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취(腋臭) 액취(腋臭) 겨드랑이의 냄새는 일종의 피부병으로 인하여 발생한다. 겨드랑이에서 특수한 냄새를 풍긴다. 침구 치료법은 다음과 같다. 엄지 손가락 손톱 뒤쪽 바깥 모퉁이에 소상혈(少商穴)이 있는데 침자하여 방혈(放血)시킨다. 또 겨드랑이의 중앙에 극천혈(極泉穴)이 있는데 극천혈에 .. 病症別 鍼處方/피부 비만계 2016.11.02
불매(不寐) 불매(不寐) ⑴ 병인병기(病因病機) A. 심비양허(心脾陽虛) : 사려노권(思慮勞倦), 상급심비(傷及心脾). 심장신(心藏神), 심상즉음혈암모(心傷則陰血暗粍), 신불수사(神不守舍), 비위(脾胃)는 생화지원(生化之源)이라, 비상즉화원부족(脾傷則化源不足), 혈불양심(血不養心), 심신불안(心.. 病症別 鍼處方/뇌 신경 정신계 2016.11.01
울증(鬱證) 울증(鬱證) 울증(鬱證)은 정지불서(情志不舒), 기기울체(氣機鬱滯)에서 오는 일종의 병증이다. 임상상 매우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주로 심정억울(心情抑鬱), 정서불안(情緖不安), 협늑창만(脇肋脹滿), 오심욕토(惡心欲吐), 구고인건(口苦咽乾), 이노선곡(易怒善哭), 조동불안(躁動不安),.. 病症別 鍼處方/뇌 신경 정신계 2016.11.01
학질(瘧疾) 학질(瘧疾) 학질(瘧疾)은 학사(瘧邪)를 받아 야기된 일종의 전염병이다. 여름, 가을 계절에 제일 많이 발생하고 기타 계절에도 발생할 수 있다. 임상에서 한전(寒戰 : 추워서 오들오들 떨다)이 나고, 고열(高熱), 한출(汗出), 주기성(周期性) 발작이 본병의 특징이다. 하루에 한번 .. 病症別 鍼處方/호흡기계 2016.11.01
감모(感冒) 감모(感冒) 감모(感冒)는 두통(頭痛), 비색(鼻塞), 오한발열(惡寒發熱) 등이 나타나는 일종의 외감질병(外感疾病)이다. 주리(腠理)가 튼튼치 못하면 외사(外邪)가 침습하여 발병한다. 경자(輕者)를 상풍(傷風)이라 하며, 중자(重者)를 유행성감모(流行性感冒=時行感冒)라 한다. 임상상으.. 病症別 鍼處方/호흡기계 2016.11.01
해수(咳嗽) 해수(咳嗽) 해수(咳嗽)는 폐계질환(肺系疾患)의 주요 증후의 하나이다. 그 병인은 크게 외감(外感)과 내상(內傷)으로 분류된다. 외감해수(外感咳嗽)는 외사침습(外邪侵襲)으로 발생하며, 내상해수(內傷咳嗽)는 장부기능의 실조에서 온다. 외사(外邪)로 인한 기침은 대개 풍한침습으로 발생.. 病症別 鍼處方/호흡기계 2016.11.01
효천(哮喘) 효천(哮喘) 효천(哮喘)은 일종의 반복적으로 발작하는 질병이다. 본병은 담음내복(痰飮內伏), 기후돌변(氣候突變), 정지불수(情志不遂), 조색기도(阻塞氣道), 폐기승강실조(肺氣乘降失調) 등으로 나타난다. 본병은 치료함에 있어 “급즉치기표(急則治其標), 완즉치기본(緩則治其本)”의 .. 病症別 鍼處方/호흡기계 2016.11.01
구토(嘔吐) 구토(嘔吐) 구토(嘔吐)는 임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증후로서 위기상역(胃氣上逆)으로 인해 발생한다. 구(嘔)는 소리를 내며 음식물을 토하는 것을 말하며 토(吐)는 소리없이 음식물을 토하는 것이고 건구(乾嘔)는 소리를 내며 헛구역질을 하는 것을 말하는데 이 3자는 거의 같은 방법으로 .. 病症別 鍼處方/비위 2016.11.01
위통(胃痛) 위통(胃痛) 위통(胃痛)은 위완통(胃脘痛)이라고도 칭한다. <위심통(胃心痛), 심하통(心下痛)이라 부르기도 한다.> 상복부위의 심와처(心窩處)《검돌하방(劍突下方)》에 동통이 나타나는 병증이다. ⑴ 병인병기(病因病機) A. 병사범위(病邪犯胃) : 외감한사(外感寒邪), 과식생랭(過食生.. 病症別 鍼處方/비위 2016.11.01
복통(腹痛) 복통(腹痛) 복통(腹痛)은 흔히 나타나는 질병이다. 복부에는 간(肝), 담(膽), 비(脾), 신(腎), 대소장(大小腸), 방광(膀胱), 포궁(胞宮) 등 장부가 있다. 또한 복부는 족삼음, 족양명, 족소양, 충, 임, 대맥 등 경맥이 순행하는 길이다. 상술(上述)한 장부와 경맥에 외사(外邪)가 침습하거나, 내상.. 病症別 鍼處方/대소장 2016.11.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