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진 정토사 연잎 탕평채 당진 정토사 연잎 탕평채 연은 뿌리를 주로 식재료로 사용하지만 최근 들어서는 연잎을 활용한 사찰음식도 늘고 있다. 연은 정화작용이 뛰어나며, 몸의 해독에 효능이 크다. 당진 정토사에서는 연잎을 활용해 탕평채를 만든다. 묵은 곡식을 맷돌에 갈아 앉힌 후 그 앙금을 죽 쑤듯 되게 .. 飮食 漫步/사찰음식 2016.09.23
갓과 삼겹살 찜 매채구육(梅菜扣肉) 갓과 삼겹살 찜 매채구육(梅菜扣肉) (사진설명: 갓과 삼겹살찜) 스토리: 갓과 삼겹살 찜 매채구육(梅菜扣肉)은 조리에 능한 소동파(蘇東坡)가 개발한 명사음식이다. 중국에는 삼겹살요리가 아주 많고 그 중에서 삼겹살을 뭉근히 끓이는 조리법이 가장 많다. 지역별로 다양한 이름..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09.23
남경의 오리구이 금릉고압(金陵烤鴨) 남경의 오리구이 금릉고압(金陵烤鴨) (사진설명: 남경의 오리구이) 스토리: 남경의 오리구이 금릉고압(金陵烤鴨)은 고도 남경의 유구한 역사를 보여주는 명사음식이다. 6천여년의 문명사와 2600여년의 도시사, 500여년의 도읍사를 보유하고 중국 4대 고도, 여섯 왕조의 도읍이라는 ..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09.23
두가지 맛의 가물치 요리 장군과교(將軍過橋) 두가지 맛의 가물치 요리 장군과교(將軍過橋) (사진설명: 두가지 맛의 가물치) 스토리: 두가지 맛의 가물치 요리 장군과교(將軍過橋)는 한 가지 식재를 두 가지 조리법으로 만든 강소(江蘇) 양주(揚州)의 명사음식이다. 양주의 사람들은 몸집이 검고 포악한 생선 가물치를 용궁의 장군으로..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09.23
두부만두요리 주홍무두부(朱洪武豆腐) 두부만두요리 주홍무두부(朱洪武豆腐) 일명 봉양양두부 (鳳陽釀豆腐) (사진설명: 두부만두요리) 스토리: 두부만두요리 주홍무두부(朱洪武豆腐)는 일명 봉양양두부 (鳳陽釀豆腐) 라고도 하는 안휘(安徽) 봉양의 정통요리로 황제가 어려울때 맛을 들인 명사음식이다. 전한데 의하면 명(明)..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09.23
문인의 어두찜 타초어두(剁椒魚頭) 문인의 어두찜 타초어두(剁椒魚頭) (사진설명: 문인의 어두찜) 스토리: 문인의 어두찜 타초어두(剁椒魚頭)는 일명 대운이 튼다는 의미의 홍운당두(鴻運當頭), 문을 열면 길함이 도래한다는 의미의 개문홍(開門紅) 등으로도 부르는 정통 호남(湖南)요리이다. 타초란 작고 매운 붉은 ..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09.23
생선과 샐러리요리 강태공어근(姜太公魚芹) 생선과 샐러리요리 강태공어근(姜太公魚芹) (사진설명: 그림으로 보는 강태공 낚시) 스토리: 생선과 샐러리요리 강태공어근(姜太公魚芹)은 이름 그대로 강태공이 만든 산동(山東)의 정통요리이다. 전한데 의하면 강태공 강자아(姜子牙)가 주무왕(周武王)으로부터 제(齊)나라 영구(營口), ..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09.22
야채 모듬찜 돈채핵(燉菜核) 야채 모듬찜 돈채핵(燉菜核) (사진설명: 야채 모듬찜) 스토리: 야채 모듬찜 돈채핵(燉菜核)은 많은 명인들이 유난히 좋아한 중국 중부 남경(南京)의 정통요리이다. 이 야채 모듬찜은 필히 뚝배기에 조리해야 야채 최고의 맛을 낸다. 중국인들은 뚝배기가 식재의 맛을 잘 유지한다고 인정하..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09.22
사관학교의 계란요리 황포초단(黃埔炒蛋) 사관학교의 계란요리 황포초단(黃埔炒蛋) (사진설명: 사관학교의 계란요리) 스토리: 사관학교의 계란요리 황포초단(黃埔炒蛋)은 황포사관학교 총장으로 있은 장개석(蔣介石)의 식탁에 끼니마다 오른 명사음식으로 대표적인 광동(廣東)요리이다. 사실 황포초단은 황포사관학교에..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09.22
대인이 모듬찜 이홍장대잡회(李鴻章大雜烩) 대인이 모듬찜 이홍장대잡회(李鴻章大雜烩) (사진설명: 대인의 모듬찜) 스토리: 대인이 모듬찜 이홍장대잡회(李鴻章大雜烩)는 청(淸)왕조때의 신하 이홍장이 개발한 명사음식이다. 전한데 의하면 1896년 안휘 출신의 이홍장이 황제의 어지를 받들고 러시아에 가서 2세 니콜라의 대..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09.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