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155

건강 약주 - 팔진주(八珍酒)

건강 약주 - 팔진주(八珍酒) ▣ 약효 식욕 부진, 무력, 권태감, 원기 부족, 만성 피로, 허약 체질, 혈색이 좋지 않은데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 재료의 약성 팔진술의 원방(原方)은 팔진탕(八珍湯)이다. 기력을 보충하는 사군자탕(四君子湯) 과 피를 보충하는 사물탕(四物湯)을 합친 것이 팔진탕으로 여기에 알코올의 효능이 더해진 것이다. 비교적 작용이 온화하기 때문에 누구라도 안심하고 마실 수 있다. 만성 소화 질환 등으로 쇠약해진 기능과 영양 상태가 부실한 경우에 특히 효과적이다. 중추 신경을 흥분시켜 신진 대사를 촉진하고 소화 흡수를 개선한다. 그리고 자양 강장, 진정(鎭靜), 진경(鎭痙), 월경 조절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 만드는 법 ⊙ 재료 인삼 15g / 백출 15g / 복령 15g /..

건강 약주 - 하수오용향주

건강 약주 - 하수오용향주 ▣ 효능 자양 강장, 진정 효과가 뛰어나며 스테미너 증강에 이상적인 약술이다. ▣ 재료의 약성 하수오의 강장, 강정 효과, 용안육의 자양 강장, 진정 효과, 더불어 정향의 건위 효과와 특유한 방향이 어울려 스테미너 증강에 이상적인 약술이다. 하수오는 노화 방지 작용을 하며 뇌와 간의 단백질 함량을 증가시킨다. 심장을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는데 특히 피로가 심한 심장의 경우 강심 작용이 뚜렷이 나타난다. 간 기능 손상을 막고 간지질 함량을 높이며 간에 지방이 쌓이는걸 막는다. 용안(龍眼)은 아주 온화한 약물로서 부작용이 없고 자양 강장 효과가 뛰어나다. 중국에서는 예로부터 황후가 즐겨 먹었던 식품으로 유명하며, 양귀비와 측천 무후가 미용과 건강을 위해 매일 즐겼다고 한다. 정향은 ..

건강 약주 - 행기회생주(行氣回生酒)

건강 약주 - 행기회생주(行氣回生酒) 우울증, 초조감과 짜증을 다스리고, 복통, 트림, 오심, 가슴의 통증(가슴앓이) 등에 효과적으로 쓰인다. ▣ 재료의 약성 주된 약인 향부자는 우울한 기분을 풀어주는 약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향부자는 부인에게 많이 사용하며 진통(鎭痛)과 기체(氣滯)로 인한 동통(疼痛)에 특히 효과적이다. 창출은 건위, 이뇨 작용, 창출은 비장을 튼튼하게 하며 습을 제거하고 울체된 것을 풀어준다. 습이 성해서 비장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할 때,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효과가 있다. 이질, 담음, 수종, 유행성감기, 풍한습비, 야맹증에 효과가 있다. 복부나 가슴이 답답하고 당길 때, 피로감을 자주 느끼는 증상에 효과적이다. 천궁은 진통 작용, 치자는 이담, 소염 작용을 맡고 있으며 ..

건강 약주 - 회향후박주

건강 약주 - 회향후박주(茴香厚朴酒) 소회향, 생강, 후박 이 세가지 약재가 상호 작용하여 복부 팽만감, 구풍, 오심, 식욕 부진, 건위, 소화 불량 등에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 재료의 약성 소회향은 방향성 건위제로서 생강과 짝이되어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력을 증강시킨다. 또 위장의 연동 운동 저하로 인해 헛배가 부르는 증상(복부 팽만)을 후박과 협력하여 감소시키고 가스의 발생을 억제한다. 후박도 복부 팽만을 해소시키고 변통을 조절하여 장의 내용물이 부패, 발효되어 가스가 생기는 것을 막는 효과가 있다. 후박나무는 수령 27년까지는 년수가 높아갈수록 지표물질인 마그놀롤의 함량이 높아져 약성이 강해진다. 후박나무 재배역사가 아직 짧아(1975년부터 시작됨) 년수가 오래된 후박나무는 구하기 어려운 실..

쌍화탕[ 雙和湯 ]

쌍화탕[ 雙和湯 ] 1. 정의 쌍화탕(雙和湯)은 사물탕(四物湯)과 황기건중탕(黃芪建中湯)의 합방으로 하는 처방이다. 명칭은 기(氣)와 혈(血)을 쌍(雙)으로 조화(調和)롭게 해준다는 의미이다. ‘쌍화산(雙和散)’이라고도 하며 기혈을 모두 조화롭게 하여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는 한의학의 대표적 처방이다. 『동의보감』 잡병편(雜病篇) 허로(虛勞)에 기술되어 있고, 『의문보감(醫門寶鑑)』 권2 허손편(虛損篇)에 실려 있다. 2. 적응증 『동의보감』 : 음양(陰陽)이 모두 허할 때 쓴다고 하여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 있다. “마음과 몸이 모두 힘들고 기혈이 모두 상하거나, 성(性) 관계를 가진 다음 일을 많이 하거나 반대로 일을 많이 한 다음 성 관계를 가지거나, 큰 병을 앓은 다음 허하거나 기가 모자라 저절로 땀..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상용화될 기술 10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상용화될 기술 10 2020년은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간의 생활상이 바뀐 해였다. 비대면의 시대가 시작되면서 차선책이던 원격진료, 재택근무, 화상회의, 원격수업이 메인 무대로 진입했고, 이에 따른 다양한 IT 기술이 생활 속으로 파고들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상용화될 기술들이 좀 더 빠르게 다가온 것이다. 그렇다면 코로나19가 끝나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는 어떤 기술이 구현되어 우리의 삶을 변화시킬까. 10가지 기술을 통해 미래의 삶에 대비해 보자. ▲ photo networkworld.com 01 미리 경험하고 예측하는 ‘디지털 트윈’ 2020년은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전 인류가 속도를 늦추는 대신 디지털 세계로의 전환을 가속화했다. 특히 ‘디지털 트윈(digital t..

발기부전과 조루 - ‘구인환’

발기부전과 조루 - ‘구인환’ 옛말에 정력이 약한 사람과는 돈거래도 하지 말라고 했다. 정력이 약하면, 그 만큼 생명력이 약화되어 있어 돈을 빌려 주면 돌려받기 힘들기 때문이다. 이처럼 정력은 비단 성적(性的)인 능력만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생명력과 활력, 젊음과 원기를 포괄하는 개념이다. 서양의학에서는 말초 신경을 흥분시키는 화학약을 개발하여 최고의 정력제인 양 과시하며 천문학적인 돈을 끌어 모으고 있다. 하지만 진정 최고의 정력제는 생명력을 길러 주는 것이라 하겠다. 그것이야 말로 육체를 망가뜨리지 않으면서 자신과 가정과 국가를 지탱할 수 있는 힘이 된다고 하겠다. 사실 정(精)이라는 것은 우리 인체를 구성하는 3요소인 정기신(精氣神) 중의 하나이다. 인체의 모든 기능은 정기신(精氣神)의 조화로 ..

대장암과 위암 ‘쇠비름’

대장암과 위암 ‘쇠비름’ 우리 주변엔 많은 풀들이 있다. 우리는 이런 풀들을 잡초로 보고 대수롭지 않게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 세상에 가치가 없는 것이 없듯이 잡초라고 여기던 풀도 사용하기 나름으로 명약이 될 수 있다. 쇠비름 역시 그런 풀 중의 하나이다. 쇠비름은 쇠비름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다. 전국 각지의 길가나 빈터, 또는 밭둑에서 흔하게 자란다. 뽑아서 옆에 던져 놓아도 다시 뿌리를 내리고 살 만큼 생명력이 강하다. 또 한 여름철 대낮의 뙤약볕 아래에서 모든 식물이 시들시들 축 늘어질 때도 쇠비름은 오히려 더 생생하게 자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다. 잎과 줄기에 수분을 많이 저장하고 있어서 아무리 가물어도 말라 죽지 않는다. 한마디로 태양의 기운을 온 몸으로 흠뻑 받으면서 자라는 풀이라 ..

백혈병의 묘방 - 만금탕

백혈병의 묘방 - 만금탕 백혈병은 인체 조혈 기능의 상실로 혈색소(血色素)가 제대로 조성되지 않아 혈액이 묽어진 병이다. 양의학에서는 백혈병을 백혈구가 증가하는 병으로 보고, 치료도 백혈구를 파괴하고 없애는 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현상만 보고 판단한 소치일 뿐이다. 백혈병의 본질은 백혈구가 늘어나는 게 아니라, 피가 묽어져 생기는 현상이다. 백혈병이 백혈구가 늘어나기 때문에 생기는 병이 아니란 사실은 백혈병 환자가 쉽게 세균에 감염되는 것만 보아도 알 수 있다. 체내에서 백혈구의 역할은 외부에서 들어오는 세균이나 바이러스를 퇴치하는 것이다. 그런데 ‘백혈구 수가 늘어났다’고 함에도 불구하고 백혈병 환자는 세균에 쉽게 감염된다. 이런 현상은 백혈구가 늘어난 게 아니라 혈액이 묽어져 제 역할..

주목열매 효능

주목열매 효능 주목(朱木) 주목은 정목(正木)이라고 부르기도 하며 해발 1000미터 이상의 고산지대에 자연서식한다. “살아서 천 년 죽어서 천 년”이라는 말처럼 수명을 약 2000년으로 추정하는데 그런 나무가 발견된 기록은 없다. 붉을 주(朱)자는 주술적인 의미가 있는 것으로 주목을 집안에 두면 악귀가 접근을 못한다고 믿는다.정목이라는 이름을 가지게 된 것은 주목은 삽목(꺾꽂이)이 가능한 나무인데 곁가지를 잘라 삽목하면 아무리 크게 자라나도 나무가 곧게 뻗지를 않고 옆으로 자라기 때문이다. 주목의 씨는 붉은색을 띄며 과육은 단 맛이 난다. 씨는 한 해 겨울을 지나야 발아가 되며 인위적으로 발아 시키려면 일정기간 냉동을 시킨 후 심어야 발아가 된다. 이는 다른 식물의 씨앗에서도 볼 수 있는 생명시계 현상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