症狀別 方劑處方/소화기계

변비 - 마자인환

초암 정만순 2016. 8. 25. 11:34


변비 - 마자인환



마자인환’ 기허로 인한 변비를 없애는 데 특효

■  이우정 


허성(虛性) 변비증은 정기가 부족하고 진허장조(津虛腸燥)로 인해 생긴 것으로 조결(燥結) 또는 허비(虛秘)라고도 한다. 대장의 정상적인 전도 기능은 양기(陽氣)의 온양(溫養), 추동(推動), 음혈(陰血) 진액의 자윤(滋潤)에 의한다. 만약 노권음식(勞倦飮食)으로 내상(內傷)하거나 병을 앓고 난 뒤, 또는 산후 조리를 제대로 하지 못한 경우에는 모두 정기가 손상되어 음상진허(陰傷津虛)하므로 변비가 생기게 된다. 따라서 대변이 비결하여 통하지 않는 것은 허성 변비증의 주증(主證)이다. 대변이 통하지 않아 장중(腸中)에 정체하여 기기(氣機)가 막히면 완복비만(脘腹滿), 불사음식(不思飮食)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뿐만 아니라 숙변이 부패하여 각 장부에 염증을 유발시킨다. 이는 대변이 시원하게 뚫리면 없어지므로 차요(次要)의 증상에 속한다.
또한 위장에 열이 쌓여서 비(脾)의 기능이 제약을 받게 되면 위(胃)의 진액이 순행하지 못하고 오직 방광으로만 내려가므로 소변 빈삭(頻數)이 나타난다. 만약 위장에 쌓인 열이 상충(上衝)하면 구취와 치통이 발생하며, 신허기약(腎虛氣弱)으로 온화(溫化)가 무력해지면 소변 청장(淸長)의 증상이 나타난다. 요(腰)는 신지부(腎之腑)로서 신(腎)이 허(虛)하면 신요(腎腰)가 길러지지 않아서 요산배냉(腰背冷) 증상이 나타나고, 혈(血)이 심양(心養)하지 못하면 심계(心悸)가 나타난다. 음허(陰虛)가 비교적 심하면 오심번열(五心煩熱), 구순건조(口脣乾燥), 설홍소태(舌洪少苔), 맥세삭(脈細數) 등의 음허유열증(陰虛有熱症)이 나타난다. 그 병기(病機)가 음혈부족(陰血不足)과 진액 부족으로 인해 장도(腸道)가 실윤(失潤)한 것이므로 이때는 윤장통변법(潤腸通便法)을 응용해야 한다.


◎ 변증(辨證)
병의 증상과 증후를 진단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변증이라고 한다. 정상적인 경우에 비장은 주로 진액을 위장으로 보내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위중조열(胃中燥熱)로 인해 비장이 제약을 받게 되면 그 진액이 위장으로 가지 못하고 방광으로 보내지게 되므로 소변 빈삭이 나타나고, 방광에 염증이 일어나게 된다. 위장의 진액이 부족하게 되면 장(腸)이 유윤(濡潤)함을 잃게 되어 대변이 건결(乾結)하게 되므로 5~6일에 한 번 대변을 보거나, 평소와 같이 배변을 하지 못하고 기기(氣機)가 막혀 가끔 복만(腹滿)과 통증이 나타난다. 비장의 영화는 입술에 나타나는데, 비장이 제약을 받게 되면 진액은 위장의 구순(口脣)을 영화롭게 하지 못하므로 구순(口脣)이 건조하게 된다. 설태(舌苔)가 노랗고 맥이 침활(沈滑)한 것은 위중(胃中)의 조열(燥熱)로 조결내정(燥結內停)한 형태다.


◎ 입법(立法)
변증이 되면 처방 약물을 선택해야 하는데, 이를 입법이라고 한다. 윤하법(潤下法)에서의 입법은 윤장통변(潤腸通便)이다.


◎ 처방(處方)
입법이 되면 군약(君藥), 신약(臣藥), 좌약(佐藥), 사약(使藥)의 배합 원칙에 따라 구체적인 약물과 양을 정하게 된다. 이를 처방이라고 한다.


◎ 처방례
▶ 마자인환(麻子仁丸)
군약 : 마자인(麻子仁) 20그램
신약 : 행인(杏仁) 10그램, 작약(芍藥) 10그램
좌약 : 대황(大黃) 10그램, 지실(枳實) 10그램, 후박(厚朴) 10그램
사약 : 봉밀(蜂蜜) 10그램
▶ 복용법 : 물로 달여 복용한다.
▶ 처방 해설 : 윤하제는 약성이 감평(甘平)한 것에 속하는 것이 많으며, 윤장통변하면서 사하(瀉下)하는 힘이 비교적 완만하므로 주로 물이 없어 배가 멈추는 것과 같은 변비증에 사용한다. 마자인의 성미는 감평하고, 약성이 비경(脾經)ㆍ위경(胃經)ㆍ대장경(大腸經)에 작용한다. 또한 마자인은 유지(油脂) 성분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윤조(潤燥), 활장(滑腸), 통변(通便)의 효능이 있으므로 주증(主證)을 치료하는 군약이 된다. 행인은 폐기(肺氣)를 숙강(肅降)시켜 윤장통변 작용을 하고, 작약은 양음화이(養陰和裏) 작용을 한다. 따라서 두 약물은 같이 마자인의 윤장통변의 효능을 돕는 신약이 된다. 또한 대황은 위장의 조열(燥熱)을 사(瀉)하고, 지실과 후박은 행기제만(行氣除滿) 강설통변(降泄通便)의 약효를 강화하므로 좌약이 된다. 봉밀은 성미가 감평하고, 약성이 폐경(肺經)과 대장경(大腸經)에 작용하며 모든 약물을 조화시키므로 사약이 된다. 특히 군약의 윤조활장(潤燥滑腸)을 도우므로 좌조(佐助)의 의미도 있다.
< 참조 : 『한약 처방의 구성 원리』, 영림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