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인 도인 복숭아는 장미과에 속한 낙엽교목인 복숭아나무의 과실이다. 예전부터 선과(仙果)라 하여 천상(天上)에서 신선(神仙)들이 먹는 과일로 인식되어 왔다. 도인(桃仁)은 복숭아의 딱딱한 씨 속에 들어 있는 알맹이다. 맛이 달고, 성질이 차다. 약성이 주로 간경(肝經)과 대장경(大腸經)에 .. 本草房/약초(ㄷ) 2014.09.02
대황 대황 대황은 여뀌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장군풀이라고도 한다. 산골짜기의 습지에서 자생하며, 농가에서 재배하기도 한다. 곧게 자란 원줄기의 높이가 1미터에 달하고, 줄기 속이 비어 있다. 잎은 넓은 달걀 모 양의 원형으로 길이가 25∼30센티미터 정도 된다. 7∼8월에 황백색의 꽃이 피.. 本草房/약초(ㄷ) 2014.09.01
계피 계피 성격 약재 유형 물품 재질 생달나무껍질 용도 약용, 식용 분야 과학/의약학 요약 녹나무과에 속하는 상록교목인 생달나무(天竹桂, Cinnamomum japonicum SIEB.)의 나무껍질로 만든 약재. 계피 / 계수나무 계피는 건위약제와 과자, 요리 및 향료의 원료로 쓰인다. 진계피나무는 녹나무과에 속.. 本草房/약초(ㄱ) 2014.09.01
고본 고본 고본(藁本)은 산형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전국의 깊은 산골에서 자생하고 있는데 특히 강원도 및 경상북도의 해발 800m이상의 고랭지대에서 주로 많이 자라고 있다. 여러 해살이 초본으로 초장은 40~80㎝정도 곧게 자라며 향기가 강한 약초이다. 잎은 뿌리잎과 3회 깃털잎으로 가늘.. 本草房/약초(ㄱ) 2014.09.01
구맥 구맥 구맥(瞿麥)은 석죽과의 여러해살이풀인 패랭이꽃을 말한다. 구맥이란 이름은 여러 방향으로 무성하게 자라는 모양을 의미하는 구(瞿)와 씨앗의 모양이 보리와 비슷하여 붙었다. 또 돌 틈과 같은 곳에서 잘 자라며, 마디가 있어서 꼭 대나무처럼 생겼다고 하여 석죽(石竹)이라고 부르.. 本草房/약초(ㄱ) 2014.09.01
감국 감국 분류 식물 > 쌍자엽식물 합판화 > 국화과(Asteraceae) 학명Dendranthema indicum (L.) Des Moul. 북한명칭 들국화 본초명 가화(家花, Jia-Hua), 감국(甘菊, Gan-Ju), 고의(苦薏, Ku-Yi), 국화(菊花, Ju-Hua), 야국화(野菊花, Ye-Ju-Hua), 황국화(黃菊花, Huang-Ju-Hua) 감국(甘菊)이란 단맛이 나는 국화라는 뜻이다... 本草房/약초(ㄱ) 2014.09.01
구절초 구절초 "구절초"란 이름의 유래는 들국화와 비슷하게 생겼는데 음력 9월9일 중양절에 채취한 것이 가장 약효가 좋다 하여 그 이름을 아홉이라는 뜻의 구와 중양절의 "절",혹은 꺽는다는 뜻의 절자를 써서 구절초라고 한다. 꽃은 보통 흰색이지만 시기에 따라 분홍빛을 띕니다. 한줄로 늘어.. 本草房/약초(ㄱ) 2014.08.29
참나무 참나무 ≪ 뼈를 튼튼하게 하는 참나무 ≫ 참나무는 우리 나라에서 제일 흔한 나무다. 흔히 도토리나 상수리가 열리는 나무를 모두 참나무라고 부른다. 떡갈나무,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갈참나무, 졸참나무, 물참나무 등 종류가 많다. 그러나 이 흔해 빠진 나무가 귀한 약이 되.. 本草房/약초(ㅊ) 2014.08.26
구골목(호랑가시나무) 구골목 (호랑가시나무) 과명 : 감탕나뭇과 학명 : Ilex cornuta Lindl. & Paxton 영명 (Horned Holly, Chinese Holly) 전주 전동 성당 ♣ 분포 한국, 중국, 일본, 대만 ♣ 용도 관상용, 약용 ♣ 나무 이야기 어릴 적 어른들은 이 나무의 잎이 날카로운 가시처럼 생긴 것을 두고 호랑이 발톱 같이 생겼다며 ‘호.. 本草房/약초(ㄱ) 2014.08.26
닥나무 닥나무 닥나무 (구피마) [構皮麻] 갈잎떨기나무 5매타가량 자라며 꽃은 암수 한그루로 잎과 함께 6월에 핀다. 수꽃은 꽃덮이 4개 수술 4개가 있고 암꽃은 끝이 2-4개고 갈라진 꽃덮이와 대가 있는 자방에 실같은 암술대가 있다. 분포는 : 전국의 양지바른 산기슭 또는 밭뚝에서 자란다 약효.. 本草房/약초(ㄷ) 2014.08.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