藥物(약물) 歸經(귀경)의 意義(의의) 藥物(약물) 歸經(귀경)의 意義(의의) 臨床(임상) 실천에서 歸經理論(귀경이론)은 몇 가지 特徵(특징)이 있다. ① 臨床(임상)에서 藥物(약물)을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寒性藥物(한성약물)은 물론 淸熱(청열)작용은 있지만 그 작용범위가 淸肺熱(청폐열)인가 淸肝熱(청간열)인가를 알.. 本草房/본초학 2014.07.17
本草(본초)의 定義와 氣味論(기미론) 本草(본초)의 定義와 氣味論(기미론) 1. 本草(본초)의 定義 本草(본초)란 自然(자연)에서 얻어지는 天然産物(천연산물)인 植物性(식물성)의 本草植物(초본식물)과 木本植物(목본식물) 및 動物性(동물성), 鑛物性産物(광물성산물)중에서 人體(인체)의 疾病治療(질병치료)에 使用(사용)되고 있.. 本草房/본초학 2014.07.17
2) 溫熱藥(온열약)과 寒凉藥(한량약) 溫熱藥(온열약)과 寒凉藥(한량약) ① 溫熱藥(온열약) 溫熱藥(온열약)은 臟腑(장부)와 經絡(경락)을 따뜻하게 하는 藥(약)이다. 溫熱藥物(온열약물)은 散寒(산한), 解表(해표), 回陽(회양), 通絡(통락), 活血(활혈), 散瘀(산어), 寒溫(한온) 등의 作用(작용)이 있어 陰證(음증), 寒證(한증), 虛證(.. 本草房/본초학 2014.07.17
五味(오미)의 意味(의미)와 작용 五味(오미)의 意味(의미)와 작용 (1) 五味(오미)의 意味(의미) 五味(오미)의 味(미)자는 藥物(약물)의 맛이다. 五味(오미)는 辛(신), 甘(감), 酸(산), 苦(고), 鹹味 (함미)의 다섯을 말하며, 이 외에 淡(담), 澁味(삽미)가 있다. 五味(오미)는 맛이 다르면 作用(작용)도 다르고, 맛이 같으면 作用(작.. 本草房/본초학 2014.07.17
한약 달이는법 한약 달이는법 한약은 어떻게 달여야 하는가? 달이는 방법에 따라 한약은 효과가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다. 예로부터 한약을 달일때는 정성을 다하여야 한다고했다. 그래서 "세"가지 정성에 하나가 된다고 했다. 달이는 그릇으로는 역시 은으로 만든것이 제일 좋다. 다음은 활석이나 흙으.. 本草房/본초학 2014.07.15
붕어 붕어 1. 붕어의 성분 붕어의 성분을 보면 단백질․지방․탄수화물․회분․칼슘 등은 물론이고 더 중요한 것은 아미노산이 들어있고, 지방산으로서 팔미틴산․팔미토올레인산․리놀산 등이 들어 있다. 2. 붕어의 효능 옛날 어느 효자가 있었는데, 어머니가 병환으로 누.. 本草房/약초(ㅂ) 2014.07.01
구룡초 구룡초 Ranunculus sceleratus 구룡초/놋동우 개구리자리(구룡초) var articleno = "1522";건강상식과 일상생활에서-구룡초는 물가에 자라는 미나리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이다. 구룡초는 그 즙액이 살갗에 닿기만 해도 물집이 생길 정도로 독성이 강하다. 그러나 이 독성을 잘 이용하면 류머티즘 관.. 本草房/약초(ㄱ) 2014.07.01
장어 장어 무기력증, 만성피로, 허약증, 병후회복 및 저항력을 길러주는 음식인 장어~! 또한 몸이 허하고 노약자에게 원기회복을 시켜주며 피로감을 물리쳐주는 몸보신에 효과가 뛰어난 장어즙효능~! 대표적인 보양식인 장어에 대해 간단히 알아봐요~! 장어즙효능으로 가장 대표적일 수 있는 .. 本草房/약초(ㅈ) 2014.07.01
방풍 방풍 방풍(防風)은 중풍(中風)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데 효과가 큰 약초이다. 또 풍한(風寒)과 풍열(風熱)로 인한 관절통을 해소하는 데에도 큰 효과를 발휘한다. 특히 형개와 함께 쓰면 냉한 기운을 치료하는 데 더 큰 효과가 있다. 또 총백(蔥白)과 함께 쓰면 풍한을 발산시키는 데 더 큰 .. 本草房/약초(ㅂ) 2014.07.01
생강나무 생강나무 생강나무는 나무를 꺾어서 냄새를 맡아보면 생강냄새가 난다하여 생강나무로 불린다. 생강나무 씨앗속에는 카프릭산, 동백산등이 들어 있어서 생강나무 열매에서 짜낸 기름은 동백기름 대용으 로도 사용 하였다고 한다. 생강나무는 소음인에게 더 좋다고 한다. *. 효능알아보.. 本草房/약초(ㅅ) 2014.0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