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155

신경 통증 - 금은화탕

신경 통증 - 금은화탕 처방 : 한약업사고령자경험방 채록집 1호의 금은화탕 금은화 초오 각 1냥(40g) 홍화 당귀미 조각자 각 5돈(20g) 대황 목단피 감초 각 7돈(28g) 천화분 백작약 적작약 산치자 각 3돈(12g) 산사 신곡 사인 각 5돈(20g) 1첩분량 + 닭1마리 약 달이는 법 큰 닭 1마리 준비하여 내장은 제거한 다음, 그 안에 법제를 마친 '금은화탕' 1첩을 넣는다. 그리고 달이는 동안 약이 밖으로 나오지 않도록 짚이나 실로 몸통을 단단히 묶는다. 물은 큰 대접으로15사발을 붓고 3사발 정도가 될 때가지 은은한 불에 약 12시간 달인다. 그리고 달인 닭을 그대로 무명자루에 넣고, 닭 속에 넣은 약이 밖으로 터져 나오지 않을 정도로 짠다. 약물에 떠 있는 기름은 먹으면 배탈이 나니 완전..

습진과 피부 반점 - ‘죽엽유방탕’

습진과 피부 반점 - ‘죽엽유방탕’ 해표제(解表劑)는 주로 육음(六淫)의 사기(邪氣)가 피부의 바깥에 있거나, 폐위(肺衛)에 침입한 증에 쓰이는 약물이다. 외감(外感) 초기에 오한, 발열, 두통, 맥부(脈浮) 등의 증상에 효과적이다. 마진(痲疹), 수종(水腫)의 초기에 표증의 증후가 나타나는 것과 풍습(風濕)이 표(表)에 있는 증상에 이르기까지 모두 쓸 수 있다. 열이 심하고, 가벼운 오한이 나며, 땀이 나거나 갈증이 심한 풍열표증(風熱表證)에는 신량해표(辛凉解表) 약물을 사용하는 반면, 신온해표(辛溫解表) 약물은 풍한표증(風寒表證)에 쓰인다. 반면 투진해표제(透疹解表劑)는 각종 마진(痲疹), 풍진(風疹), 소아 급진(急診), 성홍열, 습진과 같은 사진(疹) 등 각종 진병(疹病)의 초기에 발진이 잘 돋게..

중풍과 졸도 - 안궁우황탕

중풍과 졸도 - 안궁우황탕 개규법(開竅法)은 신혼규폐증(神昏竅閉證)을 치료하는 처방의 구성법이다. 신혼규폐증은 사기(邪氣)가 옹성(甕盛)하여 심규(心竅)를 가로막아 생기는 실증이다. 약칭으로 폐증(閉證)이라고도 한다. 임상에서 열폐(熱閉)와 한폐(寒閉)로 구분한다. 열폐는 온사(溫邪)로 인한 열독(熱毒)이 심포(心包)에 내함(內陷)하여 나타난 결과다. 치료는 청열(淸熱)과 개규(開竅)하는 데 주안점을 둔다. 이를 양개법(凉開法)이라고 한다. 한폐는 한사(寒邪)나 기울(氣鬱)로 인해 탁담(濁痰)이 심규를 가로막아 발생한다. 치료는 온통(溫通)하게 하여 개규한다. 따라서 온개법(溫開法)이라고 한다. 개규법을 사용할 때는 병증의 허실을 정확하게 분별해서 써야 한다. 사기(邪氣)가 성(盛)하여 기(氣)가 실(實..

중풍 등 신경마비 - ‘소합향환,

중풍 등 신경마비 - ‘소합향환, 개규법의 하나인 온개법(溫開法)은 중풍(中風)과 중한(中寒), 중기(中氣), 담궐(痰厥) 등 한폐증(寒閉證)을 치료하는 처방 구성법이다. 한폐증은 한사담탁(寒邪痰濁) 또는 예탁(穢濁)한 기(氣)가기기(氣機)를 막고, 신명(神明)을 몽폐(蒙蔽)하여 나타난다. 이를 음폐증(陰閉證)이라고도 한다. 주증은 한(寒)이 기기를 닫으면, 기가 오르내림을 잃게 된다. 따라서 진액(津液)이 뭉쳐 담탁(痰濁)으로 변한다. 이 같은 담(痰)은 기기를 막아 신명을 몽폐시키므로 갑자기 기절하여 인사불성 상태가된다. 또 한사(寒邪)로 인해 내폐(內閉)되면 아관긴폐(牙關緊閉), 양수악고 (兩手握固)가 나타난다. 한(寒)이 기기를 닫아 양기(陽氣)가 막히면 사지에 다다르지 못해 수족불온(手足不溫)하..

간신 음허에 의한 뇌졸중 - ‘진간식풍탕’

간신 음허에 의한 뇌졸중 - ‘진간식풍탕’ 평간식풍법(平肝熄風法)의 하나인 평식내풍제(平熄內風劑)는 내풍증, 즉 간풍(肝風)에 적용된다. 내풍증의 병인과 병기(病機)는 주로 간양상항(肝陽上亢)과 간풍내동(肝風內動), 양사항성(陽邪亢盛), 열극생풍(熱極生風), 진음휴허(眞陰虧虛), 근맥실양(筋脈失養), 허풍내동(虛風內動)에 의한 것이다. 내풍증의 치료는 평간식풍과 양간식풍(涼肝蝕風), 자음식풍(滋陰蝕風)의 치법(治法)을 많이 쓴다. 방제도 평간내풍하는 것을 분별하여 구성한다. 간양편항(肝陽偏亢)의 경우 생용골(生龍骨)과 석결명(石決明), 생자석(生磁石) 등의 평간식풍 약물을 써서 치료한다. 또 열극생풍에는 영양각(羚羊角)과 국화, 죽엽 등 양간식풍 약물을 처방의 중심으로 삼아 치료한다. 허풍내동은 자음식풍..

어혈 제거 - "혈부축어탕’

어혈 제거 - "혈부축어탕’ 이혈법(理血法)은 혈증(血證)을 치료하는 처방의 구성법이다. 크게 활혈거어법(活血祛瘀法)과 지혈법(止血法)으로 구분한다. 어혈증은 혈액의 운행에 장애를 받아 경맥(經脈) 중에 머물러 어적(瘀積)이 되거나, 경맥 밖으로 빠져나온 혈이 인체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국소에 어체(瘀滯)된 병증을 말한다. 어혈증의 병인(病因)은 일반적으로 내상(內傷)·외감(外感)·육음(六淫)·칠정(七情) 등이다. 임상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는 병인은 한열사기(寒熱邪氣)와 정지울억(情止鬱抑)이다. 어혈의 병인에는 한열(寒熱)과 허실(虛實)의 구분이 있다. 어혈의 부위는 장부(臟腑)와 경맥(經脈), 상하(上下)의 구분이 있다. 병증에 대한 증상을 보면 심혈어조(心血瘀阻)하게 될 경우 심계(心悸), 심전구폐..

풍습에 의한 관절통 - ‘강활승습탕’

풍습에 의한 관절통 - ‘강활승습탕’ 거풍승습법(祛風勝濕法)은 풍습사기(風濕邪氣)가 기표경락(肌表經絡)을 침습하여 일으키는 풍습비통(風濕痺痛)의 병증을 치료하는 처방의 구성법이다. 풍습이 태양경윤(太陽經輸)에 울체(鬱滯)하면 경맥하리(經脈下利)하고, 영양불창(營養不暢)하므로 신중동통(身重疼痛)이 나타난다. 또 어께, 목, 등, 신장, 허리에 동통(疼痛)을 동반하면서 온몸이 쑤신다. 또 풍습사기가 기육(肌肉)과 경락, 관절, 근골지간(筋骨之間)에 비조(痹阻)하면 경맥옹체(經脈壅滯)와 기혈불창(氣血不暢)하게 되고, 풍습비통증(風濕痹痛症)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지체(肢體)가 중창산초(腫脹酸楚)하고, 기부불인(肌膚不仁)하며, 마목중착(麻木重着)해진다. 심하면 근맥구련(筋脈拘孿)과 굴신불리(屈伸不利), 관절종통(..

풍습에 의한 신경통 - ‘독활기생탕’

풍습에 의한 신경통 - ‘독활기생탕’ 거풍승습법(祛風勝濕法)은 풍습사기(風濕邪氣)가 기표경락(肌表經絡)을 침습하여 일으키는 풍습비통(風濕痺痛)의 모든 병증을 치료하는 처방 구성법이다. 풍습사기가 기육(肌肉)과 경락(經絡), 관절, 근골지간(筋骨之間)에 비조(痹阻)하면 경맥옹체(經脈壅滯)와 기혈불창(氣血不暢)하게 된다. 이로 인해 지체(肢體)가 중창산초(腫脹酸楚)하고, 기부불인(肌膚不仁)하며, 마목중착(麻木重着)해진다. 심하면 근맥구산(筋脈拘孿)과 굴신불리(屈伸不利), 관절종통(關節腫痛)과 함께 뼈가 변형된다. 전통 의서인 『천금방(千金方)』을 보면 “부요배통자(夫腰背痛者) 개유신기허약(皆由腎氣虛弱) 와냉습지(臥冷濕地) 당풍득지(當風得之) 불시속치희류입각슬위편고(不時速治喜流入脚膝爲偏枯) 냉비완약동중(冷痺緩..

주공백세주(周公百歲酒)

주공백세주(周公百歲酒) 자양 강장, 식욕 부진, 피로 권태, 노화 예방, 허약 체질, 위장 쇠약증에 유효하며 밥맛을 잃어 식욕이 없을 때 입맛을 살려준다. ▣ 재료의 약성 아주 오래전부터 중국에서 전해 내려오는 유명한 약술이다. 지금으로부터 약 2500년 전 동주(東周) 시대의 명군(名君) 이었던 주공단(周公旦)이 스스로 만들어 애용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연년 장수(延年長壽), 신선 강장(神仙强壯) 의 명주이다. 주공은 이 약술을 마시고 장수했다고 한다. 보기(補氣), 보혈(補血), 보신(補腎) 의 요소가 효과적으로 배합된 최고의 보양약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며, 역대 왕후, 귀족들 대부분이 이 약술을 애용했다고 한다. ▣ 만드는 법 ⊙ 재료 황기 10g / 지황 10g / 숙지황 10g / 귀판(龜..

건강 약주 - 칠보주(七寶酒)

건강 약주 - 칠보주(七寶酒) ▣ 효능 노화 예방, 피로 회복, 무기력증, 노화로 인한 모든 증상을 효과적으로 다스린다. ▣ 재료의 약성 예로부터 노화를 막고 머리가 희어지는 것을 예방하는 명방(名方)으로 전해져 왔다. 하수오가 주된 약으로서 혈청 콜레스테롤을 억제하고 장관(腸管) 으로부터 흡수되는 것을 막아 혈청속에 지방이 머물러 있는 현상과 동맥 내벽에 지방이 달라붙어 쌓이는 현상을 방지하는 작용이 있다. 즉 동맥경화와 고혈압을 예방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여기에 파고지, 토사자, 구기자 등에 의해서 노화 예방 효과가 더욱 강화되고 복령, 우슬의 이뇨작용 및 하반신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더해진다. ▣ 만드는 법 ⊙ 재료 하수오 40g / 파호지(破胡紙) 20g / 복령 20g / 토사자 30g /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