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백의 닭요리 한림계(翰林鷄)
(사진설명: 안육의 산수와 이태백동상)
스토리:
이태백의 닭요리 한림계(翰林鷄)는 호북(湖北) 안육(安陸)의 정통요리이다. 사서의 기록에 의하면 당(唐)조 시인 이태백이 26살이 되는 해인 727년에 사천(四川)을 떠나 호북에 이르렀다고 한다.
호북의 안육에 거처를 잡고 머문 10여년간 이태백은 현지의 유지들을 많이 사귀면서 다른 특별하게 하는 일 없이 마냥 벗들과 어울려 술을 마시면서 덧없는 세월을 보냈다.
이태백은 평소에 술안주로 닭고기와 오리고기, 게사니고기, 생선, 야채를 가장 좋아하고 쇠고기와 양고기도 가끔 선택했으나 돼지고기만은 절대로 먹지 않았다.
이태백의 식성을 잘 아는 벗들은 항상 닭과 오리, 게사니를 가지고 술안주를 만들어 함께 식도락을 즐겼다. 많은 음식에서도 이태백은 특히 닭고기 요리를 최고로 좋아했다.
그러다가 조정의 부름을 받은 이태백은 흐뭇한 기분에 다음과 같은 내용의 시를 쓰기도 했다. "산중에서 배갈을 곁들이니 가을철 모이좇는 닭은 한창 살찌네. 꼬마를 불러 닭요리를 맛보게 하니 꼬마는 웃으며 어른의 옷깃을 잡네"
이 시에는 곧 벼슬하게 될 즐거운 심정과 뜻을 이룬 의기양양함, 취하도록 술을 마시고 맛있는 닭고기를 먹는 모습이 그려져 있다. 그로부터 얼마 지나지 않아 이태백은 도읍으로 올라가 한림(翰林)이라는 벼슬을 지내게 되었고 그로부터 이태백이 즐겨 먹던 닭고기 요리는 한림계로 불리우면서 오늘에 이른다.
요리체계:
이태백의 닭요리 한림계(翰林鷄)는 일명 악채(鄂菜)로 불리우는 호북(湖北)요리에 속한다. 강한(江漢)벌판을 중심으로 무한(武漢)과 형주(荆州) 등지의 음식이 그 대표이다.
장강(長江)의 하류, 동정호(洞庭湖)의 북쪽에 위치, 강물과 호수가 많은 호북은 기후가 따뜻하고 물산이 풍부하다. 특히 민물생선이 많이 나고 산간지대에서는 온갖 진미를 찾을수 있다.
찌고 튀기고, 볶는 등 조리법을 많이 사용하는 호북요리는 국물이 짙고 걸죽하며 맛이 짙고 순하다. 물고기와 육류, 야채 등을 주요 식재로 하고 음식의 모양은 둥근 완자를 선호한다.
(사진설명: 이태백의 닭요리)
식재:
암탉 1마리(1,000그람정도), 케익 1조각(150그람), 새우살 150그람, 버섯 20그람, 소세지 20그람, 죽순 20그람
양념:
소금 5그람, 간장 10그람, 다시다 2그람, 후추가루 1그람, 막걸리 40그람, 미정 25그람, 닭육수 300그람, 녹말 15그람, 비게기름 50그람, 마늘 10그람, 파 5그람, 생강 5그람
조리법:
1. 닭을 깨끗이 손질해서 소금과 미정, 마늘, 파, 생강, 후추가루를 골고루 버무려 닭의 안팎에 발라서 2시간 둔다. 이어 닭을 시루에 올려 1시간 쪄낸 다음 닭뼈를 버리고 토막토막 잘라서 닭의 모양대로 그릇에 이쁘게 담는다.
2. 이쁘게 담은 닭은 그릇채로 시루에 올려 두 번째로 30분간 더 찐다.
3. 다진 새우살에 소금 1그람을 넣어 작은 완자를 빚는다. 새우와 버섯을 닭고기 사이사이에 두고 계속해서 5분간 찐다.
4. 냄비를 불에 올리고 비게기름이 더워나면 실처럼 채썬 소세지와 가늘게 썬 죽순을 넣어 볶다가 육수와 후추가루, 간장, 다시다, 막걸리, 소금을 넣어 끓으면 녹말로 마감해서 닭고기위에 뿌려 담는다.
5. 닭요리를 술안주로 하면서 이쁜 모양의 케익을 곁들이면 금상첨화이다.
특징:
이태백의 닭요리 한림계(翰林鷄)는 수차에 걸려 찌는 까다로운 조리법으로 만들어 닭의 모양이 유지되고 육질이 부드러우며 맛 또한 담백하고 고소해서 별미이다.
영양:
닭고기는 허한 체질에 좋고 비장과 근육을 든든하게 하며 혈을 돕기도 한다. 따라서 설사와 어지럼증이 있고 가슴 떨리거나 붓기가 있을 때, 혹은 산후에 닭고기가 좋다.
새우는 영양분이 많이 함유되고 육질이 부드러워 쉽게 인체에 섭취되며 심혈관질병을 예방하기도 한다. 소세지의 영양분도 쉽게 섭취되고 신장을 도움으로 골격을 든든하게 해준다.
버섯은 변비와 동맥경화, 당뇨 등 질병을 예방하는 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면역계의 기능을 향상시키고 진통효능도 가진다. 죽순에는 특히 비타민이 많이 함유되어 소화를 돕고 비만증에 식보역할을 하기도 한다.
주의사항:
통닭에 간할 때 양념을 닭뱃속에까지 닿도록 한다. 소스를 이쁘게 펴담은 닭고기위에 뿌려 담을때 골고루 가도록 유의하고 임의로 닭고기를 움직여서 닭의 완정한 모습이 깨지지 않도록 한다.
'飮食 漫步 > 중국요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드러운 돈육요리 응산활육(應山滑肉) (0) | 2016.11.04 |
---|---|
선비의 장어요리 이회두(二回頭) (0) | 2016.11.01 |
조롱박 닭요리 호로계(葫蘆鷄) (0) | 2016.11.01 |
탐관을 다스린 족발요리 대려대파주자(大荔帶把肘子) (0) | 2016.11.01 |
동씨의 훈제 양고기 노동가랍양육(老童家臘羊肉) (0) | 2016.1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