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14155

경주 여근곡

경주 오봉산 여근곡 陰陽 부조화로 眞穴 못 맺는 '虛花' 女根谷= 신라 선덕여왕의 지기3사(知機三事) 설화로 널리 알려진 곳으로 경주시 건천읍 신평리에 있다. 경부고속도로 경주터널 근방으로 부산방면 경우 오른쪽이다. 산의 형태가 여성의 신체 일부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오봉산(五峰山) 등산로의 일부로 산 정상 부근에 김유신 장군과 연관되는 마당바위, 의상대사가 창건했다고 전해지는 주사암(朱砂庵) 등이 있다. 꽃의 본질은 열매를 맺는 것이다. 그러나 허화(虛花)는 결실을 맺지 못한다. 꽃은 꽃이되 참된 꽃이 아니란 얘기다. 풍수에서의 허화는 진혈(眞穴)의 반대어가 된다. 비혈(非穴), 가혈(假穴)과 같은 말이다. 이 허화도 언뜻 보면 명당의 요건을 갖춘 것처럼 보인다. 주위의 지형이 그럴듯하다는 ..

견비통의 침구 및 약물 기타 요법

견비통의 침구 및 약물 기타 요법 어깨 통증은 어깨 관절 부위에 병이 생겨 팔을 잘 움직이지 못하면서 아픈 증상이다. 물질대사 장애, 혈액순환 장애 등으로 관절 주위 연부 조직에 만성염증, 노인성 퇴행이 생기면서 기능장애를 수반하는 특징이 있다. 그 밖에 외상, 종양 등으로 인해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어깨마디 주위에 불쾌감을 느끼거나, 어깨를 무겁게 짓누르는 느낌이 있다. 초기에는 지속적으로 뻐근함을 느끼다가 점차 팔을 들기 어려우면서 팔을 뒤로 돌리기도 힘들게 된다. 일반적으로 밤에 더 통증을 느끼며, 심하면 통증 부위에 변형이 생기기도 한다. 전통의학에서는 어깨를 주관하는 장기를 심포(心包)와 삼초(三焦)로 본다. 심포와 삼초는 경락(經絡)으로는 존재하면서 우리 몸에 영향을 주지만, 눈으로는 보이지..

대구제일중 돌거북

대구제일중 돌거북 ▲ 돌거북에서 바라본 대구 앞산. 겉으론 평온해 보이지만 올라보면 거대한 암반으로 이루어진 화산이다. 돌거북은 이 앞산의 화기를 누르기 위해 세워진 것이다. ▲ 돌거북. 머리는 남쪽, 꼬리는 북쪽을 향하고 있다. 꼬리 부분에 명당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 진산(鎭山)= 사람들이 집단적으로 거주하는 양기풍수(陽基風水)에서 주산(主山) 대신 쓰이는 용어로 음택풍수에서는 쓰이지 않는다. 마을이나 도시 뒤에 위치하여 그 마을이나 도시를 보호하는 수호신 역할을 한다고 본다. 그러므로 어느 마을이나 이 진산을 갖는다. 산신사상과 풍수사상이 결합된 것으로 보기도 하나 확실한 어원을 불분명하다. 대부분 그 터에 가까운 뒷산을 진산으로 삼으며, 주산 뒤 더 큰 봉우리를 뜻하기도 한다. 요즘은 주산과..

장성 여흥민씨 묘

장성 여흥민씨 묘 울산김씨 발복지 여흥민씨 묘 울산김씨의 발복지로 유명한 여흥민씨 묘는 전남 장성군 북이면 달성리 351-1(돗재로 207-19)에 있다. 전남 장성은 지금은 홍길동의 고장으로 알려지고 있다. 그렇지만 예전에는 선비의 고장으로 더욱 유명했다. 하서 김인후를 비롯하여 퇴계와 사단칠정논변으로 유명한 고봉 기대승, 조선의 마지막 유학 거장으로 평가되는 노사 기정진 등이 활동했기 때문이다. 조선 후기 흥선대원군은 문불여장성(文不如長城)이라 하여 학문으로는 장성만한 곳이 없다고 평가하였다. 호남에는 많은 명문가들이 있다. 이중 울산김씨는 두 번째 가라면 서러워하는 가문이다. 여러 요인들이 있겠지만 풍수가에서는 여흥민씨 할머니 묘 발복 때문으로 보고 있다. 후손들 역시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 묘역..

건강 약주 - 자실주

건강 약주 - 자실주 ▣ 효능 개오동 나무의 열매인 자실은 간암,간경화, 간홍, 간위,백혈병과 같은 난치병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재료의 약성 개 오동나무는 능소화과(Bignoniaceae)에 속하는 낙엽활엽교목(喬木)으로, 잎은 다소 넓어 여느 식물의 잎과 아주 판이하며 광난형(廣卵形)이며, 밑부분은 심장 모양을 하고 있으며, 끝부분은 날카롭고 파상(波狀)의 톱니가 있거나 아니면 세 갈래로 얇게 갈라지며, 잎자루는 자못 길다. 7월에 엷은 노란색의 꽃이 피며, 원추화서로서 정생(頂生)한다. 과실은 삭과 (朔果)이고, 긴 팥(과실)을 연상케 하는데 길이는 최대 30cm 내외에 이르고 한 개의 과병(果柄)에 여러개가 달려 하수(下垂)되어 있다. 개오동나무에 대한 동양의약적인 기술은 ..

건강 약주 - 정향주(丁香酒)

건강 약주 - 정향주(丁香酒) ▣ 효능 정향은 방향성 건위제로서 복부의 냉증, 구토, 식욕 부진, 복통 등을 치료하는 효과가 있다. ▣ 재료의 약성 금 양과의 상록 소교목으로 줄기는 높이 4∼7m이다. 잎은 마주나고 향기가 있으며 바소꼴이다. 꽃은 흰색으로 가지 끝에 모여 달리고 꽃잎은 4개이다. 꽃이 피기 전의 꽃봉오리를 수집하여 말린 것을 정향 또는 정자(丁字)라고 한다. 꽃봉오리의 형태가 못처럼 생기고 향기가 있으므로 정향이라고 한다. 매우 향기로우므로 그대로 또는 분말로 사용하고, 물이나 증기로 빼낸 정향유를 활용한다. 식품, 약품, 방부제 등에 쓰거나, 발작증을 비롯하여 치과에서 진통제 등으로 쓴다. 정향은 그 산출량이 적기 때문에 꽃봉오리뿐만 아니라 꽃대와 열매까지도 모두 이용하고 있다. 서양..

건강 약주 - 진피주

건강 약주 - 진피주 ▣ 효능 건위 작용을 하고, 식욕을 돋구어 주며, 오심(惡心), 헛배 부른증상, 구토 증상에 효과적이다. ▣ 재료의 약성 진 피(陣皮)란 감귤의 껍질을 말린 한방약이다. 집에서 감귤을 먹기 전에 깨끗이 씻은 후 껍질을 벗겨 말리면 충분히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진귤피(陳橘皮)라고도 한다. 아직 덜 익은 파란 과피는 청귤피라고 하며, 황숙한 과피를 진피(진귤피)라고 한다. 쓴맛과 향기가 있고, 소화 불량, 식욕 부진, 위가 더부룩한 증상, 배가 당기는 증상, 구토 등에 사용한다. 정유 성분은 리모넨, 그 박에 헤스페리진, 비타민 B1 등을 함유하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채취 후 1년 정도 경과한 향기가 강한 것을 상품(上品)으로 취급하며, 방향 고미 건위제 외에, 진토(鎭吐) , 진해..

건강 약주 - 천문동주

건강 약주 - 천문동주 ▣ 효능 아스파라긴, 코린, 알기닌 등 유효 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강장, 이뇨, 각혈, 피로 회복, 식욕 증진, 전신 안정, 안면(安眠)에 효과가 뛰어나다. ▣ 재료의 약성 천 문동(天門冬)은 해변의 모래밭에서 자라는 숙근초다. 뿌리는 달걀색 구근으로 길이 5cm 정도, 두께는 2cm 전후로 여러 개가 붙어 있다. 줄기는 잘 뻗으며 다른 나무에 옮겨 뻗기도 한다. 잎은 짧고 단단한 가시가 있으며, 길이 2cm 정도이다. 꽃은 담록색의 6판화로 작은 편이며, 열매는 둥글다. 술을 담글 때는 뿌리를 잘 씻어 2~3 분 정도 열탕(熱湯)으로 데쳐 말린 다음에 사용한다 .전신을 강건하게 하며, 특히 호흡 기관을 튼튼하게 해 준다. 중년 이후에 마시면 아주 좋은 약술이다. 맥문동(麥門..

건강 약주 - 치자주

건강 약주 - 치자주 ▣ 효능 치자 열매는 그로신, 사포닌 등을, 치자꽃은 다량의 향지(香脂)를 함유하고 있어 피로 회복, 최면, 건위, 이뇨, 정장, 해열, 식욕 증진 등에 그 효능을 인정 받고 있다. ▣ 재료의 약성 치 자(梔子)나무는 지자(支子)라고도 불리는 열대 및 아열대 식물로서 꼭두서니과(Rubiaceae)에 속하는 늘푸른 넓은 잎 떨기나무인데 꽃향기가 뛰어나 정원수로 많이 재배된다. 높이는 2~3m 정도이며, 잎은 긴 타원형의 피침형이고, 윤기가 난다. 꽃은 여름에 피고, 열매는 황갈색을 띤다. 술을 담끌 때는 꽃과 열매를 사용한다. 열 매는 언제든 구할 수 있고, 꽃은 여름에 피므로 그 시기를 고려하여 담그도록 한다. 꽃은 활짝 피기 직전의 것이 좋고, 열매는 완전히 익어 꽃받침대가 시들기..

건강 약주 - 칡주

건강 약주 - 칡주 ▣ 효능 갈근에는 많은 양의 전분이 포함되어 있다. 초기 감기, 발한(發汗), 해열, 정장 등에 효과가 크다. ▣ 재료의 약성 칡은 산과 들에 자생한다. 줄기가 6~8m 이상 되는 것도 있으며, 잎은 크고 달걀형이다. 표면은 짙은 녹색, 밑부분은 흰색을 띠고 있다. 나비 모양의 자주색 꽃이 핀다. 뿌리는 갈근(葛根)이라 하여 약용으로 쓰이고, 또 뿌리의 전분으로 갈분(葛粉)을 만들어 식용으로 사용한다. 토혈이 그치지 않을 때 갈근 즙 반 되를 한번에 마시면 쉽게 그친다. 요통(腰痛)에 생갈근즙을 마신다. 미역을 먹고 체했을 때 갈근을 진하게 달여 마신다. 당뇨병에 갈엽(葛葉)으로 맑은 즙을 내어 작은 잔으로 두잔씩 하루 3회 마시면 좋다. ▣ 만드는 법 ⊙ 재료 칡 1kg / 소주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