症狀別 方劑處方/소화기계

변비 ‘대승기탕’

초암 정만순 2016. 8. 25. 13:19


변비 ‘대승기탕’ 



‘대승기탕’ 실열로 인한 변비를 없애는 데 특효

■  이우정 



대변은 음식이 위(胃)에 들어가 부숙(腐熟)되고, 비(脾)의 운화로 수곡정미(水穀精微)가 수포(輸布)된 후에 남은 조박(糟粕)이 대장으로 전송되어 체외로 배출되는 대사산물이다. 대변이 비결(秘結)하여 통하지 않는 것을 변비라고 한다. 변비는 이(裏)에 속하고, 성질상 실증(實證)이므로 이실변비증(裏實便秘證)이라고 한다. 이실변비증의 병위(病位)는 주로 위와 장(腸)에 있으며, 육부(六腑)에 속하므로 통하게 하는 것이 순리다. 즉, 사(瀉)하되 저장하지 않는다.
이실변비증에는 열(熱)로 인해 적체(積滯)가 서로 뭉쳐서 생기는 열결변비증(熱結便秘證), 한(寒)으로 인해 적체(積滯)가 서로 뭉쳐서 생기는 냉적변비증(冷積便秘證), 그리고 허(虛)로 인해 야기되는 허성변비증(虛性便秘證)이 있다. 이실변비증의 치료는 “실즉사지(實卽瀉之)”의 원칙에 따라 하법(下法)을 적용하여야 한다. 열결변비증에는 “열자한지(熱子寒之)”의 원칙에 따라 사열통변법(瀉熱通便法)을 적용한다. 이를 한하법(寒下法)이라 한다, 냉적변비증은 “한자열지(寒子熱之)”의 원칙에 따라 온양통변법(溫陽通便法)을 적용한다. 이를 온하법(溫下法)이라 한다. 허성변비증에는 “허즉보지(虛卽補之)”의 원칙에 따라 윤장통변법(潤腸通便法)을 적용한다. 이를 윤하법(潤下法)이라 한다.
열결변비증의 주증(主證)은 대변비결(大便秘結), 복통거안(腹痛拒按), 조열구갈(潮熱口渴), 설태황(舌苔黃), 맥침삭실(脈沈數實) 등이다. 육부는 물질을 전화(轉化)하여 장(藏)하지 않게 하여야 한다. 그런데 실열(實熱)과 조박이 서로 엉기어 열이 성하게 되면, 기가 옹체되어 탁기(濁氣)가 내려가지 않게 된다. 결국 부기(腑氣)가 통하지 않으므로 대변비결이 나타나게 된다. 또한 위와 장에 열이 성하여 진액이 손상되면, 진액이 상승하지 못하여 구갈(口渴)도 나타나게 된다.


◎ 변증(辨證)
한하제(寒下劑)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군약(君藥)으로는 대황(大黃)과 노회(蘆)가 있다. 대황은 성미가 고한(苦寒)하여 사열통변(瀉熱通便)과 양혈해독(凉血解毒)의 효능이 있어 위와 장의 열을 치료하는 작용이 강하다. 열결변비의 변증에는 대황과 다른 약물을 함께 달여서 열결을 경하(輕下)시키고, 중증에는 생대황을 후하(後下)하여 음액(陰液)을 보존하게 한다. 망초(芒硝)는 사열통변의 효능을 증강시키므로 신약(臣藥)이 된다. 주로 대황과 상순(相順)하여 사용한다. 대변이 비결하고 기기(氣機)가 막혀 복통이 심한 경우에는 행기제만법(行氣除滿法)을 겸용하는데, 지실(枳實)·후박(厚朴)·목향(木香) 등을 배합하여야 한다. 그 중에서 지실은 성미가 고한(苦寒)하고, 고강하행(苦降下行)하며, 기력이 예리하면서 맹렬하여 파기소적(破氣消積)의 요약(要藥)이 된다. 후박은 성미가 고온(苦溫)하여 하기제만(下氣除滿), 조습소담(燥濕消痰)의 효능이 있어 지실과 배합하면 효능이 증강한다. 아울러 대황과 망초의 추탕적체(推蕩積滯) 작용을 도와 열결의 배설을 촉진시킨다. 약성을 완화시키고, 모든 약을 조화시키는 약재는 감초와 봉밀(蜂蜜)이다. 그러나 사하작용(瀉下作用)을 완화하여 더디게 하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 입법(立法)
변증이 되면 처방 약물을 선택해야 하는데, 이를 입법이라고 한다. 한하법에서의 입법은 준하열결(峻下熱結)이다.


◎ 처방(處方)
입법이 되면 군약, 신약 좌약(佐藥), 사약(使藥)의 배합 원칙에 따라 구체적인 약물과 양을 정하게 된다. 이를 처방이라고 한다.


◎ 처방례
▶ 대승기탕(大承氣湯)
군약 : 대황 12그램
신약 : 망초 9그램
좌약 : 후박 15그램, 지실 12그램
▶ 복용법 : 원방(元方)의 배합에 비례하고, 병정(病情)을 참작하여 용량을 증감한다. 물에 달여 복용한다. 대황은 맨 뒤에 넣어서 달이며, 망초는 달인 물에 우려서 쓴다.
▶ 처방 해설 : 방(方) 중에 대황은 미고성한(味苦性寒)하고, 사열통변(瀉熱通便)시켜 위와 장의 노폐물을 씻어 깨끗이 하므로 주증에 대하여 군약이 된다. 망초는 함한(鹹寒)하고, 사열(瀉熱)하며, 연견윤조(軟堅潤燥)의 작용을 가지고 있어서 대황의 사열통변 효능을 도우므로 신약이 된다. 후박과 지실은 대황과 망초의 추탕적체 작용을 도와 열결의 배설을 신속하게 하므로 좌약이 된다.<참조 : 『한약 처방의 구성 원리』, 영림사>




'症狀別 方劑處方 > 소화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염  (0) 2017.03.12
치질에 효과 큰 약물 비법   (0) 2016.08.30
변비 - ‘온비탕’   (0) 2016.08.25
변비 - 마자인환  (0) 2016.08.25
냉증과 비위 허약에 특효 ‘이중환’   (0) 2016.08.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