청도군 화양읍 교촌리에 있는 읍성이다 경상북도 기념물 제103호. 청도읍의 중심에 축조된 읍성으로 평면이 사각형 형태이다. 원래의 성은 고려시대 때부터 있었으며 석성과 토성을 혼합해서 쌓은 것이었다. 조선시대 선조 때 부산에서 서울을 향하는 주요 도로변 성지를 일제히 수축하는 과정에서 청도군수 이은휘가 석축으로 다시 쌓은 것으로 1590년(선조 23)에 착수하여 1592년(선조 25)에 준공하였다. 성의 규모는 둘레가 1.88km, 높이가 1.7m, 성가퀴(성 위에 덧쌓은 낮은 담)600첩이었다. 산성과 평지성과의 중간형..

한천서원 / 화전대회 탐방

한천서원 / 화전대회 탐방 ♥ 탐방일 : 2022. 3. 27 (맑음) ♥ 탐방인 : 초암 그리고 여사 ■ 한천서원(寒泉書院) 달성군 가창은 예로부터 물이 차다고 해서 냉천(冷泉)이라고도하고 한천(寒泉)이라고도 했다. 그래서 이곳 서원 이름도 한천서원으로 지었는지 모른다. 한천서원에는 고려 개국공신인 전이갑(全以甲)과 의갑(義甲)형제가 사촌동생 락(樂)과 함께 모셔 있다. 이렇듯 세분 충신을 모신다하여 삼충서원(三忠書院)으로도 불린다 전이갑, 전의갑 두 장수는 918년 동수대전 때 신숭겸, 김락과 더불어 왕건을 구해내면서 장렬히 전사한 고려 개국 공신들이다. 전이갑의 후손들은 재실을 지어 전이갑, 전의갑 양 공의 높은 충의를 기려왔다. 한천서원이 재실 수준을 뛰어넘어 다시 서원의 위상을 되찾은 때는 19..

경주 불국사(慶州 佛國寺)의 놓치기 쉬운 볼거리

경주 불국사의 놓치기 쉬운 볼거리 경주 불국사의 눈여겨 볼거리가 있는 곳 눈 온 날의 자하문​ ​ 불국사에 들어서면 큰 규모로 인하여 대충 둘러보아도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그러다보니 찬찬히 둘러보지 않고 청운 백운교, 다보탑,석가탑 등 널리 알려진 것만 보게 되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조금만 눈을 돌리면 다른 곳에서는 결코 볼 수 없는 우수한 문화재들이 곳곳에 널려 있으며 우리 선조들의 예술적 미각(美覺)에 감탄하지 않을 수 없는 유물들이 많다. 1, 자하문의 휘어진 계량(繫樑-들보) 자하문(紫霞門)은 대웅전으로 들어가는 중문으로 대석축에 위에 세워져 있으며 그 앞에는 청운교(靑雲橋)와 백운교(白雲橋)가 놓여 있다. 평면이 정면 3칸, 측면 2칸인 다포계 겹처마 팔작지붕 건물로서 가운데 판문을 달아 여..

韓國 五大 書院과 유네스코 '世界文化遺産' 登載 九大 書院

韓國 五大 書院과 유네스코 '世界文化遺産' 登載 九大 書院 우리나라에는 1542년 풍기군수 주세붕이 백운동서원을 설립하여 이 나라 청소년들을 교육시켜온 이래 약 오백년 동안 서원이라는 사립대학이 각 고을 마다 무수히 설립되어 청소년들을 교육시켜왔다. 서당이 아동들에 대한 기초교육을 담당했다면 서원은 본격적으로 고등교육을 담당하여 나라의 인재를 길러내는 역할을 하였고, 또 선현.향현을 제사지내는 역할도 담당하면서 유교적 향촌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 지방관의 시정을 비판하는 사림의 의견을 모으는 등 향촌사회의 구심점 역할을 다 하였다. 한 나라에 수백년 동안 수백개의 사설교육기관이 존재해 온 것은 세계사적으로 그 유래를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제도로, 유네스코에서도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9개 서원을 '세계문화..

고산서당 화재 - 고산서당과 보호수

고산서당 (孤山書堂) 과 보호수 대구시 문화재자료 제 15호인 대구 수성구 성동 고산서당이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불로 피해를 입었다. 2021. 12. 20일 대구소방안전본부와 대구 수성소방서에 따르면 이날 오전 3시57분쯤 고산서당 내 고택 건물 중 가장 큰 본당 건물에서 불이 났다는 신고가 접수됐다. 소방당국은 차량 20대, 인력 68명 등을 투입해 29분동안 진화작업을 벌여 불을 껐다. 고산서당은 퇴계 이황 선생과 우복 정경세 선생이 강론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이 건물은 수성구에서는 유일하게 문화재로 지정된 서당(원) 건축물이며, 지난해인 2020년 건물 복원사업이 완료됐다 퇴계 이황 선생이 머무르며 제자들을 가르쳤던 고산서당이 지난 20일 새벽 화재로 잿더미가 됐다. 대구시 지정 문화재 제15호이..

우리땅 역사 기행 - 팔공산 마애약사여래좌상 / 팔공산동봉석조약사여래입상

우리땅 역사 기행 - 팔공산마애약사여래좌상 / 팔공산동봉석조약사여래입상 ■ 일시 : 2021. 11. 26 (맑음) ■ 기행로 : 수태골 - 서봉 - 마애여래좌상 - 비로봉 - 동봉석조약사입상- 동봉 - 수태골 ■ 기행인 : 초암 독행 팔공산(八公山) 대구시 동구와 경상북도영천(永川)ㆍ군위군(軍威郡) 사이에 있는 산. 해발 1,192.3이다 대구광역시 중심부에서 북동쪽으로 약 20㎞ 떨어진 지점에 솟은 대구의 진산이다. 남쪽으로 내달리던 태백산맥이 낙동강·금호강과 만나는 곳에 솟아 행정구역 상으로는 대구광역시 동구에 속하지만, 영천시·경산시·칠곡군·군위군 등 4개 시·군이 맞닿는 경계를 이룬다. 주봉인 비로봉(毘盧峰)을 중심으로 동·서로 20㎞에 걸쳐 능선이 이어진다. 남쪽에 문암천(門岩川), 북쪽과 동..

우리땅 역사 기행 - 경산 용산 / 용산산성

우리땅 역사 기행 - 경산 용산 / 용산산성 ■ 일시 : 2021. 11. 23 (맑음) ■ 담방지 : 곡신리회관 - 용산산성 - 용산 - 곡신리회관 ■ 답방인 : 초암 그리고 반려자 ■ 용산산성[ 龍山山城 ]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용산리 산 15에 있는 신라시대의 성지(城址). 경상북도 기념물 제134호이다. 경상북도 경산시 용성면 해발 435m 용산의 정상 아래를 둘러싼 형태의 산성으로, 경사가 완만한 동·남쪽으로는 돌을 쌓았으며, 경사가 급한 서·북쪽으로는 돌과 흙을 이용하여 쌓았다. 용산산성은 남북이 긴 장방형으로 당시에는 경주~청도~경산~대구를 잇는 요충지였다 지금 남아있는 성의 총 둘레는 1,481㎞이며, 성벽의 높이는 약 1.5∼2.5m이다. 동쪽의 성벽은 내외 2중 성벽의 형태를 취하였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