症狀別 方劑處方/호흡기계

만성적인 해수 천식 - 구선산

초암 정만순 2016. 8. 24. 11:52


 만성적인 해수 천식 - 구선산



구선산’ 만성적인 해수 천식에 탁월한 효과

■  박성태 


고삽법(固澁法)의 하나인 염폐지해제(斂肺止咳劑)는 폐허구해(肺虛久咳)를 치료하는 처방의 구성법이다. 폐는 기(氣)를 주관하고, 호흡을 담당하며, 선산숙강(宣散肅降)을 주관하는 교장(嬌臟)이다. 구해부지(久咳不止)로 폐기(肺氣)가 손상되면 폐음(肺陰)도 손상된다. 따라서 폐기가 선강(宣降)을 실조하면 해천(咳喘)이 더욱 심해진다. 또 이런 병증이 반복되면 정기(精氣)도 크게 손상된다.
폐허구해의 주증은 구해불기(久咳不己)이다. 심하면 기천단기(氣喘短氣)하면서 자한증(自汗症)을 보인다. 또 맥이 허수(虛數)를 나타낸다. 만성적 기침으로 정기가 크게 손상되면 기침과 함께 기천단기 증상이 나타난다. 또한 폐기부족(肺氣不足)으로 피모(皮毛)가 불고하여 자한증이 발생한다. 아울러 기음(氣陰)도 모두 손상되면서 맥도 허수(虛數)를 보인다. 특히 폐허(肺虛)가 비(脾)에 영향을 미쳐 비가 허할 경우에 가래가 많아지거나, 식사량이 적어지며, 대변희연(大便稀軟) 등 비기부족증(脾氣不足證)이 겸해서 나타난다. 폐는 흡기(吸氣)를 담당하고, 신(腎)은 납기(納氣)를 주관하는데, 만약 폐허가 신에 영향을 미치면 천식부득와(喘息不得臥)와 기불납섭(氣不納攝) 등의 증상을 보인다. 또 기음양휴(氣陰兩虧)하여 허열(虛熱)이 내생(內生)하면 오후조열(午後潮熱)과 함께 순홍협적(脣紅頰赤)의 허열증(虛熱證)이 발생한다.
따라서 염폐지해제 약재를 배합할 때는 구해폐허(久咳肺虛)와 폐기선강실상(肺氣宣降失常), 진액불포(津液不布)하여 담(痰)이 되는 것을 면밀히 고려해야 한다. 아울러 사담지해(祛痰止咳) 약물을 잘 활용하여 폐장(肺臟)의 진기선강(津氣宣降) 기능을 회복시키는 것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 변증(辨證)
병의 증상과 증후를 진단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변증이라고 한다. 염폐지해는 구해불기(久咳不己)와 해심측기천(咳甚則氣喘)이 주증이 된다. 반면 맥허(脈虛)는 폐기(肺氣)가 모산(耗散)한 것이 주증이 된다. 자한은 표허불고(表虛不固)를 겸한 상(象)이며, 맥수는 음허를 겸한 증후이다. 폐기모산(肺氣耗散)으로 폐가 숙강기능(肅降機能)을 잃게 되면 만성적인 해수(咳嗽) 병이 나타난다. 또 구해로 정기를 크게 상하면 해(咳)가 심하여 기천(氣喘) 증세가 발생한다. 아울러 폐기부족(肺氣不足)으로 피모(皮毛)가 불고하면 자한증을 보이고, 구해로 폐기음(肺氣陰)이 모두 상할 경우 맥허수(脈虛數)가 나타난다.


◎ 입법(立法)
변증이 되면 처방 약물을 선택하는데, 이를 입법이라고 한다. 염폐지해제의 입법은 염폐지해(斂肺止咳)와 익기양음(益氣養陰)이다. 

 
◎ 처방(處方)
입법이 되면 군약(君藥), 신약(臣藥), 좌약(佐藥), 사약(使藥)의 배합 원칙에 따라 구체적인 약물과 양을 정한다. 이를 처방이라고 한다. 염폐지해제의 처방은 구해폐허(久咳肺虛)와 기음모상(氣陰耗傷)에 활용한다. 염폐지한과 익기양음(益氣養陰) 약물로 배합하되, 거담지해(祛痰止咳) 약물을 추가하여 폐장의 진기선강(津氣宣降) 기능을 회복시키는 방법으로 구성한다.


◎ 처방례
▶ 구선산(九仙散)
군약 : 앵속각(罌粟殼) 6그램, 인삼(人蔘) 2그램
신약 : 아교주(阿膠珠)·오미자(五味子) 각 2그램, 오매(烏梅) 6그램
좌약 : 관동화(款冬花)·패모(貝母)·상백피(桑白皮) 각 2그램
사약 : 길경(桔梗) 2그램
▶ 복용법 :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로 달여 하루 3번 나누어 복용한다.
▶ 처방 해설 : 염폐지해제는 여러 가지 원인으로 생긴 만성 해수병에 쓴다. 특히 급·만성 기관지염과 기관지천식, 폐결핵 등에 쓰면 치료 효과가 매우 좋다. 처방 약재 중에 앵속각은 약성이 폐경(肺經)에 작용한다. 또 인삼은 원기대보(元氣大補)하므로 두 가지 약을 배합해서 응용하면 표(標)와 본(本)을 겸고(兼顧)하여 주증을 치료하는 군약이 된다. 아교주는 양음익폐(養陰益肺)하고, 오미자와 오매는 염폐지해 하는 작용이 매우 강하다. 아울러 관동화와 패모는 지해화담(止咳化痰), 강기평천(降氣平喘)하므로 좌약이 된다. 상백피는 지해평천(止咳平喘)하고, 청폐(淸肺)하므로 역시 좌약이 된다. 길경은 배(舟)와 노(櫓)와 같은 역할을 하여 모든 약물을 끌고 상행시켜 폐에 작용하게 하므로 사약이 된다. 뿐만 아니라 지해화담 작용을 하므로 좌약의 효과도 있다.
< 참조 : 『한약 처방의 구성 원리』, 영림사>




'症狀別 方劑處方 > 호흡기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감기 ‘계지탕’   (0) 2016.08.26
인후종통에 명약 ‘은교산’   (0) 2016.08.26
해수 천식 - ‘소자강기탕’   (0) 2016.08.24
해수 천식  (0) 2016.08.24
유행성 감기  (0) 2016.0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