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약(芍藥) 백작약(白芍藥) 적작약(赤芍藥) 집함박꽃뿌리 작약(芍藥) 백작약(白芍藥) 적작약(赤芍藥) ★ 작약(芍藥) - [출전] 한의고전명저총서 <학명> Paeonia lactiflora PALL <다른이름> 백목, 여용, 이식, 해창(解倉), 정이라고도 부름. 작약(芍藥)은 백작약(白芍藥)과 적작약(赤芍藥)을 합해서 이른 말이다. 일반적으로는 백작약(.. 本草房/약초(ㅈ) 2015.05.05
자소엽(紫蘇葉) 자소(紫蘇) 자소엽(紫蘇葉) 蘇葉(소엽) ★ 자소(紫蘇) - [출전] 향약집성방/동의보감/방약합편 <학명> PERILLAE FOLIUM <다른이름> 차조기, 소엽(蘇葉), 소경(蘇梗)이라고도 부름. 꿀풀과에 속하는 일년생 식물인 차조기의 전초를 건조한 것이다. 옛날 책에는 나는 곳이 쓰여 있지 않지만 .. 本草房/약초(ㅈ) 2015.05.04
닥나무 닥나무 닥나무 (구피마) [構皮麻] 갈잎떨기나무 5매타가량 자라며 꽃은 암수 한그루로 잎과 함께 6월에 핀다. 수꽃은 꽃덮이 4개 수술 4개가 있고 암꽃은 끝이 2-4개고 갈라진 꽃덮이와 대가 있는 자방에 실같은 암술대가 있다. 분포는 : 전국의 양지바른 산기슭 또는 밭뚝에서 자란다 약효.. 本草房/약초(ㄷ) 2015.04.25
하수오- 백하수오, 백수오, 이엽우피소.. 하수오- 백하수오, 백수오, 이엽우피소 백하수오의 심장형 잎모습 하수오(何首烏)에 는 두가지 종류로 박주가리과에 속하는 백하수오와, 마디풀과에 속하는 적하수오(赤何首烏)의 두가지 종류가 있다. 요즈음에는 옛부터 흰머리를 검게도 한다는 하수오가 적하수오냐, 백하수오냐 하는 .. 本草房/본초학 2015.04.24
오공(蜈蚣) 오공(蜈蚣) 지네 (centipede) : 순각강(脣脚綱 Chilopoda)에 속하는 절지동물들 가운데 그리마류(類)를 제외한 나머지의 총칭.→ 순각류 [신경통 관절염 안면신경마비 뱀물린데 효험] ▶ 진정작용, 항경련작용, 소염작용, 억균작용, 경풍, 경련, 연주창, 류마티스 관절염, 신경통, 안면신경마비, .. 本草房/약초(ㅇ) 2015.03.21
정향(丁香) 정향(丁香) ● 정향(丁香) - [출전] 藥性論(약성론) <생약명> CARYOPHYLLI FLOS <다른이름> 丁子香(정자향), 公丁香(공정향), 支解香(지해향), 雄丁香(웅정향) <약성가> 정향신열온위허 심복동통한구제 (丁香辛熱溫胃虛 心腹疼痛寒嘔除) <기원> 정향은 桃金娘科(도금낭과 ; Myrtaceae.. 本草房/약초(ㅈ) 2015.03.18
구기자(枸杞子) ​ 구기자(枸杞子) [Lycium chinense]:가지과(―科 Solan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 구기자나무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chinese matrimony vine, 뜻: 희생) 마을 근처 둑이나 냇가에서 자라며 우리나라 곳곳에서 볼 수 있다. 줄기가 옆으로 비스듬히 누워 자라고 줄기 끝은 아래로 약간 처진다. 잎은 .. 本草房/약초(ㄱ) 2015.03.17
불개미 불개미 ♣불개미의 효능과 복용방법♣ 불개미 약성과 불개미술 민중의술 강유동의학(탈북의사) 제조 방법 순수한 원시림 불개미&소주(60도 이하 도수가 높으면 좋음) 3~4일후면 복용가능. 효능 효과 1.관절통증 : 풍습성 관절염 , 퇴행성 관절염 , 목디스크 , 허리디스크 2.심뇌혈관병 : 뇌출.. 本草房/약초(ㅂ) 2015.03.10
민간산약초 복용시 주의사항 민간산약초 복용시 주의사항 1.구절초 남성이 오랫동안 복용하면 양기가 줄어든다. 2. 개옻나무 간이 나쁘거나 옻을 타는 사람은 복용금지. 3. 개진달래 꽃은 독성이 있어 먹을 수 없음. 4. 국화마 아삭아삭한 마와는 달리 속살이 딱딱하고 혀에 대면 아릿한 맛이 강해 먹지 않는다. 5. 고사.. 本草房/본초학 2015.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