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槪要] 이 노래는 명대의 의가인 능운(호는 와암)이 편찬한 流注辨惑에 실려 있는데 通玄指要賦의 취혈에 기초를 두고 짜여 있다. 여기에 상응하는 수혈을 더하고 짝을 지어 치료효과를 제고시키고자 하였다.
[原文] 且如行步難移, 太衝最奇, 應在丘墟, 人中除脊膂之强痛, 應在委中. 차여행보난이, 태충최기, 응재구허, 인중제척려지강통, 응재위중. 神門去心內之呆癡, 應在太衝. 신문거심내지매치, 응재태충. 風傷項急始求于風府, 應在承漿. 풍상항급시구우풍부, 응재승장. 頭暈目眩要覓于風池, 應在合谷. 두훈목현요멱우풍지, 응재합곡. 耳閉須聽會而治也, 應在翳風. 이폐수청회이치야, 응재예풍. 眼痛則合谷以推之. 應在太陽. 안통즉합곡이추지, 응재태양. 但見兩肘之拘攣仗曲池而平掃, 應在尺澤. 단견양주지구련장곡지이평소, 응재척택. 牙齒痛呂細堪治, 應在二間. 아치통여세감치, 응재이간. 頭項强承漿加保, 應在風府. 두항강승장가보, 응재풍부. 太白宣通于氣衝. 應在中極. 태백선통우기충, 응재중극. 陰陵開通于水道, 應在至陰. 음릉개통우수도, 응재지음. 腹膨而脹奪內庭而休遲, 應在水分. 복팽이창투내정이휴지, 응재수분. 筋轉而疼瀉承山而在早, 應在崑崙. 근전이동사승산이재조, 응재곤륜. 大抵脚腕痛崑崙解愈, 應在丘墟. 대저각완통곤륜해유, 응재구허. 股膝疼陰市能醫, 應在風市. 고슬동음시능의, 응재풍시. 癎發癲狂兮憑後谿而療理, 應在鳩尾. 간발전광혜빙후계이요리, 응재구미. 瘧生寒熱兮仗間使以扶持, 應在百勞. 학생한열혜장간사이부지, 응재백로. 期門罷胸滿血臌而可也, 應在中脘. 기문파흉만혈고이가야, 응재중완. 勞宮退胃翻心痛亦何疑, 應在章門. 노궁퇴번위심통역하의, 응재장문. 大敦去七疝之偏墜王公謂此, 應在闌門. 대돈거칠산지편추왕공위차, 응재난문. 三里却五勞之羸瘦華佗言斯, 應在膏肓. 삼리각오로지이수화타언사, 응재고황. 固知腕骨祛黃, 應在至陽. 고지완골거황, 응재지양. 然骨瀉腎, 應在陰交. 연골사신, 응재음교. 行間治膝腫目疾, 應在睛明. 행간치슬종목질, 응재정명. 尺澤去肘疼筋緊, 應在合谷. 척택거주통근급, 응재합곡. 目昏不見二間宜取, 應在太陽. 목혼불견이간의취, 응재태양. 鼻窒無聞迎香可引, 應在上星. 비색무문영향가인, 응재상성. 肩井除兩臂之難堪, 應在中渚. 견정제양비지난감, 응재중저. 絲竹療頭痛之不息, 應在風池. 사죽료두통지불식, 응재풍지. 咳嗽寒痰列缺堪治, 應在太淵. 해수한담열결감치, 응재태연. 眵冷淚臨泣尤準, 應在攢竹. 치멸냉루임읍우준, 응재찬죽. 髖骨將腿疼以驅殘, 應在膝關. 관골치퇴동이구잔, 응재슬관. 腎兪把腰疼而瀉盡, 應在委中. 신유파요동이사진, 응재위중. 以見越人治尸厥于維會, 隨手而蘇, 應在百會. 이견월인치시궐우유회, 수수이소, 응재백회. 文伯瀉死胎于陰交, 應針而墮, 應在合谷. 문백사사태우음교, 응침이타, 응재합곡. 抑又聞心胸病求掌後之大陵, 應在中脘. 억우문심흉동구장후지대릉, 응재중완. 肩背疼責肘前之三里, 應在中渚. 견배동책주전지삼리, 응재중저. 冷痹腎敗取足陽明之土(足三里穴), 應在小海. 냉비신패취족양명지토(족삼리혈), 응재소해. 連臍腹痛瀉足少陰之水(陰谷穴), 應在行間. 연제복통사족소음지수(음곡혈), 응재행간. 脊間心後痛針中渚而立痊, 應在中脘. 척간심후통침중저이립전, 응재중완. 脇下肋邊疼刺陽陵而立止, 應在支溝. 협하늑변동자양능이즉지, 응재지구. 頭項强宜後谿以安然, 應在承漿. 두항강의후계이안연, 응재승장. 腰背疼在委中而已矣, 應在腎兪. 요배동재위중이이의, 응재신유. 夫用針之士于此理而苟能明焉, 收祛邪之功而在乎撚指. 부용침지사우차리이구능명언, 수거사지공이재호연지.
[內容] 걷기 힘든 데에는 태충이 가장 기묘한데 구허와 상응하고 인중은 척려의 강급과 통증을 없애는데 위중과 상응하며 신문은 심인성 치매를 치료하는데 태충과 상응한다. 풍상으로 인한 항급은 풍부에서 구해야 하는데 승장과 상응하고 두훈과 목현에는 풍지를 찾아야 하는데 합곡과 상응한다. 이폐는 반드시 청회로 다스려야 하는데 예풍과 상응하고 안통에는 곧 합곡에 침을 놓는데 정명과 상응한다. 가슴이 맺힌 듯 답답하고 몸이 누렇게 뜨는 데에는 용천을 취하는데 지음과 상응하고 안혼목적에는 찬죽을 사하는 것이 마땅한데 태양과 상응한다. 단지 양 팔꿈치의 구련은 곡지에 의지하면 진정되는데 척택과 상응한다. 치통은 여세가 잘 다스리는데 이간과 상응하고 두항의 강급은 승장이 책임지는데 풍부와 상응한다. 태백은 의당 기충에 통하는데 중극과 상응하고 음릉천은 수도를 열어 통하게 해주는데 지음과 상응한다. 복부가 팽창된 데에는 내정을 취하면 서서히 빠지는데 수분과 상응하고 전근으로 인한 통증에는 승산을 사하면 빠른데 곤륜과 상응한다. 대체로 발목의 통증은 곤륜으로 풀어 나을 수 있는데 구허와 상응하고 허벅지와 무릎의 통증은 음시가 능히 치료할 수 있는데 풍시와 상응한다. 간질과 전광이 발작하면 후계에 의지에 치료하는데 구미와 상응하고 학질로 생긴 한열은 간사에 의지하는데 백로와 상응한다. 기문은 흉민을 부수고 혈팽도 치료할 수 있는데 중완과 상응하고 노궁은 번위를 물러가게 하고 심통 또한 물리침을 의심할 바 없는데 장문과 상응한다. 대돈이 칠산으로 인한 편추를 치료하니 이는 왕공이 한 말이며 난문과 상응한다. 삼리로 오로로 인한 이수를 치료하니 이는 화타가 한 말이며 고황과 상응한다. 완골이 황달을 없앤다는 얘기는 본디 알려진 것으로 지양과 상응하고 연골은 신을 사하는데 음교와 상응한다. 행간은 슬종과 안질을 치료하는데 정명과 상응하고 척택은 팔꿈치 통증과 근육이 땅기는 것을 없애주는데 합곡과 상응한다. 목혼으로 잘 보지 못하는 것에는 마땅히 이간을 취해야 하는데 태양과 상응한다. 비색으로 냄새를 맡지 못하는 것은 영향이 이끌 수 있으며 상성과 상응한다. 견정은 두 팔을 마음대로 쓰지 못하는 것을 치료할 수 있는데 중저와 상응하고 사죽공은 그치지 않는 두통을 치료하는데 풍지와 상응한다. 해수와 한담은 열결이 치료할 수 있는데 태연과 상응하고 치멸과 냉루에는 오직 두림읍이 확실한데 찬죽과 상응한다. 관골은 허벅지의 통증을 몰아내는데 슬관과 상응하고 신유를 사하면 요통이 완전히 사라지는데 위중과 상응한다. 월나라 사람이 시궐을 유회로 고쳐 따라 하였더니 소생하였는데 백회와 상응한다. 문백은 사태에 음교를 사하였는데 침을 놓자 바로 떨어졌으니 합곡과 상응한다. 다만 또 심흉병이 들리니 손바닥 뒤에 있는 대릉을 구해야 하는데 중완과 상응하고 견배의 통증은 팔꿈치 앞에 삼리가 책임지는데 중저와 상응한다. 냉비신패에는 족양명의 토혈(족삼리)을 취해야 하는데 소해(小海)와 상응하고 배꼽으로 이어지는 복통에는 족소음의 수혈(음곡)을 사해야 하는데 행간과 상응한다. 늑골 주위가 아플 때는 양릉천에 침을 놓으면 바로 멈추는데 지구와 상응한다. 두항의 강급에는 후계에 침을 놓으면 편안해 지는데 승장과 상응하고 허리와 다리의 통증에는 위중에 침을 놓으면 그만인데 신유와 상응한다. 무릇 침놓는 사람이 이러한 이치를 밝게 알고 능하다면 병사를 물리치는 효능을 얻는 것이 손가락 아래에 달려 있다. |
'鍼灸 小考 > 침구가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홍부(席弘賦) (0) | 2015.08.06 |
---|---|
통현지요부(通玄指要賦) (0) | 2015.08.06 |
침구가결- 천금십일혈가(千金十一穴歌 (0) | 2015.08.06 |
침구가결- 영광부(靈光賦) (0) | 2015.08.06 |
침구가결- 난강부(攔江賦) (0) | 2015.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