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드러운 돈육요리 응산활육(應山滑肉) 부드러운 돈육요리 응산활육(應山滑肉) (사진설명: 부드러운 돈육요리) 스토리: 부드러운 돈육요리 응산활육(應山滑肉)은 비게가 붙은 돼지고기를 가지고 기름에 튀기고 시루에 올려 찌고 온갖 양념으로 소스를 만들어 곁들인 호북(湖北) 응산(應山)의 정통요리이다. 이 요리는 죽어서 첨..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11.04
시래기밥 시래기밥 오늘 소개할 것은 요런날 따악 좋은 시래기밥이에요. 영양밥 하나 해서 양념간장에도 비벼먹고..두부조림해서 같이 비벼먹기도 좋고.. 시래기가 비타민C도 많고 해서 겨울철에 특히 더 좋답니당 ㅎㅎ 완전 추천드리고 싶은 밥이에요. -시래기밥 요리법- 시래기 300g, 불린쌀 적당.. 飮食 漫步/요리 2016.11.02
여주생김치 여주생김치 당뇨 환자의 치료식으로 특효 ■ 안서연 | 사찰음식 걸구쟁이네 대표 여주는 박과의 한해살이풀이다. 심장과 비장을 보하고, 갈증을 해소하는 작용이 강하다. 따라서 당뇨가 있을 때 여주를 달여 꾸준히 마시면 효과가 있다. 또한 피부에 좋은 비타민 C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 飮食 漫步/사찰음식 2016.11.01
무 조림 무 조림 추운 겨울철 감기 예방 영양식 ■ 안서연 | 사찰음식 걸구쟁이네 대표 무는 배추과에 속하는 채소로 한국과 중국, 일본 등지에서 주로 재배되고 있다. 원산지는 중앙아시아로 추정되고 있다. 배추와 같이 김장 재료로 널리 쓰이고 있는데, 모종으로 심지 않는다는 점에서 배추와 .. 飮食 漫步/사찰음식 2016.11.01
파래 초무침 파래 초무침 겨울철 영양 보충과 맛의 전령사 ■ 안서연 | 사찰음식 걸구쟁이네 대표 파래는 갈파랫과에 딸린 파래속을 통틀어 일컫는 말로 청태(靑苔)라고도 한다. 주로 민물이 흘러드는 각지의 연안에 분포하며, 약간 깊은 곳 바위나 다른 해조류에 부착해서 자란다. 추운 시기에 향과 .. 飮食 漫步/사찰음식 2016.11.01
시래기나물 시래기나물 감칠맛 일품인 대보름 별미 음식 ■ 안서연 | 사찰음식 걸구쟁이네 대표 시래기는 무의 줄기와 잎을 새끼 등으로 엮어 겨우내 말린 것이다. 시래기로 쓰는 무의 줄기는 푸른빛을 띠면서 연할수록 좋다. 소금물에 살짝 데쳐 통풍이 잘되는 곳에 걸어 말린 다음 냉동 보관하여 .. 飮食 漫步/사찰음식 2016.11.01
선비의 장어요리 이회두(二回頭) 선비의 장어요리 이회두(二回頭) (사진설명: 잠강의 장어) 스토리: 선비의 장어요리 이회두(二回頭)는 두번 다시 머리 돌려 돌아온다는 의미를 가진 호북(湖北) 잠강(潛江)의 정통요리이다. 이 요리는 현지의 풍속과 연관이 된다고 한다. 잠강에서는 해마다 단오가 되면 사위들이 너도 나..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11.01
이태백의 닭요리 한림계(翰林鷄) 이태백의 닭요리 한림계(翰林鷄) (사진설명: 안육의 산수와 이태백동상) 스토리: 이태백의 닭요리 한림계(翰林鷄)는 호북(湖北) 안육(安陸)의 정통요리이다. 사서의 기록에 의하면 당(唐)조 시인 이태백이 26살이 되는 해인 727년에 사천(四川)을 떠나 호북에 이르렀다고 한다. 호북의 안육..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11.01
조롱박 닭요리 호로계(葫蘆鷄) 조롱박 닭요리 호로계(葫蘆鷄) (사진설명: 조롱박 닭요리) 스토리: 조롱박 닭요리 호로계(葫蘆鷄)는 섬서(陝西) 서안(西安)의 정통요리이다. 서안 남쪽 교외의 시골에서 나는 왜왜계(倭倭鷄)라는 닭을 가지고 조롱박 닭요리를 만들어야 그 맛이 제대로 난다고 한다. 사육 1년만에 1,000kg정도..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11.01
탐관을 다스린 족발요리 대려대파주자(大荔帶把肘子) 탐관을 다스린 족발요리 대려대파주자(大荔帶把肘子) (사진설명: 족발요리) 스토리: 탐관을 다스린 족발요리 대려대파주자(大荔帶把肘子)는 400여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섬서(陝西)의 정통요리이다. 이 요리는 섬서요리 중 뜨르르한 명성을 자랑하는 <중국 식단>의 섬서..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