症狀別 方劑處方 679

소경활혈탕(경통환) 疎經活血湯(經通丸)

소경활혈탕(경통환) 疎經活血湯(經通丸) 성분정보 감초 0.33g, 강활 0.5g, 당귀 0.66g, 도인 0.66g, 방기 0.5g, 방풍 0.5g, 백지 0.5g, 백출 0.66g, 복령 0.66g, 생강 0.5g, 용담 0.5g, 우슬 0.5g, 위령선 0.5g, 작약 0.83g, 지황 0.66g, 진피 0.5g, 천궁 0.66g 저장방법 기밀용기, 실온(1~30℃)보관 효능효과 관절통, 신경통, 요통, 근육통 용법용량 보통 성인 1회 1포(1회 용량)를 1일 3회 식전 또는 식간에 복용한다. 사용상 주의사항 1.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약을 복용하지 말 것.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이 약에 함유되어 있는 도인, 우슬에 의해 유·조산의 위험이 있다.) 2.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오적산(五積散)

오적산(五積散) 오적산의 복용법과 효능 1. 오적산 기(氣), 혈(血), 담(痰), 음(飮), 식(食) 오적을 치료하는 약 약재 구성 창출(蒼朮) 8g, 마황(麻黃) · 진피(陳皮) 각 4g, 후박(厚朴) · 길경(桔梗) · 지각(枳殼) · 당귀(當歸) · 건강 (乾薑) · 백작약(白芍藥) · 백복령(白茯苓) 각 3.2g, 백지(白芷) · 천궁(川芎) · 반하(半夏) · 계피(桂皮) 각 2.8g 감초(甘草) 2.4g, 생강(生薑) 3쪽, 총백(葱白) 3대. 2. 약리작용 -보혈하는 동시에 혈액순환을 왕성히 하며 모든 장기의 기능을 개선시킴 -섬유근통 등 신경근육통이 있고 담이 잘 걸리고 신경과 근육에 이상이 있는 분 -한냉 및 습기에 손상되어 발병하는 모든 질병 -고지혈증 있는 비만, 풍습으로 몸..

우차신기환(牛車腎氣丸)

우차신기환(牛車腎氣丸) 성분정보 정제부자 35.7mg 목단피 17.85mg, 복령 17.85mg, 산수유 17.85mg, 산약 17.85mg, 우슬 17.85mg, 육계 17.85mg, , 차전자 17.85mg, 택사 17.85mg 숙지황 8.93mg 저장방법 기밀용기 효능효과 피로하기 쉽고 사지가 차가우며, 요량감소 또는 다뇨로 인한 목마름이 있는 다음 증상 : 하지통, 요통, 저림, 노인의 시력부족, 가려움, 배뇨곤란, 빈뇨, 부종 용법용량 보통 성인 1회 30환을 1일 3회 식전 또는 식간에 복용한다. 사용상 주의사항 1. 다음과 같은 사람은 이 약을 복용하지 말 것. 1) 수유부 2) 임부 또는 임신하고 있을 가능성이 있는 여성(이 약에 함유되어 있는 목단피, 우슬에 의해 유·조산의 위험이 있으며..

온백원[ 溫白元 ]

온백원[ 溫白元 ] 만병자완환(萬病紫菀丸)이라고도 함. 천오두(川烏頭: 구운 것) 100g, 오수유(吳茱萸) · 길경(桔梗) · 시호(柴胡) · 석창포(石菖蒲) · 자완(紫菀) · 황련(黃連) · 포건강(炮乾薑) · 육계(肉桂) · 화초(花椒: 덖은 것) · 파두상(巴豆霜) · 적복령(赤茯苓) · 조협(皁莢: 덖은 것) · 후박(厚朴) · 인삼(人參) 각 20g. [《동의보감(東醫寶鑑)》] 적취(積聚), 징가(癥瘕), 현벽(懸癖), 황달, 고창(鼓脹), 복수(腹水), 부종, 임증(淋證), 흉복통, 모든 풍병(風病) 등에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바짝 끓여서 정제한 벌꿀에 반죽하여 0.3g 되게 환약을 만든다. 한 번에 3~7환씩 생강 달인 물로 먹는다. 소음인 체질을 가진 사람의 적과 취를 치료하는 ..

치매 알츠하이머 치료와 공진단 효과

치매 알츠하이머 치료와 공진단 효과 알츠하이머병 알츠하이머병이란? ​ 알츠하이머는 치매를 일으키는 가장 흔한 퇴행성 뇌질환으로 서서히 발병하여 기억력을 포함한 인지 기능의 악화 가 점진적으로 진행되는 병입니다. ​ 알츠하이머는 그 진행과정에서 인지기능 저하, 성격변화, 초조행동, 우울증, 망상, 환각, 공격성 증가, 수면 장애 등의 정신행동 증상이 흔히 동반되며 말기에 이르러 보행 이상 등의 신경학적 장애 또는 신체적 합병증까지 나타나게 됩니다. ​ 치매의 종류 ​ 치매는 기질성 정신장애 중 하나로 여러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 ①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AD) - 뇌의 전반적 위축 (특히 전두엽) - 뇌의 위축에 따른 뇌실 및 뇌구의 확대 - 노인반, 신경원섬유엉킴, 신경세..

명인처방(보중익기탕 활용방)

명인처방(보중익기탕 활용방) 전북 남원 고 김광익(김보익) 선생 약방문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황기 2전 5푼 인삼 백출 감초(구) 당귀 진피 각 1전 5푼 승마 시호 각 3푼 가감방 * 소가 황백 (황백을 조금 더하면) 이구신수 능사음중지복화(신수를 구제하며 능히 음 가운데 있는 숨은 화(불)을 없앨 수 있다) 홍화 2푼(홍화 2푼) 을 더하면 입양혈 (혈을 돋음이니) 생강 3쪽 대추 2알을 보태 수전공복(물에 꿇여 빈 속에 먹어라) * 자한(절로 땀이남) : 가 부자 마황근 소맥(부) * 한다(땀이 지나치게 많음) : 가 승마 시호를 빼고, 산조인 * 불매(머리가 맑지 못하고 허리멍텅함) : 가 승마 시호를 빼고, 방풍 1전 계지 2전 소맥(부) 오매 * 두통(머리 아픔) : 가 만형자 천금 세신 고..

명인처방(육미탕 활용방)

명인처방(육미탕 활용방) 전북 운봉 고 허창수(허육미) 선생 약방문 육미탕(六味탕) 숙지황 4전 산약 산수유 각 2전 백복령 목단피 택사 각 1전5푼 가감방 * 간신허쇠유정(간과 신이 허약하여 정액이 저절로 흐름 : 가 익지인 오미자 * 신수부족 허화상염(신수가 부족하여 허화가 위로 올라감) : 가 육계 5푼 * 명문화쇠(명문의 양기가 쇠약) : 가 관계 5푼 * 허로야수 (허약하여 야간에 기침함) : 가 오미자 1전5푼 * 신허 (신장이 허함) : 가 육계 오미자 각 5푼 * 음허화동척맥편성(음이 허야니화가 동하여 척맥이 지나치게 성함) : 가 지모 황백 각 5푼 * 신허정활(신기가 허하여 정액이 묽음) : 가 연육 3전 토사자 2전 * 신허 화불귀경 이천급(신허하여 화가 본래의 경으로 돌아가지 못해 ..

명인처방(이진탕 활용방)

명인처방(이진탕 활용방) 함남 원산 고 정봉조(정평진) 선생 약방문 이진탕(二陳湯) 반하 2전 진피 1전 5푼 적복령 감초 각 1전 생강 3쪽 가감방 * 담비음식부진(담이 막아 음식이 내려가지 않음) : 가 백작약 3전 초과 공사인 각 1전 * 식적담(식적과 담이 있음) : 가 산사 2전 신곡 향부자 각 1전 * 식체(음식에 체함) : 가 산사 2전 후박 창출 각 1전 * 구토번갈 (구토가 나고 갈증이 심함) : 가 갈근 오미자 택사 * 풍담(풍증과 관련된 담이 있음) : 가 방풍 길경 천남성 지실 * 한담(추위와 관련한 담이 있음) : 가 건강 육계 * 해소선담자 비위유습(기침이 나고 담이 있으면 비위에 습기가 많음이라) : 가 창출 백출 산약 공사인 * 담기자 휴격유담 기창통(담기는 담이 가슴막 사이..

명인처방(평위산 활용방)

명인처방(평위산 활용방) 함남 원산 고 정봉조(정평진) 선생 약방문 평위산(平胃散) 봉출 후박 진피 각 2전 감초 1전 가감방 * 식체 복통 설사 (음식 먹고 체하거나 배 아프거나 설사할 때) : 가 갈근 2전 택사 오미자 각 1전 * 육체(고기먹고 체함) : 가 산사 3전 초과 1전 * 면체(국수 먹고 체함) : 가 신곡 맥아 각 1전 * 생냉과상식(차겁고 상한 참외 먹고 탈 남) : 가 건강 청피 각 1전 * 설사(설사) ; 가 백출 배곡령 각 1전 * 구토(토함) : 가 반하 오매 일방(한가지 방제로 쓰던가), 곽향 반하 익지인 1전 * 담결 협통(담이 결려 엽구기가 아픔) : 가 갈근 목단피 각 1전 * 담비 음식불수(담이 막혀 음식 삼키기 어려움) : 가 백작약 2전 초과 공사인 각 1전 * 부..

빈뇨 = 가미익기탕

빈뇨 = 가미익기탕 김태환 선생은 침술, 약, 복진법 등 전통 의술의 맥을 잇고 있는 향토명의다. 선생은 중학교 때부터 계룡산 신원사 주지인 이대진(李大振) 선생 밑에서 의술을 배우며 침과 약의 묘리(妙理)를 터득하였다. 선생의 스승인 이대진 선생은 침술과 약과 역학에 통달한 당대의 명의로 이름이 높았다. 김태환 선생은 스승의 의술 비법을 이어 받아 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한편, 후학(後學)들에게 전수하고 있다. ■ 김태환 | 靑山醫學會 사람은 하루에 소변을 보는 횟수가 나이에 따라 차이가 나긴 하지만, 대개 4세가 넘으면 깨어 있는 동안 4~6회 정도의 소변을 본다. 또 잠을 자는 동안에는 0~1회가 보통이다. 빈뇨증(頻尿症)은 하루의 배뇨량에는 변화가 거의 없으나, 배뇨 횟수가 많아지는 증세를 가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