病症別 鍼處方 1475

전박부 3혈 (석호침)

전박부 3혈 (석호침) ● 전박부 근골격계, 신경계 질환 기본혈 ● 0.5m X 5cm 침 사용 1. 수삼리 - 혈의 위치 : 곡지 아래 2치 - 자침 방법 : 약간 굴주 산태에서 4.5cm 정도 자입 - 혈의 의의 : 위장 질환, 혈압, 상지부 질환 중심혈 2. 박중 - 혈의 위치 : 손목 관절과 곡지 사이 2등분한 요골과 척골 사이 - 자침 방법 : 약간 굴주 산태에서 염전 하면서 3~4cm 정도 자입 - 혈의 의의 : 상지부 마목 질환 치료혈 3. 외관 - 자침 방법 : 염전 하면서 3cm 정도 자입 - 혈의 의의 : 완관절 염좌 환부 방사통에 아시혈로 사용

견부 5혈 (석호침)

견부 5혈 (석호침) ● 견관절 질환의 기본혈 ● 0.5m X 5cm 침 으로 4.5cm 자입 1. 거골 - 혈의 위치 : 팔이음뼈, 빗장뼈 봉우리끝과 어깨뼈가시 사이의 오목한 곳. - 자침 방법 : 지자, 4.5cm 정도 자입 - 혈의 의의 : 견관절 질환 기본혈 2. 견중 - 혈의 위치 : 견관절 고점과 견관절면이 만나는 부분 정면에서 보았을 때 견관절면의 중간 - 자침 방법 : 팔을 굴주 산태에서 자침 견관절 외전시 움푹 들어가는 부부 2~3도 상방으로 4.5cm 정도 자입 - 혈의 의의 : 견관절 질환 중심혈 3. 견전 - 혈의 위치 : 견중혈과 삼각근 정지부 사이의 1/2 높이에서 삼각근과 대흉근 사이에 위치 - 자침 방법 : 팔을 겨드랑이에 붙이고 약간 굴주 산태에서 4.5cm 정도 자입 - ..

둔부 5혈 (석호침)

둔부 5혈 (석호침) ● 둔부 질환 , 요부 질환이 둔부 방산통 기본혈 ● 0.5m X 7.5cm 침 사용 1. 외둔혈 - 혈위 : 대퇴골두 최고점에서 후내상방 2cm 지점 - 자침 방법 : 환자는 측외위로 눕고 위쪽 다리 무릅을 90도 구부린 후 대퇴골 관절 사이로 침이 들어가게 염전 하면서 7cm 정도 자입 - 혈의 의의 : 좌골신경통 및 척추 관련 질환의 둔부 통증, 고관절 질환, 중풍후유증의 하지마비 둔부 5혈 중 가장 중심혈 2. 인둔혈 - 혈위 : 외둔혈과 미골단 간 3등분하여 외둔혈 쪽 1/3 지점 - 자침 방법 : 환자는 측외위로 눕고 위쪽 다리 무릅을 90도 구부린 후 대퇴골 관절 사이로 침이 들어가게 염전 하면서 7cm 정도 자입 - 혈의 의의 : 좌골신경통 및 척추 관련 질환의 둔부 ..

요부 7혈 (석호침)

요부 7혈 (석호침) ● 요부 질환 기본혈 ● 0.5m X 6cm 침 사용 1. 천요혈 - 혈위 : 제3요추 극돌기와 제4요추 극돌기 사이 - 자침 방법 : 극간 인대에 염전 하면서 5.5cm 정도 자입 - 혈의 의의 : 제3~4번 허리디스크의 주요혈, 모든 종류의 요통 기본혈 2. 인요혈(요양관) - 혈위 : 제4요추(야코비선 기준) 극돌기와 제5요추 극돌기 사이 - 자침 방법 : 극간 인대에 염전 하면서 5.5cm 정도 자입 - 혈의 의의 : 제4~5번 허리디스크의 주요혈, 모든 종류의 요통 기본혈 3. 지요혈 - 혈위 : 제5요추 극돌기와 제1천골 사이 - 자침 방법 : 극간 인대에 염전 하면서 3~5cm 정도 자입 - 혈의 의의 : 제5번 허리디스크와 제1천추 디스크의 주요혈, 모든 종류의 요통 ..

견비통의 침구 및 약물 기타 요법

견비통의 침구 및 약물 기타 요법 어깨 통증은 어깨 관절 부위에 병이 생겨 팔을 잘 움직이지 못하면서 아픈 증상이다. 물질대사 장애, 혈액순환 장애 등으로 관절 주위 연부 조직에 만성염증, 노인성 퇴행이 생기면서 기능장애를 수반하는 특징이 있다. 그 밖에 외상, 종양 등으로 인해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어깨마디 주위에 불쾌감을 느끼거나, 어깨를 무겁게 짓누르는 느낌이 있다. 초기에는 지속적으로 뻐근함을 느끼다가 점차 팔을 들기 어려우면서 팔을 뒤로 돌리기도 힘들게 된다. 일반적으로 밤에 더 통증을 느끼며, 심하면 통증 부위에 변형이 생기기도 한다. 전통의학에서는 어깨를 주관하는 장기를 심포(心包)와 삼초(三焦)로 본다. 심포와 삼초는 경락(經絡)으로는 존재하면서 우리 몸에 영향을 주지만, 눈으로는 보이지..

감기

감기 감기는 풍사에서 오며 일년내내 볼 수 있는 병기이다. 기온의 변화가 심할 때 풍사가 잘 나타난다. 감기의 증상으로는 한기, 발열, 두통, 기침, 하품, 콧물, 비색, 사지무력, 인후동통 등이다. 【치료법】 대추, 합곡, 풍지 3혈에 호침으로 염전진법을 하고 보사법을 행한 후 30분간 유침한다. 두통이 있을 때는 태양(太陽)에 자침(刺鍼)하고, 그래도 두통이 심할 때에는 두유(頭維), 열결(列缺)을 가(加)한다. 목이 아플 때에는 삼릉침(三稜鍼)으로 소상(少商)을 점자출혈(点刺出血)한다. 기침이 나올 때에는 척택(尺澤)과 폐유(肺兪)를 가(加)한다. 비색(鼻塞)일 때에는 영향(迎香)을 가(加)하고, 전신과 사지가 아플 때에는 곡지(曲池), 승산(承山)에 자침(刺鍼)을 가(加)한다.

탈모 - 침구 요법

탈모 - 침구 요법 한의학에서는 원위취혈법(遠位取穴法)이라는 것이 있는데 질병이 있는 부위로부터 비교적 멀리 떨어져 있는 부위(遠位)에 있는 경혈을 선택해 치료하는 방법이다. 질병이 인체의 상부에 있으면 하부에서 취혈하고 질병이 인체의 하부에 있으면 상부에서 취혈한다. 탈모를 치료함에 있어 원위취혈법에 응용될 수 있는 경혈을 알아보자. ◇태충(太衝) = 태충혈은 족궐음간경(足厥陰肝經)의 3번째 경혈로 첫 번째 발가락과 두 번째 발가락이 갈라지는 곳에서 발등 쪽으로 2촌 떨어진 부위다. 태충혈을 지나는 혈관은 족배동맥(足背動脈)이다. 족궐음간경은 첫 번째 발가락 끝 외측에서 시작해 위로 올라가 독맥과 정수리(백회혈)에서 만난다. 따라서 정수리부위에 탈모가 있을 때 백회혈과 태충혈을 배합하면 보다 효과적이다..

전립선 질환 - 침구 및 약물 요법

전립선 질환 - 침구 및 약물 요법 ○ 전립선비대증이란? ▶ 전립선은 남성에게만 존재하는 밤톨 크기의 조직이다. 전립선은 방광 바로 아래쪽에 있으며 요도를 도넛모양으로 감싸고 있다. 전립선의 양쪽에는 사정관이 요도와 연결되어 있다. 정액의 30~40% 정도를 만들어내는 이 전립선은 나이가 들면서 점점 커진다.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잔뇨감이 생기는 이유는 요도를 감싸고 있는 전립선이 커져 요도를 압박하기 때문이다. 자연스런 노화과정으로 30대부터 전립선이 커지지만 증상은 40대 말쯤 나타나는 게 보통이다. 이를 전립선비대증이라고 한다. 학계에서는 전립선비대증이 40대 40%, 50대 50%, 60대 60%, 70대 70% 정도일 것으로 추정한다. 전립선비대증은 예방이 불가능하다. 나이가 들면 누구나 호르..

緊捻緩解術

緊捻緩解術 ■ 機械的 刺戟 操作法의 種類 ◆ 捻轉法 ◆ 雀啄法 ◆ 提揷法 ■ 機械的 刺戟 操作法의 順序 1. 壓痛點에 針 刺入 時 患者의 痛症 輕減을 위해 針管 끝을 母指와 示指 두손가락으로 잡고 皮膚에 密着하며 강하게 壓迫하고 針頭를 瞬間的으로 擊打하여 穿皮한다 2. 針 刺入 時 原則的으로 直角으로 揷入한다 3. 한 손으로 針體를 잡고 나머지 한 손으로는 針을 한 方向으로 旋轉한다 4. 환자가 痛感이나 觸電感 등 異像感을 느끼면 돌리기를 卽刻 中止하고 針을 固定하여 5秒 間 定止한 後 놓아준다. 다시 3번 行爲를 反復한다(總 3回를 實施한다) ※ 이 때 醫者는 患者에게 針 旋轉 時 異像感을 느낄 때는 즉시 "아아"하고 意思表示를 하게 하고 患者는 이에 따른다 5. 3回의 旋轉緊捻術이 끝나면 逆方向으로 ..

족저근막염 - 침구 및 약물 요법

족저근막염 - 침구 및 약물 요법 요법 족저근막염(足底筋膜炎)은 발의 아치형을 지지하는 발바닥의 섬유조직인 족저근막에 통증이 생기는 염증성 질환이다. 이 섬유조직에 과부하가 걸리거나, 섬유가 너무 늘어난 경우에 유발된다. 특히 근막 섬유가 뒤꿈치 뼈에 닿을 때 유발되는 경우가 많다. 족저근막염은 비만한 사람, 임신한 여성, 평발인 사람에게서 흔히 발생한다. 그 이유는 과도한 체중에 의하여 닿는 발의 면적이 커지면서 미세한 족저근막에 과부하가 걸리기 때문이다. 또한 족저근막염은 배구, 육상, 테니스, 에어로빅 같은 운동을 할 때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계단을 자주 오르거나, 가구 등 큰 물건을 옮기는 집안일을 할 때도 생길 수 있다. 신발 바닥이 닳아 버리거나 신발이 잘 맞지 않는 경우에도 발바닥의 아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