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도의 생선요리 포설황어(脯雪黃魚) 효도의 생선요리 포설황어(脯雪黃魚) (사진설명: 황제의 마음에 든 바위 청지수) 스토리: 효도의 생선요리 포설황어(脯雪黃魚)는 청(淸)조 건륭(乾隆)제가 직접 개발에 참여한 베이징(北京)의 정통요리이다. 포설황어는 눈위에 엎드린 조기를 뜻한다. 조기는 중국 중부의 주산(舟山)제도의..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11.21
담가요리의 샥스핀 황민어시(黃焖魚翅) 담가요리의 샥스핀 황민어시(黃焖魚翅) (사진설명: 담가요리집의 일각) 스토리: 담가요리의 샥스핀 황민어시(黃焖魚翅)는 베이징(北京)의 유명한 관가요리인 담가(譚家)요리의 대표메뉴이다. 담가채(譚家菜)로 불리우는 담가요리는 청(靑)의 후반에 관료로 있은 담종준(譚宗浚)의 ..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11.21
양고시 샤브샤브 쇄양육(涮羊肉) 양고시 샤브샤브 쇄양육(涮羊肉) (사진설명: 양고기 샤브샤브) 스토리: 양고시 샤브샤브 쇄양육(涮羊肉)은 원(元) 세조(世祖)에 의해 개발된 베이징(北京)의 요리이다. 중국의 북방지역에서 겨울이 되면 특히 인기인 양고기 샤브샤브는 최초로 1500여년전의 남북조(南北朝)때 만들어..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11.21
장소스 오이볶음 초황과장(炒黃瓜醬) 장소스 오이볶음 초황과장(炒黃瓜醬) (사진설명: 장소스 오이볶음) 스토리: 장소스 오이볶음 초황과장(炒黃瓜醬)은 중국의 동북지역에서 기원한 베이징(北京)의 요리이다. 중국의 동북지역에서는 많은 사람들이 야채를 날것으로 된장에 찍어 먹는다. 특히 만족은 끼니마다 익히지 않은 ..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11.21
술안주 귀비닭 귀비계(貴妃鷄) 술안주 귀비닭 귀비계(貴妃鷄) (사진설명: 귀비닭) 스토리: 술안주 귀비닭 귀비계(貴妃鷄)는 상해(上海)요리로 1920년대 당시의 유명 요리사가 <귀비취주(貴妃醉酒)>라는 베이징 오페라에 근거해 개발한 음식이다. 귀비닭의 귀비(貴妃)는 당(唐)조 현종(玄宗)제의 귀비였던 양귀비, 양옥..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11.11
정씨 형제의 족발 풍경정제(楓涇丁蹄) 정씨 형제의 족발 풍경정제(楓涇丁蹄) (사진설명: 풍경의 경치) 스토리: 정씨 형제의 족발 풍경정제(楓涇丁蹄)는 청(淸)나라때 정(丁)씨 두 형제가 풍경(楓涇)에서 개발한 상해(上海)요리이다. 전한데 의하면 그때 당시 정씨 두 형제는 상해 근교의 풍경에 "정의흥(丁義興)"이라는 이름의 음..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11.11
상해의 오리요리 팔보압(八寶鴨) 상해의 오리요리 팔보압(八寶鴨) (사진설명: 상해의 오리요리) 스토리: 성황묘의 오리요리 팔보압(八寶鴨)은 상해(上海) 성황묘(城隍廟) 식당에서 가장 잘 만드는 상해의 정통음식이다. 청(淸)나라때 벌써 영업을 한 성황묘 식당은 상해요리로 승부하는 음식점이었다. 팔보압이라는 이름..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11.11
至味無味의 극치, 제비집수프 至味無味의 극치, 제비집수프 중국요리 중에서도 최고급으로 꼽는 것은 제비집 수프다. 청나라 황제들이 즐겨 먹었다는 요리로 워낙 사치스런 고급요리이니 그림의 떡처럼 느껴질 수도 있겠지만 우리에게도 그다지 낯선 것만은 아니다. 고급 중식당이나 중국, 홍콩, 타이완 혹은 베트남 ..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11.11
농어 지리탕 사새노어탕(四鳃鲈魚湯) 농어 지리탕 사새노어탕(四鳃鲈魚湯) (사진설명: 농어 중 사새노어) 스토리: 농어 지리탕 사새노어탕(四鳃鲈魚湯)은 상해(上海) 송강(宋江)지역 최고의 정통음식이다. 아가미가 네 잎 달린 농어라는 의미의 사새노어는 송강과 관하(灌河)강에서만 나는 어류이다. 청색에 잿.. 飮食 漫步/중국요리 2016.11.11
질경이조림 질경이조림 식감과 감칠맛 뛰어난 봄철 음식 ■ 안서연 | 사찰음식 걸구쟁이네 대표 질경이는 끈질긴 생명력으로 각지의 들판이나 풀밭 어느 곳에서나 잘 자란다. 마차나 달구지가 다니는 길에서 흔히 볼 수 있어 차전초(車前草)라고 한다. 바퀴나 사람의 발에 짓밟혀도 다시 살아날 만큼.. 飮食 漫步/사찰음식 2016.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