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증(鬱證)
울증(鬱證)은 정지불서(情志不舒), 기기울체(氣機鬱滯)에서 오는 일종의 병증이다. 임상상 매우 복잡한 양상을 띠고 있다.
주로 심정억울(心情抑鬱), 정서불안(情緖不安), 협늑창만(脇肋脹滿), 오심욕토(惡心欲吐), 구고인건(口苦咽乾), 이노선곡(易怒善哭), 조동불안(躁動不安), 돌연히 실어(失語), 실명(失明), 실청(失聽), 지체마목(肢体麻木) 등이 나타난다.
⑴ 병인병기(病因病機)
A. 정지(情志)가 상하면 울노(鬱怒)를 참지 못하고 기체혈어(氣滯血瘀)되며 흉격(胸膈)기능이 원활하지 못하다. 울증이 오래되면 화(火)로 변화되고 심폐(心肺)에 상범(上犯)한다.
B. 사려(思慮)가 과도하면 심기(心氣)가 손상되고 영혈(營血)이 점차 소모되어 기혈부족 등으로 심신실상(心神失常)에 이른다.
⑵ 변증(辨證)
A. 간기울결증(肝氣鬱結證) : 정신억울(情神抑鬱), 흉협창통(胸脇脹痛), 복창애기(腹脹噯氣), 불사음식(不思飮食), 애역구토(呃逆嘔吐), 복통(腹痛), 심계(心悸), 천식(喘息), 대변실상(大便失常), 설태박니(舌苔薄膩), 맥현(脈弦), 뜨는 기울화화(氣鬱化火)면 성급이노(性急易怒), 구고(口苦), 구건(口乾), 대변비결(大便秘結),두통(頭痛), 목적(目赤), 이명(耳鳴), 설홍태황(舌紅苔黃), 맥세약(脈細弱)이 나타난다.
B. 기체담결증(氣滯痰結證) : 목구멍이 비정상으로 물체가 걸린 것 같으며, 뱉어지지도 않고 삼켜지지도 않으며, 흉중이 질식할 것처럼 답답하다. 혹은 급조이노(急躁易怒), 돌연이롱(突然耳聾), 맥현활(脈弦滑)하다.
C. 음혈부족증(陰血不足證) : 다사과려(多思過慮), 심신불안(心神不安), 정신황홀(情神恍惚), 정서불온(情緖不穩), 다의(多疑), 이노(易怒), 선경(善驚), 혼궐(昏厥), 설태박백(舌苔薄白), 맥세삭(脈細數).
⑶ 치료(治療)
A. 간기울결증(肝氣鬱結證)
- 치법 : 취 족궐음경(足厥陰經)과 임맥(任脈)위주로 소간이기(疏肝理氣), 건비화위(健脾和胃)하여 호침자용(毫針刺用), 평보평사(平補平瀉)한다.
- 처방 : 전중(RN17), 중완(RN12), 기문(LR14), 내관(PC6), 공손(SP4), 태충(LR2).
- 수증배혈 : 기울화화(氣鬱化火) - 풍지(GB20), 양릉천(GB34), 협계(GB43).
- 방의 : 전중은 기회혈(氣會穴), 기문은 간의 모혈(募穴), 태충은 간의 원혈(原穴)로 3혈합용하면 서간해울(舒肝解鬱), 이기관흉(理氣寬胸)한다.
중완은 위의 모혈(募穴), 심포경(心包經) 내관과 비경(脾經) 공손을 합용하면 팔법배혈(八法配穴)로 위(胃), 심(心), 흉(胸) 제질환(諸疾患)을 전치(專治)하며, 제혈합용(諸穴合用)하면 소간이기(疏肝理氣), 건비화위(健脾和胃)하고, 풍지, 양릉천, 협계로 간담(肝膽)의 열을 청설(淸泄)시킨다.
B. 기체담결증(氣滯痰結證)
- 치법 : 취(取) 임맥(任脈)위주, 간비위 3경을 조화하여 소간해울(疏肝解鬱), 건비화담(健脾化痰)하며 호침자용(毫針刺用), 사(瀉)한다.
- 처방 : 천돌(RN22), 공손(SP4), 풍륭(ST40), 내관(PC6), 태충(LR3).
- 수증배혈 : 폭음(暴喑) - 염천(RN23), 통리(HT5).
실명(失明) - 찬죽(BL2), 풍지(GB20). 이롱(耳聾) - 청회(GB2), 예풍(SJ17), 중저(SJ3).
- 방의 : 천돌은 강역이인(降逆利咽)하며, 내관, 공손, 풍륭 3혈을 합용(合用)하면 건비화위(健脾和胃), 강역화담(降逆化痰)한다.
태충은 간경의 원혈로 소간이기(疏肝理氣)의 요혈이다.
모든 혈을 합용(合用)하면 소간해울(疏肝解鬱), 건비화위(健脾和胃)한다.
C. 음혈부족증(陰血不足證)
- 치법 : 취 배유혈(背兪穴) 위주로 음(陰)을 보익하여 간을 부드럽게 하며, 양혈안신(養血安神)한다. 호침자(毫針刺), 보법(補法)으로 한다.
- 처방 : 궐음유(BL14), 심유(BL15), 격유(BL17), 간유(BL18), 담유(BL19), 비유(BL20), 신유(BL23), 내관(PC6), 삼음교(SP6).
- 수증배혈 : 비읍부지(悲泣不止) - 백회(DU20), 인중(DU26).
사지추휵(四肢抽搐) - 태충(LR3), 합곡(LI4), 양릉천(GB34).
혼궐(昏厥) - 인중(DU26), 백회(DU20), 용천(KI1).
지체불용(肢體不用) - 상지(上肢)일때 견우(LI15), 곡지(LI11).
하지(下肢)일때 환도(GB30), 양릉천(GB34), 삼음교(SP6).
'病症別 鍼處方 > 뇌 신경 정신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말초신경염(末梢神經炎) (0) | 2016.11.02 |
---|---|
불매(不寐) (0) | 2016.11.01 |
평형침임상 - 중풍, 뇌졸중 (0) | 2016.11.01 |
중풍설강 (0) | 2016.10.09 |
두통 (0) | 2016.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