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155

34가지 질환별, 증상별 민간요법

34가지 질환별, 증상별 민간요법 1. 감기기운이 느껴질 때 ☞ 마늘 넣은 무즙 강판에 무를 갈아 즙을 낸 후, 여기에 마늘 한 조각을 찧어 넣어 먹으면 재채기와 콧물감기에 잘 듣는다. ☞ 무즙에 물엿 무를 얇고 둥글게 썰어 병에 넣고 여기에 물엿을 섞는다. 이렇게 잠시두면 무즙이 나와 물엿과 섞이는 데 이를 하루 여러 차례 한 숟가락씩 복용하면 목의 통증과 기침에 효과가 있다. ☞ 계란술 "난주"라고도 하는데 정종을 한잔 정도 부글부글 끓을 정도로 뜨겁게 만들어 그 속에 계란을 두세 개 넣고 잘 뒤섞어 잠들기 전 단숨에 마신다. 두통이나 오한이 깨끗이 사라진다. ☞ 파 콧물이 줄줄 흐르는 코감기일 경우, 파의 뿌리 쪽 흰 부분을 1cm 크기로 잘라 잠들 때 콧잔등 위 끝 부분에 반창고 등으로 붙인다. ..

민간방 2020.12.30

관절통 - 산자고와 병아리

관절통 - 산자고와 병아리 관절통(關節痛)으로 고생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 관절통은 관절 주위의 인대나 힘줄, 연골이 손상되어 염증이 생긴 것이다. 특히 나이가 들면 관절이 퇴화되어 통증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자료를 보면 관절염 환자는 한국인 100명 가운데 1명이다. 또 인구 전체로 볼 때는 50대 이상 연령층에서 3명 가운데 1명이 크고 작은 관절통으로 고생하고 있다. 특히 여성의 발병률이 남성보다 2배 이상 높다. 최근에는 20~30대의 발병률도 계속 높아지고 있다. 관절통이 있으면 초기에는 관절이 벌겋게 퉁퉁 붓고, 화끈화끈 열이 난다. 또한 관절에 물이 차기도 하고, 관절이 빠져나갈 것같이 아픈 증상이 나타난다. 그러다 점차 관절이나 근육이 굳어져 굴신(屈伸)하기조차 힘들..

건강 약차 - 연꽃차

건강 약차 - 연꽃차 연꽃차 재료 : 연꽃, 녹차 각 30그램 만드는 방법 ① 이른 아침에 연꽃을 따서 흐르는 물에 깨끗이 씻는다. ② 씻은 연꽃에서 물기를 빼고, 종이끈으로 꽃잎을 오므려 살짝 묶는다. ③ 녹차 30그램을 한지에 싸서 연꽃 한 송이와 함께 비닐봉지에 넣은 다음, 냉장실에 하루 동안 넣어 둔다. ④ 냉장고에 보관해 둔 연꽃과 녹차를 한 봉지씩 물에 끊여 마신다. 효능 : 연꽃은 연못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 식물이다. 뿌리가 길게 옆으로 뻗고, 가을에 끝부분이 굵어진다. 아시아 남부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가 원산지이다. 진흙 속에서 자라면서도 청결함을 유지하기 때문에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사랑을 받는 식물이다. 연꽃의 본초학적인 특성을 보면 맛이 쓰면서 달며, 성질이 따뜻하다. 약성이 심경(心..

건강 약차 - 채송화꽃차

건강 약차 - 채송화꽃차 채송화꽃차 재료 : 봉오리에서 바로 핀 꽃과 줄기, 잎, 뿌리 만드는 방법 ① 줄기와 잎, 뿌리, 그리고 꽃봉오리에 바로 핀 꽃을 채취해 깨끗이 씻어서 3일~7일 정도 그늘에 말린다. 꽃차로 이용할 때는 꽃봉오리만 별도로 꿀에 재어 밀폐 용기에 넣어 보관한다. ② 찻잔에 적당량을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우려낸다. 본초학적 특성 : 채송화는 쇠비름과의 일년생풀이다. 생약명은 반지련(半枝蓮)이다. 키가 20센티미터까지 자란다. 가지가 여러 갈래로 갈라지고, 붉은 빛을 띤다. 잎이 원주형으로 어긋나고, 잎겨드랑이에 백색 털이 있다. 여름에 붉은색과 노란색 등 4가지 색상의 꽃이 핀다. 맛이 매우면서 쓰고, 성질이 차다. 효능 : 전초(全草)를 약재로 쓴다. 잎과 줄기에 함유되어 있는..

탈모 - 침구 요법

탈모 - 침구 요법 한의학에서는 원위취혈법(遠位取穴法)이라는 것이 있는데 질병이 있는 부위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부위(遠位)에 있는 경혈을 선택해 치료하는 방법이다. 질병이 인체의 상부에 있으면 하부에서 취혈하고 질병이 인체의 하부에 있으면 상부에서 취혈한다. 탈모를 치료함에 있어 원위취혈법에 응용될 수 있는 경혈을 알아보자. ◇태충(太衝) = 태충혈은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의 3번째 경혈로 첫 번째 발가락과 두 번째 발가락이 갈라지는 곳에서 발등 쪽으로 2촌 떨어진 부위다. 태충혈을 지나는 혈관은 족배동맥(足背動脈)이다. 족궐음간경은 첫 번째 발가락 끝 외측에서 시작해 위로 올라가 독맥과 정수리(백회혈)에서 만난다. 따라서 정수리부위에 탈모가 있을 때 백회혈과 태충혈을 배합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건강 약차 - 구기자차

건강 약차 - 구기자차 구기자차 ● 재료 : 구기자 또는 구기잎 15그램, 물 600㎖, 꿀 약간 ● 만드는 방법 1. 구기자 또는 구기잎을 물에 씻어 물기를 뺀다. 2. 재료를 차관(茶罐) 또는 주전자에 넣고 물을 부어 끓인다. 3. 물이 끓으면 불을 줄여 약한 불로 은근하게 오래 달인 후 건더기는 체로 걸러낸다. 4. 차에 꿀을 약간 타서 마신다. ● 효능 : 간 기능을 활성화하고, 신장 기능을 돕는다. 얼굴빛을 맑게 하고, 강장제는 물론, 당뇨와 폐결핵에도 좋다. 뿌리껍질은 피부 부스럼에 효과가 있고, 해열 작용을 한다. 잎은 당뇨병에 효과가 좋다. 소주 1.8리터에 구기자 2백 그램과 꿀 3백50그램 정도를 넣어 밀봉한 다음 햇볕이 닿지 않는 곳에서 2개월 숙성시켰다가 매일 소주잔으로 1잔씩 잠자..

건강 약차 - 작약차

건강 약차 - 작약차 작약차 재료 : 작약 15그램, 물 400cc, 생강 3쪽, 대추 4개, 꿀 약간 만드는 법 1. 작약 뿌리를 캐어 햇볕에 말린다. 2. 준비한 재료에 물을 붓고 끓인 다음 건더기는 걸러내고 꿀을 타서 마신다. 효능 : 작약은 함박꽃 뿌리를 말린 것으로 성질이 약간 차고, 맛이 쓰면서 시다. 간 기능을 보호하고, 손상된 간을 치료한다. 또 피를 보하고, 어혈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어 몸이 허할 때와 산후에 많이 사용한다. 작약에 함유되어 있는 페오니플로린 성분은 진정 ․ 진통 ․ 해열 ․ 소염 ․ 궤양 치유 ․ 혈압낮춤 ․ 관상동맥확장 등의 효능이 있다. 또 페오놀 성분은 진정 ․ 해열 ․ 진통 ․ 소염 ․ 지혈 등의 효능이 있다. 따라서 위염 ․ 위궤양 ․ 위경련 ․ 신경통 ․ 관절..

건강 약차 - 솔순식초차

건강 약차 - 솔순식초차 솔순식초차 재료 생솔순, 황설탕, 한지, 꿀 만드는 법 1. 4월에 새순 솔잎을 따서 잘 씻는다. 4월에 채취한 솔순이 가장 깨끗하고 효과가 좋다. 2. 항아리 바닥에 황설탕을 3센티미터 두께로 깔고, 그 위에 생솔순을 3센티미터 두께로 한 켜 깐다. 그러고 나서 그 위에 다시 황설탕을 3센티미터 두께로 깔고, 생솔순을 3센티미터 두께로 까는 식으로 반복한 뒤 3일 정도 재워둔다. 3. 3일 뒤 끓여서 식힌 물을 자박할 정도로 붓는다. 4. 한지로 덮고 구멍을 조금 뚫어둔 뒤 1백 일 정도 숙성시키면 솔순식초가 된다. 5. 식후에 발효된 솔순식초에 취향에 따라 생수나 꿀을 타서 마시면 된다. 효능 오래 전부터 사찰에서는 솔순식초를 정신을 맑게 한다 하여 즐겨 음용해 왔다. 청열해..

건강 약차 - 용담차

건강 약차 - 용담차 용담차 재료 용담 뿌리 2~6그램, 물 600ml 만드는 법 1. 용담 뿌리를 햇볕에 잘 말려서 가루를 낸다. 2. 분말한 용담 뿌리 2~6그램에 물 600ml를 넣고 끓인다. 3. 잘 우려지면 체에 걸러 마신다. 효능 용담은 용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맛이 쓰고, 성질이 차다. 간(肝)과 담(膽)의 열을 내려 주고, 하초(下焦)의 습열(濕熱)을 없애는 약리(藥理) 작용이 뛰어나다. 또 암을 유발하는 독소를 해독하는 효능과 염증을 없애고 통증을 완화하는 효능을 지니고 있다. 또한 용담에 함유되어 있는 겐티오피크린이라는 물질은 위와 장의 운동 기능을 높여 갖가지 소화액이 잘 나오도록 하는 작용을 하고, 알칼로이드는 진정과 혈압강하작용을 한다. 간담에 열이 있어 눈이 벌겋게 되면서..

건강 약차 - 패랭이꽃차

건강 약차 - 패랭이꽃차 패랭이꽃차 재료 패랭이꽃 뿌리와 가지 10~15그램, 물 600cc 만드는 법 1. 여름과 가을 사이에 패랭이꽃의 뿌리와 가지를 채취하여 물에 씻은 다음 잘 말린다. 2. 잘 말려진 패랭이꽃 10~15그램에 물 600cc를 넣고 끓인다. 3. 다 끓여지면 건더기를 체로 걸러낸 다음 마신다. 효능 패랭이꽃은 패랭이꽃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 참대풀이라고도 하고, 약재명으로 구맥(瞿麥) 또는 석죽(石竹)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 각지의 산과 들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 꽃을 뒤집어쓰면 흡사 패랭이 갓과 같다 하여 이름이 붙여졌다. 성질이 차고, 독이 없으며, 맛이 매우면서 쓰다. 약성이 방광과 심장과 소장에 작용한다. 소변을 잘 통하게 하고, 어혈을 없애 피를 잘 돌게 하며, 임질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