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의 채집과 저장,금기약,상극약,꺼리는 약,해독법 약초의 채집과 저장,금기약,상극약,꺼리는 약,해독법 ▶민간요법에 임하는 마음가짐 ▣ 신체에 이상이 나타나고 질병이 발생되는 근본적인 원인은 잘못된 생활습관과 바르지 못한 먹거리를 섭취하는 것에서 비롯된다. 그러므로 무릇 건강을 회복하려는 사람들은 병세가 깊을수록 평소.. 本草房/본초학 2014.06.23
버섯도감 버섯도감 ㄱ 가지색그물버섯 Boletus violaceofuscus 갈색고리갓버섯 Lepiota cristata 갈색털느타리 Lentinellus urusinus 개나리광대버섯 Amanita subjunguillea 개암버섯 Naematoloma sublateritium 귀버섯 Crepidotus mollis 그물목이(미로목이) Protodaedalea hispida 금빛비늘버섯 Pholiota aurivella 곰보버섯new 광대버섯new 간버.. 本草房/본초학 2014.06.23
本草學 本 草 學 약을 법제하는 방법 (修製法) 풍증약은 떠오르고 생겨나게 한다 처방할 때 약을 배합하는 방법 열증약은 뜨며 자라게 한다 약의 기미와 승강 (氣味升降) 습증약은 변화 무성하게 5가지 맛의 약성 (五味藥性) 조증약은 내려가고 수렴하게 한다 약을 먹는 방법 (腹藥法) 한증약은 가.. 本草房/본초학 2014.06.23
약재료 채취와 저장법 약재료 채취와 저장법 약재료를 채집할 때 산야초를 채집할 때에는 그 종류와 특징을 정확하게 판별할 줄 알아야 한다는 것이 첫째 조건이다. 식물에는 비슷한 종류가 많아서 전문가들도 쉽게 식별이 잘 안되는 경우도 있다. 채취 계절, 채취 방법 및 약으로 쓰이는 부분에 따라 그 효능.. 本草房/본초학 2014.06.22
삼칠(三七) 삼칠(三七) 삼칠이라고도 하는 전칠은 옷나무의 끈적끈적한 점물(黏物)과 같다 해서, 또는 생긴 형태로 보아 이름지어진 것으로 본초강목(本草綱目)는 기엽좌삼우사(其葉左三 右四)로 삼칠(三七), 토삼칠(土三七)이라 하였고, 금불환(金不換)이라고도 하는데 이는 돈을 줘도 못산다 바꿀 .. 本草房/약초(ㅅ) 2014.06.20
나도하수오(주사칠) , 나도하수오[주사칠(朱砂七)] 주사칠(朱砂七), 주사연(朱砂蓮), 후혈칠(猴血七), 혈삼칠(血三七)등 많은 이름으로 불리며 약명은 하수오(何首烏)입니다. 우리나라 전역 산지 능선이나 골짜기 개울가 등지의 초원지 및 떨기나무가 자라는 데서 자생합니다. 덩굴식물로 전초는 1-2m 정도.. 本草房/약초(ㅎ) 2014.06.03
적하수오 적하수오,야생 적하수오 효능과 작용,적하수오 엑기스, 야생 적하수오 효능과 복용법 적하수오(赤何首烏) 적하수오(赤何首烏)는마디풀(Polygonaceae)과 식물로서 덩굴뻗는 다년생 입니다. 적하수오(赤何首烏) 하수오는 옛날부터 산삼과 견줄 만한 영약으로 알려져 왔으며 자양강장약으로 이.. 本草房/약초(ㅈ) 2014.06.03
차전초(질경이) 차전초(질경이) 차전자(車前子), 차전초(車前草) 효능 본품은 식물명으로 질경이라 하며, 약명으로 성숙한 종자를 차전자(車前子)라 하고, 전초(全草)를 차전초(車前草)라 하여 약재로 쓰는데 전라도, 경상도 방언으로는 빼뿌쟁이 라고도 부릅니다. 필자도 어렸을적 선친께서 빼뿌쟁이라.. 本草房/약초(ㅊ) 2014.06.03
접골목 접골목 접골초, 말오줌나무, 투골초라고도 불리는 접골목은 뼈가 부러졌을 시 단단하게 잘 붙여주는 효과가 뛰어나며 맛은 쓰고 잘며 독이 없이 평한 성질을 가졌고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어 체내의 유해한 습 & 풍사를 몸 밖으로 배출시켜주는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각종 통증을 완.. 本草房/약초(ㅈ) 2014.06.03
의이인 율무, 의이인, 율무효능과 복용법, 율무 차 율무의 효능과 먹는방법 율무는 벼목 화본과의 한해살이 풀입니다. 의이인(薏苡仁), 의주자, 인미, 의미(薏米) 등으로 불립니다. 율무는 벼과의 1년생 초본식물로, 1.5~2.0m정도 자라며, 줄기의 속이 비어있고 마디는 13~18개 정도입니다. 잎은 어긋.. 本草房/약초(ㅇ) 2014.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