病症別 鍼處方 1475

대상포진의 특효혈과 치료

대상포진의 특효혈과 치료 대상포진은 어혈이 피부에 뭉치는 현상인데, 신경의 일정한 주행(走行)에 따라 생기는 경우가 많다. 주로 등, 허리, 얼굴에 많이 생긴다. 그 중에서도 특히 3차신경주행부위에 잘 생긴다. 대상포진이 생기기 전에 환자에 따라서는 열이 나기도 하고, 경미한 오한이 있기도 하며, 온몸에 맥이 풀리는 등의 증상이 있다. 그러다가 2~3일 지나면 일정한 신경주행을 따라 감각 이상과 신경통 등이 있으면서 갑자기 그 부위의 피부에 빨간색의 작은 반점들이 돋는다. 이것이 물집으로 되였다가 점차 염증으로 변하면서 딱지가 앉는다. 이러한 물집이 신경주행을 따라 마치 띠 모양으로 배열된다. 자각증상은 대상포진이 생긴 국소의 작열감(灼熱感), 통증, 가려움증이다. 전통의학에서는 허리를 둘러싸고 잘 생긴..

감모(감기) - 명혈과 특효 침술법

감모(감기) - 명혈과 특효 침술법 날씨가 추워지면 감기에 시달리는 사람이 많다. 이렇게 날씨가 추워지면 한기(寒氣)를 이기지 못하고 감기에 시달리는 이유는 평소에 화학적으로 가공한 인스턴트식품이나 패스트푸드 등 서구식의 비자연적인 식생활로 체질이 약해졌기 때문이다. 즉 화학 독소 등에 의해 체질이 약해진 상태에서 추운 기운이 닥치면 이를 감내하지 못하고 몸살을 앓는 것이다. 때로 저항력이 심하게 약해진 경우에는 더운 날씨마저 감내하지 못하고 감기에 시달리기도 한다. 전통의학에서는 감기를 감모(感冒))라고 하는데, 대체로 체력이 허약해졌을 때 풍한(風寒)이나 풍열(風熱)이 피부와 기도에 침습하여 폐 기능을 장애하기 때문에 생긴다고 하였다. 따라서 전통의학에서는 감기를 증상에 따라 풍한 감기와 풍열 감기로..

구안와사 치료의 특효 혈과 침술법

구안와사 치료의 특효 혈과 침술법 구안와사는 입과 눈이 한쪽으로 돌아간 병증이다. 이렇게 입과 눈이 한쪽으로 돌아가면 음식을 제대로 씹을 수 없을뿐더러, 음식이 새어 나오거나 입안에 걸려 삼키지 못하게 된다. 또 눈을 감을 수 없어 잠을 잘 때 고통이 심하고, 마비된 쪽의 귀가 예민해져 날카로운 소리에 통증을 느끼게 된다. 심하면 혀의 미각세포도 마비되어 맛을 느끼지 못하게 된다. 대개는 풍담(風痰)이 안면의 경맥에 침습하여 기혈이 잘 통하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다. 구안와사는 발생 형태에 따라 중추성과 말초성으로 나뉜다. 중추성 구안와사는 구와사라고도 하는데, 대개 뇌혈관 질병과 뇌종양이 있을 때 나타난다. 입만 한쪽으로 돌아갔을 뿐, 얼굴 윗부분의 근육에는 마비가 없는 것이 특징이다. 말초성 구안와사는..

제반 부종 치료의 특효 혈과 침술법

제반 부종 치료의 특효 혈과 침술법 몸이 붓는 부종,수분 혈에 침하면 해결된다 부종은 몸속에 체액이 머물러 있어 얼굴과 팔다리, 배가 붓는 병증이다. 심하면 온몸이 붓기도 한다. 증상은 발생 부위와 병인(病因), 그리고 허실(虛失)에 따라 일정하지 않으나, 일반적으로 오줌 양이 적어지면서 몸이 붓는 것이 특징이다. 붓는 순서는 눈까풀에서 시작되어 점차 얼굴, 손발, 온몸으로 퍼지는 것이 보통이다. 때로는 다리에서부터 점차 온몸으로 퍼지는 경우도 있다. 부종의 발생은 본래 사람에게 주어지지 않은 먹을거리인 육류 음식과 화학첨가제로 가공한 인스턴트식품 등 비자연적인 음식을 섭취함으로써 불순한 음식의 용해물이 대사되지 않고 체내에 쌓임으로써 생기기도 하고, 폐·비장·신장·방광·삼초(三焦)의 기능이 장애됨으로써..

급성화농성감염증의 특효 혈과 침술법

급성화농성감염증의 특효 혈과 침술법 뾰루지와 생인손, 영대 혈에 침하면 사라진다 창양(瘡瘍)이라고도 하는 급성 화농성감염증은 겉으로 생기는 여러 가지 질환과 피부 질환을 통틀어 가리킨다. 『소문(素問)』의 을 보면 창양은 살갗에 생기는 종양(腫瘍), 궤양(潰瘍), 옹(癰), 저(疽), 정창(?瘡), 절종(癤腫), 유주(流注), 유담(流痰), 나력() 등 온갖 피부병을 포괄한다고 하였다. 대부분 독소가 속으로 파고들어가 사열(邪熱)이 혈(血)을 태움으로써 생긴다. 흔히 뾰루지라고 부른다. 얼굴에 잘 생기는 뾰루지는 털구멍이나 땀구멍에 고름이 든 작은 종기로서 그 자체는 중하지 않다. 그러나 곪기 전에 짜거나 째면 패혈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뾰루지가 매우 단단하고, 뿌리가 깊으며, 형태가 ..

단독 치료의 특효 혈과 침술법

단독 치료의 특효 혈과 침술법 전염성 단독 -합곡 혈에 침하여 잡는다 단독(丹毒)은 독성이 매우 강한 용혈성(溶血性) 연쇄상구균(連鎖狀球菌)에 의해 피하조직과 피부에 나타나는 접촉 전염성 질환으로 납작한 모양으로 빨갛게 부어오른다. 주로 얼굴과 머리에 생기는데, 초기에는 환부가 연지를 찍은 것처럼 온통 새빨갛고 가장자리의 경계가 뚜렷하다. 지지듯이 열이 나고, 가려웠다 아팠다 하며, 가까운 림프절이 붓는다. 그리고 환부가 빠르게 번져 커지고, 만지면 딱딱하다. 또 열이 나면서 오슬오슬 춥고, 머리가 아프면서 갈증이 난다. 심하면 고열이 지속되면서 가슴이 답답하고, 팔다리가 떨리면서 편하게 있지 못하는 번조(煩躁) 증상이 나타난다. 또 정신이 흐려져 헛소리를 하고, 속이 메슥거리면서 토할 것 같은 오심(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