病症別 鍼處方/비위

위통(胃痛)

초암 정만순 2016. 11. 1. 14:27



위통(胃痛)



위통(胃痛)은 위완통(胃脘痛)이라고도 칭한다. <위심통(胃心痛), 심하통(心下痛)이라 부르기도 한다.>
상복부위의 심와처(心窩處)《검돌하방(劍突下方)》에 동통이 나타나는 병증이다.

⑴ 병인병기(病因病機)

A. 병사범위(病邪犯胃) : 외감한사(外感寒邪), 과식생랭(過食生冷), 한적(寒積)이 胃에 머무르고 위완(胃脘)에 통증이 나타난다. 음식불절(飮食不節), 매운 음식이나 단 것을 지나치게 먹으면 습열이 쌓여 위실화강(胃失和降)으로 일어난다.

B. 간기범위(肝氣犯胃) : 억울뇌노(抑鬱腦怒), 기체상간(氣滯傷肝), 목실소설(木失疏泄), 간기울결(肝氣鬱結)이 되어 발생한다.

C. 비위허약(脾胃虛弱) : 구병상비(久病傷脾), 사려과도(思慮過度)면 중초허약(中焦虛弱)에 이른다.

⑵ 변증(辨證)

A. 한사범위(寒邪犯胃) : 동통극열(疼痛劇熱), 추우면 통증이 가중되고 득열즉병감(得熱則痛減), 구불갈혹희열음(口不渴或喜熱飮), 오심구토(惡心嘔吐), 설담태백(舌淡苔白), 맥현긴(脈弦緊).

B. 음식정체(飮食停滯) : 애부탄산(噯腐呑酸), 구토(嘔吐), 토한 후에는 통증이 경감되며, 설태후니(舌苔厚膩), 맥활(脈滑). 만약 구고구건(口苦口乾)이면 태황후니(苔黃厚膩), 맥활삭(脈滑數).

C. 간기범위(肝氣犯胃) : 위완창통(胃脘脹痛), 애기빈작(噯氣頻作), 대변불창(大便不暢), 공통연협(攻痛連脇), 태박백(苔薄白), 맥세약(脈細弱).

D. 비위허약(脾胃虛弱) : 위완은통(胃脘隱痛), 범토청수(泛吐淸水), 희난오량(喜暖惡凉), 신피핍력(神疲乏力), 태백맥침세(苔白脈沈細).

⑶ 치료(治療)

〔 1方 〕
A. 간기범위형(肝氣犯胃型)
- 치법(治法) : ① 취(取) 족궐음, 양명경혈 위주, 호침자용사법.
② 서간화위(舒肝和胃), 이기지통(理氣止痛), 호침자용사법.
- 처방(處方) : 족삼리(ST36), 중완(RN12), 내관(PC6), 기문(LR14), 양릉천(GB34).
- 방의(方義) : 족삼리(위경 합혈), 중완(위경 모혈) - 위기소통(胃氣疏通), 건비화위(健脾和胃).
내관(심포락혈, 팔맥교회혈) - 관흉해울(寬胸解鬱).
기문, 양릉천 - 서간이기(舒肝利氣)


B. 비위허한형(脾胃虛寒型)
- 치법(治法) : 취(取) 배유, 임맥위주, 호침자용보법, 가구(加灸), 건비보중(健脾補中), 거한지통(祛寒止痛)한다.
- 처방(處方) : 비유(BL20), 위유(BL21), 중완(RN12), 족삼리(ST36), 내관(PC6).
- 방의(方義) : 비유, 위유, 중완 - 모유배혈법(募兪配穴法).
족삼리, 내관 - 화위지통(和胃止痛), 관흉(寬胸).

〔 2方 〕
- 치법(治法) : 위의 모혈, 합혈을 위주로 침자하여 건비화중(健脾和中), 이기지통(理氣止痛)케 한다.
- 처방(處方) : 중완 (RN12), 족삼리(ST36), 내관(PC6).
- 방의(方義) : 중완은 족양명경의 모혈로 소통위부(疏通胃腑)케 하며, 족삼리는 족양명경의 합혈로 “ 합치내부(合治內腑)”의 치법에 의거 건비화위(健脾和胃)한다.
내관은 수궐음경의 낙혈로 삼초의 기기를 조리하며, 지통작용이 있다.
또한 내관은 팔맥교회혈로 음유맥과 통하며 “음유위병고심통(陰維爲病苦心痛)”의 이론에 근거하여 위질환을 치료한다. 이혈 합용하면 건비화위(健脾和胃), 이기지통(理氣止痛)의 공능이 있다.
- 수증배혈(隨證配穴) :
A. 한사범위자(寒邪犯胃者) : 가(加) 양구(ST34) - 호침자용사법으로 침구병용하여 온중산한(溫中散寒), 통경지통(通經止痛)케 한다.
B. 음식부절자(飮食不節者) : 가(加) 천추(ST25), 내정(ST44) - 호침자용사법하여 소통위부(疏通胃腑), 소적도체(消積導滯)케 한다.
온열내온자(溫熱內薀者) : 가(加) 합곡(LI4), 음릉천(SP9) - 청열도체(淸熱導滯)케 한다.
C. 간기범위자(肝氣犯胃者) : 가(加) 공손(SP4), 태충(LR3), 기문(LR14) - 호침자용사법으로 소간해울(疏肝解鬱), 관흉이기(寬胸理氣)케 한다.
협통극열자(脇痛劇烈者) : 가(加) 지구(ST6), 양릉천(GB34) - 소간이담(疏肝利膽)케 한다.
간울화자(肝鬱火者) : 가(加) 행간(LR2), 협계(GB43) - 청간사화(淸肝瀉火)케 한다.
기체혈어자(氣滯血瘀者) : 가(加) 간유(BL18), 격유(BL17), 삼음교(SP6) - 소간이기(疏肝理氣), 할혈지통(活血止痛)케 한다.
D. 비위허한자(脾胃虛寒者) : 가(加) 기해(RN6), 삼음교(SP6), 비유(BL20), 위유(BL21) - 호침자용보법으로 가구(加灸)하여 건비보중(健脾補中), 거한지통(祛寒止痛)케 한다.
위음부족자(胃陰不足者) : 가(加) 삼음교(SP6), 조해(KI6), 공손(SP4)- 호침자용보법으로 자음양위(滋陰養胃), 건중지통(健中止痛)케 한다.

■ 참고 : 위통(胃痛)환자는 음식을 규칙적으로 먹고 자극적인 음식물은 피할 것.           



'病症別 鍼處方 > 비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통  (0) 2016.11.28
구토(嘔吐)  (0) 2016.11.01
소양범위(少阳犯胃) 위통  (0) 2016.09.10
위통 침구치료  (0) 2016.09.10
구토의 침구요법  (0) 2016.09.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