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155

불면증 묘방 - 산조인탕

불면증 묘방 - 산조인탕 산조인탕’, 음혈 부족으로 인한 불면증에 특효 자양안신법(滋養安神法)은 음혈(陰 血) 부족으로 심체(心體)가 실양(失養)되어 나타나는 신지불안증을 치료하 는 처방의 구성법이다. 자양안신법의 주 증(主證)은 허번실면(虛煩失眠), 현훈건망 (眩暈健忘), 경계정충(驚悸 ), 심계(心悸), 건망다몽(健忘多夢), 설질담(舌質 淡) 등이다. 간혈(肝血)이 부족하면 혼(魂)을 간직할 수 없다. 따라서 혼지불안(魂志不安)과 야 매다몽(夜寐多夢) 현상이 나타난다. 또 심 간(心肝)이 혈허(血虛)하여 장음(臟陰)이 부족하면 신 (神)이 수사(守舍)하지 못하여 정신황홀(精神 恍惚)과 희비상욕 곡(喜悲傷欲哭),언행실상(言行失常), 설홍소태(舌紅少苔), 맥세현(脈細弦) 등 장조증(臟 躁證) 현상이 나타..

최수운의 용담검무

최수운의 용담검무 하늘과 통하는 ‘신의 칼’ 그 속엔 민족 지키려는 동학이… 문무겸전의 인간 최제우 경술국치 50년전 나라 앞날 예언 검결 지어 비밀결사 결의 다져 쇠가 아닌 목검 사용하는 '용담 검무' "서양을 물리쳐야" 염원이 담겨 ◆ 최수운의 용담검무(龍潭劍舞) 속에 숨은 동학(東學) 무예가 무술로서의 의미보다 종교적 의례용이나 무용이라는 예술로 승화된 극단적인 예가 용담검무이다. 용담검무는 동학-천도교의 교조 수운(水雲) 최제우(崔濟愚·1824∼1864) 선생이 만든 검무(劍舞)이다. 구한말 외세의 침략 속에 민족과 민족혼을 지키고자 동학을 창도한 수운 선생은 자신의 운명과 미래를 점칠 수 없는 위기의 상황에서 전북 남원 은적암에 피신해 있을 때에 용담검무를 신도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충의를 다지게 ..

치주 질환의 묘방 -제피(초피) 가글액

치주 질환의 묘방 - 제피(초피) 가글액 한여름 이맘때쯤 제피잎이 세어졌을때 잎을 따다 30도 담금소주를 팔팔 끓여 뜨거울때 제피잎이 잠기도록 부어서 2시간 후 제피 잎을 건져내고 병에 보관하여 가글로 쓰면 평생 입안 질환을 예방할수있고 현재 잇몸 질환을 앓고있는 분들은 금방 효과를 볼수 있다. 사용방법: 적당량을 입안에 머금고 6~8분정도있다 입안을 행구며 이와같은 방법으로 하루에 1~2회. 3일 정도만 해줘도 잇몸질환은 완치될수있다. ■ 제피(초피)나무와 산초나무 구별법 - 제피나무의 특징 재피 혹은 제피라고 하는 것은 경상도에서 쓰는 초피의 다른 말인데 이것은 산초와 다른 식물이다. 이에 제피와 산초나무의 특징을 샇펴 구별해 보자 초피(제피)나무(학명 - zanthoxylum piperitum) 초..

암(癌)치료 침법 / 진단법 - 항암총혈 / 암 진단혈

암치료 鍼法 / 진단법 - 항암총혈(抗癌总穴) / 암 진단혈 ■항암총혈 (抗癌总穴) 대부분의 암 치료에 효과가 있는 일침요법! 항암총혈 일혈에는 무한한 공능(功能)이 있다 항암총혈은 경외기혈 (經外奇穴)로서 전통침구 서적에는 나오지 않는다 그러나 한번 이 혈을 사용하여 임상을 해보면 그 효능에 저절로 고개가 끄덕여 질 것이다 항암총혈(抗癌总穴) 의 혈자리를 알기 위해서는 먼저 연곡혈(然谷穴)의 정확한 위치를 파악해야 한다. 연곡혈(然谷穴)은 안쪽 복사뼈의 전하방(前下方)에 있는 발등과 발바닥의 경계선 부위를 손끝으로 가만히 눌러보면 툭 튀어나온 뼈가 하나 만져지는데 이 뼈의 바로 아래에 움푹 들어간 곳에 자리잡고 있다. ​ 이 연곡혈(然谷穴)의 밑으로 반촌(半寸)에 자리잡고 있는 혈(穴)을 항암총혈(抗癌..

한국 현대 무예의 지형도

한국 현대 무예의 지형도 전통무술 십팔기 나라 잃으면서 역사의 뒤안길로 조선 말기, 화포의 발달과 함께 고대 병장무예인 십팔기의 효용성이 차츰 떨어지다가 신식 군대의 신설로 인한 구식 군대의 차별, 그로 인한 임오군란, 외세 개입을 거쳐 결국 나라가 망하면서 무예 십팔기도 역사의 뒤안길로 퇴장하게 되는 운명을 맞고 만다. 대신 그 자리에 검도와 유도로 대표되는 일본무도가 강제로 이식되었다. 인류 문화의 문(文)과 무(武)는 항상 문화의 원형적 구조로 자리 잡고 있는데, 식민지는 다름 아닌 남의 문과 남의 무에 의지하여 문화를 운영해나가는 국가를 말한다. 자주국가란 자신의 문과 자신의 무를 중심으로 문화를 운영해나가는 국가를 말한다. 문화 교류도 자신의 것이 있어야지 그렇지 않으면 종속된다. 일본의 무도 ..

혈기도(穴氣道)

혈기도(穴氣道) 하늘의 기운과 천기를 수련 통해 몸에 축적 젊음 유지 ◇우혈 허장수 선생이 ‘혈기도’ 행공에 앞서 몸을 풀고 있다. 17년간 산중에서 수련하며 356가지 행공을 익혔다는 우혈 선생은 일흔이 넘은 나이에도 고관절이 360도 자유자재로 회전한다. 하늘과 땅은 인간이 편의상 나누어놓은 것이지 한 번도 끊어진 적이 없다. 천지가 조응하지 않으며 일어나는 일은 세상에 하나도 없다. 태초에 인간들은 하늘에 순응하면서 살았다. 그러나 문명이 발달하면서 그것에 반하는 삶의 체계를 만들어 살기 시작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문명이 이룩한 체계와 자연의 체계가 상충되면서 자연은 이제 언제 인간에게 재앙을 줄지도 모른다. 그러는 가운데 인간에게 여러 질병이 발생하였다.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당뇨병, 고혈압..

랑의 무예 - 한풀

랑의 무예 - 한풀 자음과 모음 조합하듯 갖은 기술 만드는 ‘무술의 한글’ 동아시아 고대사를 보면 대체로 중국에서 한국을 거쳐 일본으로 선진문화가 이동하는 경로를 갖는다. 고대사 중에서도 상고시대, 즉 삼황오제 시대는 물론이고, 주(周) 이전 하은(夏殷)의 문화, 다시 말하면 당시 동이족이 개입한 문화에 대해서는 한국과 중국이 함께 이룩한 문명의 성격이 강하다. 문화란 돌고 도는 경향이 있어서 그 원류가 불분명한 경우도 없지 않다. 한국과 일본의 관계는 크게 보면 한국에서 이주한 세력이 일본의 지배층이 되어 고대사를 이끌었고, 일본 왕가는 핏줄로 한국과 섞여 있다. 혈통뿐 아니라 고대문화의 한일관계는 한국에서 일본으로 건너간 경우가 많다. 동아시아 무예사에서 ‘택견(태껸)-테고이(手乞)-태권(跆拳)’의 ..

원구(圓球)의 무예 - 원화도

원구(圓球)의 무예 - 원화도(圓和道) 춤추고 노래하고 하늘에 빌던 자연스런 몸짓을 무도로 체계화 한국 무술 가운데 가장 한국적이고 때로는 평범한 것 같은 무술이 원화도이다. 원화도는 특별히 어느 누구 한 사람, 또는 어떤 집단에만 은밀하게 비전된 것은 아니다. 우리의 조상이 언제 어디서든지 해오던 아주 간단하고 작은, 그러나 긴요한 ‘삼무(巫, 舞, 武)’ 동작을 말하며 그 시원은 ‘비손’(비는 손)에 있다. 일상의 삶 속에서 기쁘면 기쁜 대로, 슬프면 슬픈 대로 ‘오직 감사’하는 마음으로 두 손을 비비며 살아온 한민족. 지구상에서 가장 평화를 사랑하는 민족이 한민족이다. 그래서 한민족은 문명권에서 살면서도 한 번도 먼저 남의 나라를 침공한 적이 없다. 그러한 수비적 자세는 때로는 역사에서 온갖 어려움..

신인합일(神人合一) - 챠크라 수행법

신인합일(神人合一) - 챠크라 수행법 차크라는 무엇인가? Chakra란 우리 몸속에서 의식 또는 무의식 상태에서 언제나 활동하고 있는 신체 내부의 7군데 에너지 중심센터이다. 각 차크라 센터에는 각기 고유한 에너지 감각이 지배하고 있고, 그 에너지들의 활동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자신을 드러내거나 지배를 받는다. 차크라는 산스크리트어로 '바퀴' 또는 '원형'이라는 뜻을 지닌다. 의식 상태이든 무의식 상태에서든 지속적으로 회전하는 공 모양의 차크라는 인간의 감각, 감정, 신체 기능을 지배하고 있는 에너지 센터다. 차크라가 담당하는 것은 인간이 지니고 있는 우주의 원천적인 생명력과 영적 에너지의 각성이다. 에너지를 받아 전달하고 진행시키는 에너지 체계는 정신적 힘과 신체기능의 조절을 담당하고 영혼과 육체를 ..

삼독(三毒) 오욕칠정(五慾七情)

삼독(三毒) 오욕(五慾) 칠정(七情) 탐욕은 탐애(貪愛)라고도 하며 자기가 원하는 것에 욕심을 내어 집착하는 것, 자기의 뜻에 맞는 일에 집착하는 것, 정도를 넘어서서 욕심을 부리는 것, 명성과 이익을 지나치게 좋아하는 것 등이 모두 이에 해당한다. 일반적으로 불교에서는 5욕(五慾)이라고 하여 식욕(食慾)·색욕(色慾)·재욕(財慾)·명예욕·수면욕 등을 들고 있다. 그러나 이것을 구하는 것 자체가 탐욕이 아니라 그것이 정도를 지나칠 때 탐욕이라고 한다. 한편, 여자가 가지는 욕망으로는 색욕·형모욕(形貌慾: 얼굴의 아름다움에 대한 욕망)·위의욕(威儀慾: 옷치장에 관한 욕망)·자태욕(姿態慾: 아름다운 몸매에 관한 욕망)·언어욕(言語慾: 아름다운 음성에 대한 욕망)·세활욕(細滑慾: 피부의 윤기에 대한 욕망) 등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