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155

건강 약주 - 연익수불로주(年益壽不老酒)

건강 약주 - 연익수불로주(年益壽不老酒) ▣ 약효 노후 쇠약을 치료하고 강장, 강정 작용을 하며, 피로 회복에 효과가 있다. ▣ 재료의 약성 중년 이후의 체력 저하, 정력 감퇴, 만성 피로, 식욕 부진, 기력 쇠퇴 등의 증상을 가진 사람에게 사용하면 강장 회춘의 효과를 발휘한다. 인삼은 위장 기능의 쇠약을 치료하고 하수오는 노화를 억제한다. 지황과 맥문동은 몸을 자양 강장 체질로 이끌어 주고 복령은 보익(補益) 과 이수(利水) 효과가 있다. 이러한 약재들이 종합적으로 노화를 막고 체력을 증강시키는 효능을 발휘한다. ▣ 만드는 법 ⊙ 재료 인삼 20g / 지황 30g / 하수오 30g / 맥문동 20g / 복령 10g / 소주 1000㎖ / 설탕 150g / 과당 50g ⊙ 담그는 법 준비한 생약을 잘게 ..

건강 약주 - 우향연육주

건강 약주 - 우향연육주 ▣ 효능 우슬과 연육, 향부자의 세 가지 생약의 상호 작용으로 여성의 건강에 더 없이 이로운 약술이다. ▣ 재료의 약성 우슬(牛膝)은 이뇨, 중풍, 강정, 관절염, 근육통 등에 효능이 있으며 연육(連肉)은 자양 강장, 건위 정장에 좋다. 향부자(香附子)는 진통, 두통, 월경 불순 등의 특효약으로 쓰인다. 이 세가지의 생약으로 여성의 건강과 보건을 위한 약술을 만들 수 있다. 우슬은 자궁을 흥분시키고 수축을 강하게 한다. 상반신의 피를 아래쪽으로 유인하고 요퇴부의 동통(疼痛)을 줄인다. 노인의 보약으로 효과적이며, 쇠약해지는 정력을 되살리고 하반신의 기능을 강화하여 노인성 무력증을 치료한다. 향부자의 뿌리 끝에 달린 덩이뿌리는 정유(精油)와 지방유를 함유하며, 한방에서는 두통, 복..

건강 약주 - 원지 오미자 대추주

건강 약주 - 원지 오미자 대추주 ▣ 약효 원지, 오미자, 대추의 약 성분이 어울려 허약 체질, 과로, 노화 방지, 식욕 증진에 특히 효과를 보인다. ▣ 재료의 약성 원지(遠志)는 신경 안정과 진정, 빈혈, 불면에 좋고, 오미자는 강정, 강장, 진해, 자양제로 좋으며 대추는 완화 작용이 있어 진통에 효능이 있다. 윈지, 오미자, 대추의 약 성분이 서로 상호 작용하여 허약한 사람, 과로에 시달리는 사람, 노화 방지, 식욕 증진에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진정의 효과도 있으므로 가정의 상비주로 준비를 해 둘 만 하다. ▣ 만드는 법 ⊙ 재료 원지 30g / 오미자 30g / 대추 40g / 소주 1800㎖ / 벌꿀 200g ⊙ 담그는 법 원지는 잘 씻어 물기를 빼고 잘게 썰어 둔다. 대추는 살짝 헹구어 씨와..

건강 약주 - 익모사물주(益母四物酒)

건강 약주 - 익모사물주(益母四物酒) ▣ 효능 월경이 불순하고 혈색이 좋지 못한데, 거친 피부, 손발 저림, 산후 조리에 요긴하게 쓰인다. ▣ 재료의 약성 병으로 혈액 순환이 잘 되지 않고 정체된 증상과 그에 따라 생기는 증상을 개선시킨다. 혈액 정체 때문에 생기는 월경 주기의 연장, 월경량의 감소, 무월경 생리통 등에 효과가 있다. 익모초를 육모초라고도 브르는데, 포기 전체를 말려서 산후의 지혈과 복통에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이 풀의 농축액을 익모초고(益母草膏)라고 하는데, 혈압강하, 이뇨, 진정, 진통 작용이 있다고 한다. 당귀는 성질이 따뜻하고 심장을 보하며 허한 것을 도와주며 나쁜피를 몰아내는 정혈작용이 있다. 當歸란 뜻은 당연히 제자리로 돌아간다는 뜻이다. 즉 인체의 기혈작용이 혼란할 때 복용하..

북극성의 비밀

북극성의 비밀 북두칠성과 북쪽 하늘 별자리 △ 태양계에서 북두칠성을 이루는 별까지의 거리. 북두칠성은 계절에 따라 볼 수 있는 별자리가 아니라, 북쪽 하늘(북천北天)의 별자리이다. 일 년 내내 지평선 아래로 지지 않아 우리나라 어느 곳에서나 사계절 볼 수 있다. 북쪽 하늘 별자리 중 큰곰자리의 북두칠성은 봄과 여름 초저녁에, 카시오페이아는 가을과 겨울 초저녁에 쉽게 볼 수 있다. 북두칠성과 카시오페이아는 주로 밝은 별들로 이루어져 있고, 모양도 특이하여 찾기 쉬울 뿐 아니라 북극성을 찾는 데도 이용된다. 북두칠성 자리 국자 앞부분 두 별(두베와 메라크)의 길이 만큼을 5배 간 곳에서 북극성을 찾는다. 카시오페이아자리를 이용하여 북극성을 찾으려면, 약간 삐뚤어진 W자의 양변을 연장한 삼각형 꼭짓점에서 W자..

[조용헌의 영지 순례] 호남의 불교성지 ‘백양사 운문암’

백양사 운문암 ▲ 백양사 뒤로 백학이 앉아 있는 모습을 닮은 백학봉이 버티고 있다. 머리를 깎고 불교의 승려가 되면 뭐가 좋을까? 전국 명산의 기운 좋고 경치 좋은 곳에서 한철 또는 몇 년씩 살아 볼 수 있다는 점이 아닐까 싶다. 도를 깨치면 좋지만 못 깨치더라도 한세상 태어나 명산의 명당에서 살고 간다는 것은 남는 장사 아닌가. 산마다 암자마다 다 기운이 다르다. 풍광이 다른 것은 당연하지만 그 터에서 올라오는 땅 기운이 다르다는 것이 포인트이다. 비유하자면 비타민 같은 터가 있고, 단백질이 올라오는 터가 있고, 어떤 터는 칼슘에 해당한다. 칼슘이 부족할 때가 있다. 이런 때는 칼슘이 많은 터에 가서 몇 년 살다 보면 보충이 된다. 타이밍마다 부족한 기운이 다를 수 있다. 공부의 정도에 따라 요청되는 ..

나경패철로 방위를 측정하는 방법

나경패철로 방위를 측정하는 방법 (1) 정반정침 (正盤正針) 묘지나 택지 또는 건물의 측정하고자 하는 곳에 먼저 나경패철을 수평으로 놓는다. 그 다음에 원가운데 있는 자침이 자오선(子午線)과 일치하도록 조절한다. 보통 나경패철의 자침은 북쪽을 가리키는 곳에 구멍을 뚫어 놓았거나, 빨강 색으로 칠해 놓았다. 또 자오선에 선을 그려 놓아 자침을 일치시키는데 편리하도록 하였다. 자침의 구멍 뚫린 부분이 4층 자(子, 정북)의 중앙에, 반대쪽은 4층 오(午, 정남)의 중앙에 일치시키는 것을 나경패철의 정반정침(正盤正針)이라고 한다. (2) 측정방법 (測定方法) 1) 음택지의 측정 묘지에서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로 나뉜다. 기존의 묘가 있는 곳에서는 묘 앞이나 상석 중앙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 한다. ..

[조용헌의 영지 순례] 남덕유산 영각사

남덕유산 영각사 합격기도발의 명소… 문필봉 포진한 남덕유산 영각사 ▲ 남덕유산 영각사 화엄전 바로 뒤에 붓끝에 먹물을 찍은 듯한 문필봉이 버티고 있다. 남덕유산 자락에 있는 영각사(靈覺寺). 영각사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리학, 그중에서도 풍수지리까지를 포함한 인문지리를 공부할 필요가 있다. 영각사는 경남 함양군 서상면이 행정구역이다. 덕유산이 남쪽으로 내려와 뭉친 봉우리가 남덕유산이고 함양은 이 남덕유산이 배산(背山)을 이루고 있다. 말하자면 함양의 뒷산이 남덕유산이고 앞산이 지리산이다. 지리산의 북쪽인 마천 쪽의 봉우리들은 함양에서 보자면 남쪽에 포진하고 있는 안산(案山)이자 조산(朝山)이다. 안산은 무엇이고, 조산은 무엇인가? 안산은 바로 코앞에 밥상처럼 놓여 있는 산을 가리키고, 조산은 안산보다 더..

조용헌의 영지 순례 - 고치령 산령각

조용헌의 영지 순례 - 고치령 산령각 ▲ 강원도 영월과 경북 영주 사이에 있는 고치령 정상에 홀로 서 있는 산령각. 고고학은 땅속에서 유물을 발굴한다. 땅속의 유물을 통해서 고대인의 생활양식을 발견해 내고 추론해 낸다. 고고학 전문가들 이야기를 들어보면 3000년 전이나 지금이나 인간이 사는 것은 별반 다를 게 없다고 한다. 구석기시대나 지금이나 인간의 생로병사는 변한 게 없기 때문이다. 1만년 전에도 늙고 병들어 죽고 억울하게도 죽고 생존의 압박에 쪼들려 살았다. 그때라고 편하게 산 것이 아니다. 이 압박과 고통은 지금도 변한 게 하나도 없다. 변한 것이라고는 포장지와 디자인뿐이다. 수천 년 전 조상들의 삶이 우리와 비슷하다고 확인하는 순간 거기에서 어떤 안도감이라고나 할까, 그 어떤 항심(恒心)이 발..

나경패철로 방위를 측정하는 방법

나경패철로 방위를 측정하는 방법 (1) 정반정침 (正盤正針) 묘지나 택지 또는 건물의 측정하고자 하는 곳에 먼저 나경패철을 수평으로 놓는다. 그 다음에 원가운데 있는 자침이 자오선(子午線)과 일치하도록 조절한다. 보통 나경패철의 자침은 북쪽을 가리키는 곳에 구멍을 뚫어 놓았거나, 빨강 색으로 칠해 놓았다. 또 자오선에 선을 그려 놓아 자침을 일치시키는데 편리하도록 하였다. 자침의 구멍 뚫린 부분이 4층 자(子, 정북)의 중앙에, 반대쪽은 4층 오(午, 정남)의 중앙에 일치시키는 것을 나경패철의 정반정침(正盤正針)이라고 한다. (2) 측정방법 (測定方法) 1) 음택지의 측정 묘지에서의 측정은 다음과 같이 두 가지 경우로 나뉜다. 기존의 묘가 있는 곳에서는 묘 앞이나 상석 중앙에 나경패철을 정반정침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