食餌 最强 1278

건강 약주 - 낭파초주

건강 약주 - 낭파초주 가막사리는 국화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로 낭파초(狼把草) 또는 털가막사리라고도 한다. 전국 각지의 개울가, 습지, 밭둑, 길섶에서 쉽게 볼 수 있다. 원산지는 한국이고, 일본 ․ 오키나와 ․ 대만 ․ 중국 ․ 유라시아 ․ 북아프리카 ․ 오스트레일리아에 분포한다. 키는 1백20~1백50센티미터까지 자라고, 전체에 털이 나 있다. 잎은 마주 나는데, 톱니가 있거나 3~5개로 갈라진다. 밑쪽에 난 것은 바소꼴이고, 가운데에 난 것은 긴 타원형의 바소꼴이다. 8~10월경에 지름 25~35mm의 노란색 꽃이 원줄기 끝이나 가지 끝에 1개씩 핀다. 열매는 10~11월에 익는데, 열매가 익어도 터지지 않고 다른 것에 붙어서 종자를 산포한다. 가막사리를 약으로 쓸 때는 달이거나 생즙을 내서 사용한..

건강 약주 - 감초주

건강 약주 - 감초주 모든 일에 꼭 끼어드는 사람을 일컬어 흔히 ‘약방의 감초’라 한다. 감초가 약을 지을 때 꼭 들어가기 때문에 생긴 말이다. 이처럼 감초가 모든 약에 들어가는 것은 약재의 성질을 중화시키고 해독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이다. 실제 부자와 같은 극약(劇藥)을 잘못 먹어 혀가 굳어지고, 가슴이 터져나갈 것 같을 때 감초와 검정콩을 같은 양으로 넣고 진하게 달여 마시면 이내 해독되는 효과가 나타난다. 감초는 시베리아, 몽고, 중국 북부 등지에서 자생하는 콩과의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키는 30~70cm 정도 자라고, 7~8월에 연분홍색의 꽃이 핀다. 봄과 가을에 뿌리를 채취하여 석양빛에 말려 쓴다. 우리나라에서는 생육(生育)되지 않아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감초는 일명 국노(國老)라고 한다. ..

건강 약주 - 녹제초주

건강 약주 - 녹제초주 노루발풀은 노루발풀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이다. 야트막한 산지의 그늘지고 축축한 곳에서 자란다. 풀로서는 드물게 소나무나 전나무처럼 사시사철 푸른 잎을 유지하는 게 특징이다. 녹제초(鹿蹄草) 녹수초(鹿壽草) 녹함초(鹿銜草) 파혈단(破血丹)이라고 부르기도 하고, 겨울철에 푸른 잎을 간직하고 있다고 하여 동록(冬綠)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생태적 특성으로 볼 때 노루발풀의 잎은 두꺼우면서 둥근 모양으로 뿌리 가까이에 2~8개 뭉쳐난다. 앞면은 짙은 초록색으로 윤기가 있고, 뒷면은 자줏빛을 띠며, 잎맥 부분은 연한 초록색이다. 6~7월에 길이 20센티미터 가량의 꽃 줄지가 나와 흰색의 작은 꽃들이 핀다. 7~8월에 납작하고 둥근 갈색의 열매가 익어 5개로 갈라진다. 약성은 풀 전체에 있..

건강 약주 - 장뇌목주

건강 약주 - 장뇌목주 녹나무는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 활엽 교목(喬木)이다. 사시사철 잎이 늘 푸르기 때문에 녹나무라 부르며, 장뇌목(樟腦木) 또는 장수(樟樹)라고도 부르기도 한다. 우리나라의 제주도와 일본 · 타이완 · 중국 · 인도네시아 등지에 분포하며, 깊고 기름진 토양이나 그늘진 곳에서 잘 자란다. 나무껍질은 어두운 갈색이고, 새 가지는 연둣빛으로 윤이 나면서 털이 없다. 잎은 계란 모양의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톱니가 있다. 4~6월에 백황색 또는 녹색의 작은 꽃이 피고, 9~10월에 흑자색(黑紫色)의 둥근 열매가 익는다. 녹나무는 나무 전체에서 향기가 나는데, 강한 방향성(芳香性)으로 나무가 썩지 않고 벌레가 먹지 않는다. 때문에 옛날부터 왕족의 관(棺)을 만드는 데 많이 이용하였다. 또..

건강 약주 - 유피주

건강 약주 - 유피주 느릅나무는 느릅나무과에 속하는 낙엽활엽수이다. 우리나라 전지역 산골짜기의 물기 많은 곳이나 개울가에서 잘 자란다. 3월에 황갈색의 작은 꽃이 잎보다 먼저 피고 열매는 5~6월에 익는다. 전체적인 모양이 느티나무와 흡사하다. 소충나무 또는 누룽나무라 부르기도 한다. 껍질이 몹시 질겨 옛날에는 껍질을 꼬아서 밧줄이나 옷을 만드는데 쓰기도 했다. 또 물속에서 잘 썩지 않기 때문에 교량이나 배를 만들 때 많이 썼다. 느릅나무는 식용(食用)과 약용(藥用)으로 두루 쓰이는데, 약성이 주로 줄기껍질과 뿌리껍질에 있다. 줄기껍질을 약재명으로 유피(楡皮)라 하고, 뿌리껍질을 유근피(楡根皮)라 한다. 소염과 이뇨에 큰 효과가 있다. 느릅나무는 음(陰)의 성질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껍질을 채취하거나 ..

'근육' 지키는 단백질 식품 10가지

'근육' 지키는 단백질 식품 10가지 '근테크' 라는 말이 있다. 100세 시대 건강하게 살려면 돈만큼 중요한 것이 '근육'이라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 생겨난 말이다. 근육을 지키려면 꾸준한 운동과 함께 단백질 섭취가 중요하다. 특히 50대 이상 중장년층에게는 단백질 식품이 필수다. 최근 단백질을 아침·점심·저녁 등 세 끼 식사 때 각각 5g·10g·30g 등 저녁에 몰아서 섭취하지 않고, 매끼 균등하게 먹으면(각각 15g) 신체 기능과 단백질 합성이 개선되고 근육 비율도 높아진다는 전문가 조언이 제시됐다. 3일 서울 용산구 삼경교육센터에서 열린 ‘생애전환기(50세 +)의 식사안내서 소개 및 특정 영양소 조절 식품개발 워크숍’에서 주제 발표를 한 국민대 식품영양학과 박희정 교수는 “50∼64세 남성은 면역..

피스타치오

피스타치오 피스타치오(Pistachio) 는 옻나무과에 속하며 원산지는 중앙아시아, 서아시아이다. 터키, 이탈리아 등 지중해 연안과 이란 등에 분포한다. 구약성서 창세기 편에도 등장할 만큼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는 피스타치오는 중동지방에서 처음 재배되기 시작했고,독특한 맛 때문에 시바 여왕이 좋아했던 식품으로도 유명하다. 피스타치오는 익을 때 껍질이 저절로 벌어지면서 쪼개지는 소리가 들리는데, 이 소리를 들으면 행운이 찾아온다는 전설이 있어 피스타치오 나무 밑은 오랫동안 연인들의 밀월 장소가 되어왔다고 한다. 달걀 모양 비슷한 타원형이고 약간 붉은빛이 나는 노란색을 띄고 있으며 날것으로 먹거나 과자, 아이스크림의 재료로 주로 사용된다. 담배에 들어 있는 독소로부터 몸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흡연자..

건강 약주 - 담쟁이주

건강 약주 - 담쟁이주 담쟁이덩굴은 포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덩굴식물이다. 전국 어디서나 흔히 볼 수 있으며, 돌담이나 바위 또는 나무줄기에 달라붙어서 자란다. 심장 모양의 잎은 끝이 세 쪽으로 갈라지고, 톱니가 있다. 덩굴손은 잎과 마주나고, 끝에 둥근 흡착근(吸着根)이 있어 담 벽이나 암벽에 붙으면 잘 떨어지지 않는다. 6~7월에 옅은 녹색 또는 흰색의 꽃이 잎겨드랑이에서 피고, 열매는 가을에 자주색으로 익는다. 흔히 담쟁이덩굴이 나무나 바위에 달라붙어서 자라기 때문에 기생식물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다. 하지만 담쟁이덩굴은 기생식물도 반(半)기생식물도 아니다. 그 사실은 담쟁이덩굴의 밑 부분을 잘라버리면 곧 말라죽는 것을 보더라도 알 수 있는 일이다. 즉, 담쟁이덩굴은 뿌리로 수분을 흡입하고, 잎..

건강 약주 - 당귀주

건강 약주 - 당귀주 당귀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키가 1~2미터 정도로 곧게 자라는데, 줄기 전체에 자줏빛이 돈다. 잎은 날개 모양의 겹잎인데, 잔잎이 3개로 갈라진다. 7~9월에 자주색의 꽃이 핀다. 우리나라의 경상남북도와 강원·경기 지역의 산속 습윤(濕潤)한 계곡에 자생하며, 전국의 고랭지에서 재배되기도 한다. 또 중국과 일본에서 생산되기도 한다.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당귀를 참당귀·토당귀(土當歸)·숭검초·조선당귀라고 부른다. 중국 당귀는 당귀(當歸)·문귀(文歸)·건귀(乾歸)·대근(大芹)·상마(象馬)·지선원(地仙圓)이라고 하고, 일본 당귀는 일당귀(日當歸)라고도 한다. 당귀는 피가 부족할 때 피를 생성해 주는 보혈작용(補血作用)과 피를 원활히 순환하게 해 주는 활혈작용(活血作用)이 뛰..

건강 약주 - 구절초주

건강 약주 - 구절초주 구절초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종류로는 넓은 잎 구절초, 산구절초, 바위구절초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중부 이북의 야산에서 자생한다. 세계적으로는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일본·중국·만주·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높이 50센티미터 정도로 땅속 줄기가 옆으로 길게 벋으면서 번식한다. 잎은 국화와 흡사한데, 밑 부분은 편평하거나 심장 모양이고, 윗부분 가장자리는 날개처럼 갈라진다. 9월과 11월 사이에 줄기 끝에 지름이 4∼6센티미터의 연한 보라색 또는 흰색의 두상화가 한 송이씩 핀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씨는 10월에 익는다. 모양이 아름다워 관상용으로 재배하기도 한다. 구일초(九日草), 선모초(仙母草), 고봉(苦蓬)이라고도 불린다. 구절초는 향이 좋아 오늘날 향수를 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