雲水 天下 692

우리땅 영지 순례 - 금곡산 금곡사

우리땅 영지 순례 - 금곡산(삼기산) 금곡사 ♣순례일 : 2021. 11. 04 (목) 맑음 ♣순례자 : 초암 단독행 ■ 삼기산(금곡산) 삼기산은 경주 안강읍 두류리, 검단리와 현곡면 내태리, 무과리에 걸쳐 있는 해발 524m의 산이다. 늙은 여우 귀신이 원광법사에게 자신의 팔뚝을 보여줬다고 해서 비장산이라고도 한다. 지금은 금곡사가 있는 산이라고 해서 금곡산라고 부른다. 원광법사의 족적은 삼기산 금곡사지에 뚜렷하다. 원광과 밀본이 수행하던 고찰 금곡사 금곡사 터는 금계포란형의 명당으로 참으로 아늑하고도 푸근하다 금곡산과 금욕산이 어머니의 품처름 안아주니 길지임에 틀림이 없다 창건연대는 미상이나 신라시대에 원광(圓光)이 수행하던 사찰이다. 원광은 30세부터 4년 동안 이 절에서 수행하였고, 산신의 권유에..

우리땅 영지 순례 - 운제산 오어사 / 자장암 / 원효암

우리땅 영지 순례 - 운제산 오어사 / 자장암 / 원효암 ■ 순례일 : 2021. 10.20(수) 맑음 ■ 순례자 : 초암 단독 ■ 순례경로 : 오어사 - 자장암 - 원효암 구름사다리산인 운제산 ‘영일운제산오어사사적’(1774년)은 오어사를 병풍처럼 감싸 안고 있는 운제산 이름이 원효와 의상, 혜공과 자장에 관한 설화에서 비롯됐다고 전한다. 원효와 의상은 남쪽 벼랑바위에 살았고 혜공과 자장은 북쪽 산꼭대기에 머물렀다. 구름(雲)을 사다리(梯)처럼 걸쳐놓고 바위와 산꼭대기를 오갔다고 해서 운제산, 구름사다리산이라 불렀다. 자장과 원효 의상은 중국의 종남산 운제사에서 공부를 했거나 관련된 일화가 있는데 이 때문에 생겨난 이름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18세기 중반 때까지만 해도 의상암과 자장암, 원효암과 혜공..

우리땅 영지 순례 - 함월산 골굴사

우리땅 영지 순례 - 함월산 골굴사 청학이 놀던 자리 구름만 떠도나니 흰 절벽 동혈마다 불보살 자비 미소 무승들 기합소리 천지를 깨우는데 원효성사 발자취 저멀리 아련하네 ■ 순레일 : 2021. 10. 31(일) 맑음 ■ 순례자 : 초암 단독행 ■ 골굴사(骨窟寺) 골굴사(骨窟寺)는 경주시 양북면 안동리 함월산에 위치한 사찰로서, 선무도(禪武道)의 총본산이다. 「한국의 소림사」라는 별명이 있다. 해동제일 지장보살 영험성지 약 1,500여 년 전 6세기 신라시대에 인도에서 온 광유선인 일행이 경주 함월산에 정착하면서 골굴사와 기림사를 창건했다고 한다. 경주에서 동해안으로 약 20km 떨어진 곳에 자리잡고 있으며, 함월산 불교 유적지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간직하고 있다 이 중에서 골굴사는 광유스님 일행이 인도..

오럭스 기초 사용법

오럭스 기초 사용법 오럭스는 맵 뷰어(지도 화면 보기) 상단에 5가지 주요 메뉴가 있습니다. 꼬부랑길로 표시된 [트랙]과 압정으로 표시된 [포인트] , 고속도로 표시인 [경로], [지도], 그리고 [기타]등 주요 메뉴는 5가지입니다. 1. 오럭스에서 트랙은 주로 GPS 신호를 받아 기록중인 실트랙을 의미합니다. 트랙은 GPS 신호를 받아 자동으로 기록되는 (실)트랙과 수동으로 작성한 (手)트랙이 있습니다. * 좌상단의 꼬부랑길 아이콘은 의미는 꼬불꼬불 지나온 실트랙을 의미합니다. 트랙는 루트로 전환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루트는 목적지까지 이어진 길로 길안내을 받으며 안전하게 다녀올 수 있습니다. 오럭스는 트랙을 루트로 만들어 주는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아래그림 처럼 루트는 주로 파란색으로 표시되..

우리땅 영지 순례 - 문무대왕릉 / 감은사지 / 이견대

우리땅 영지 순례 - 문무대왕릉 / 감은사지 / 이견대 ■ 순례일 : 2021. 10.20(수) 맑음 ■ 순례자 : 초암 단독 ■ 순례경로 : 문무대왕릉 - 감은사지 - 이견대 억겁의 세월을 바라보며 저 파도는 오늘도 부셔지는데 의연한 바위섬엔 바람 소리만 가득하다 침묵으로 천년을 살았거니와 오늘의 바램은 내 안에 있네 나그네 그 눈길에 희로애락을 말하니 저 구름이 웃고가네 문무대왕릉(대왕암) 토함산 뒤쪽에서 발원한 물줄기가 대종천을 이루고 그 물줄기가 동해로 흘러드는 감포 앞바다. 봉길리해수욕장이 들어선 이곳 해안에 서면 바다 쪽으로 약 200m 떨어진 곳에 바다 경치를 돋우는 아담한 바위섬이 눈에 들어온다. 이곳이 바로 삼국통일을 이룩한 신라 제 30대 문무왕 (661-681)의 산골처(散骨處) 혹은..

우리땅 영지 순례 - 팔공산 중암암

우리땅 영지 순례 - 팔공산 중암봉 중암암 삼법인을 증득하여 극락굴로 들어가니 불계이며, 돌구멍을 통하여 중암암에 들어서니 선계로세 팔공산(八公山) 은해사골은 골짜기 전체가 화엄불국토(華嚴佛國土)이다 팔공산 주능선 남녁에 동화사가 있다면 산 동녁에는 은해사가 있다 즉 남동화(南桐華) 동은해(東銀海)다 팔공산 정상인 비로봉에서 동남으로 뻗어내린 용맥이 솟아올라 운부봉을 만들고 연이어 은해봉을 만든다 은해사골은 운부봉(雲浮峰)에서 동으로 꿈틀대며 흐르는 좌청룡과 은해봉(銀海峰)에서 동으로 용틀임친 우백호가 크게 둘러싸고 두개의 지맥이 골을 갈라 새개의 작은 골을 만든다 골의 좁은 입구인 수구처(水口處)에 은해사가 자리잡고 있어 마치 병 주둥이를 막고 골짜기의 지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듯 하다 은해사에 ..

우리땅 영지 순례 - 팔공산 중암암

우리땅 영지 순례 - 팔공산 중암암 삼법인을 증득하여 극락굴로 들어가니 불계이며, 돌구멍을 통하여 중암암에 들어서니 선계로세 팔공산(八公山) 은해사골은 골짜기 전체가 화엄불국토(華嚴佛國土)이다 팔공산 주능선 남녁에 동화사가 있다면 산 동녁에는 은해사가 있다 즉 남동화(南桐華) 동은해(東銀海)다 팔공산 정상인 비로봉에서 동남으로 뻗어내린 용맥이 솟아올라 운부봉을 만들고 연이어 은해봉을 만든다 은해사골은 운부봉(雲浮峰)에서 동으로 꿈틀대며 흐르는 좌청룡과 은해봉(銀海峰)에서 동으로 용틀임친 우백호가 크게 둘러싸고 두개의 지맥이 골을 갈라 새개의 작은 골을 만든다 골의 좁은 입구인 수구처(水口處)에 은해사가 자리잡고 있어 마치 병 주둥이를 막고 골짜기의 지기가 새는 것을 방지하고 있는듯 하다 은해사에 딸린 산..

우리땅 영지 순례 - 대성산 정취암

우리땅 영지 순례 - 대성산 정취암 해발 450m 벼랑 끝 암자에 자비의 서광이 비추나니..... 정취암은 정취보살을 본존불로 모신다 우리나라에서 유일무이하다 정취보살은 관세음보살의 이명인데 그래서 모신 전각의 이름도 원통전이다 정취보살의 명호를 따 암자 이름도 정취암이라고 지었다 대성산 기슭 암벽단애에 위에 위치하는데 풍광이 일품이다 산청 10경에 속한다 대성산을 살펴보다 정취암의 진산은 대성산(大成山 593m)이고 조산(朝山)은 둔철산이다 둔철산의 높이는 812m로, 3번 국도의 지리산 입구와 산청군 사이에 있다. 동쪽으로 대성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연결돼 있다. 대성산 끝자락 암벽 사이에 정취암이 있다. 정취암 - 화엄경에서 선재가 만난 29번째 선지식인 정취보살 모신 관음성지 육산 즉 토산에서 산..

우리땅 영지 순례 - 계룡산 등운암

우리땅 영빨터 순례 - 계룡산 연천봉 등운암 계룡산 신원사 일주문 주련의 다음 시가 낭객(浪客)의 심금을 울린다​ 歷千劫而不古 (역천겁이불고) 천겁의 세월이 지나도 옛날이 아니요 亘萬歲而長今 (긍만세이장금) 일만세를 지나도 언제나 지금일세 계룡산(鷄龍山)은 과연 어떤 산인가? 백두대간이 지리산에 이르기 전, 백운산 어름에서 큰 산맥 하나가 백두대간과 갈라져 서쪽으로 뻗어간다 이 산맥을 금남호남정맥이라 부른다 금남호남정맥은 덕대산에서 다시 방향을 틍어 북쪽으로 나아가며 팔공산, 성수산, 마이산을 솟아 올린다 마이산에서는 크게 두갈래로 갈라져 남북으로 향한다 여기서 북쪽으로 뻗은 산맥은 금남정맥, 남쪽으로 뻗은 산맥은 호남정맥으로 불리운다 금남정맥은 마이산을 지나 운장산, 대둔산, 등을 빚어올리며 계속 북상..

조용헌의 영지 순례 -계룡산 기천문

조용헌의 영지 순례 - 계룡산 기천문 설악산 늑대소년 통해 속세로 나온 3000년 무술의 정체 기(氣). 이것이 도대체 무엇이길래 수천 년 동안 이 땅에서 그 맥이 이어져 오고 있을까. 끊어질 듯 끊어질 듯하면서도 끊어지지 않고 이어져 온 것이 기다. ‘보이지도 잡히지도 아니하고 무게도 형체도 이름도 없으니 이를 이름하여 기천(氣天)이라 하느니라. 말이나 글에 집착하지 말고 몸으로만 수행하라. 바람은 눈에 보이지 않나니 스쳐 보아야 그 위력을 아느니라.’ 단군 이래 내려오는 전통 무술을 연마하는 단체인 ‘기천문(氣天門)’에서 내건 캐치프레이즈이다. 단군 이래라고 한다면 적어도 3000년을 넘게 거슬러 올라가는 역사이다. 고조선 시대 이래로 고구려의 조의선인(早衣仙人)을 거쳐 고려·조선 때도 끊어지지 않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