食餌 最强/약차

건강 약차 - 소강진피차 / 호두차

초암 정만순 2020. 12. 13. 15:57

건강 약차 - 소강진피차 / 호두차

 

 

 

 

임신중독증 해결하는 ‘소강진피차

 

임신 초기에는 오심(惡心) 또는 가벼운 구토가 있거나, 타액 분비가 늘어난다.

또 음식물에 대한 기호의 변화로 신 것을 좋아하게 되는데, 자연히 소실되고 특별한 전신 장애를 나타내지 않는다.

이를 입덧 또는 임신구토(姙娠嘔吐)라고 한다.

그런데 임신 초기의 입덧이 점점 악화되면 영양장애나 체액 부조화, 정신 신경계 및 심혈관계 이상, 신장과 간장 등에 장애가 생긴다.

이것을 임신오조(姙娠惡阻)라고 한다.


임신오조에 대해 서양의학에서는 성선자극호르몬의 증가와 정신적·심인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 스트레스를 해소시키는 방법을 쓴다.

따라서 심신의 안정을 취하고, 식사는 환자의 기호에 따라 조금씩 몇 차례 나누어 섭취하도록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화학 완화제를 투여하기도 하지만, 화학 독소로 인해 태아가 기형이 되는 심각한 문제기 있다.

심지어는 임신중절수술을 하기도 한다.

임신 5개월이 지난 경우에는 달리 손을 쓸 방도도 없어 임신중독증으로 인한 후유증을 겪게 된다.


전통의학에서는 음혈(陰血)이 태아를 자라게 하는 데 쓰이기 때문에 충맥(衝脈)과 임맥(任脈)의 경기(經氣)가 상대적으로 왕성해져서 임신오조가 생긴다고 본다.

즉, 위기(胃氣)가 허약한 임신부에게서 아래로 내려가야 할 위기가 내려가지 못하고 위로 솟구쳐 메스껍거나 게우는 증상이 나타난다고 했다.

이밖에 간화(肝火)가 왕성하거나, 담습(痰濕)이 막히는 경우에도 이러한 증상들이 나타날 수 있다.

즉, 임신으로 자궁의 포문이 막혀 기혈순환이 잘되지 않는 상태에서 약해진 간의 기능 때문에 자궁의 기운이 위쪽으로 상승하는데, 이로 인해 위가 자극되면서 위 속에 담음이 생기게 되어 속이 울렁거리고 구토를 하게 된다.

임신오조를 증가시킬 수 있는 일반적인 인자로는 임신부의 낮은 연령, 평소 멀미나 편두통이 심한 경우, 태아가 여아인 경우, 지방산의 대사이상 및 일란성 쌍태 등이 있다.


임신오조에 대한 침구 치료 효과는 비교적 좋다.

그러나 임신 5개월이 지나서는 침 치료를 하지 않는다.

특히 몸이 약하고, 체질이 과민한 경우에는 침뜸 치료를 삼가야 한다.

따라서 이 시기부터는 주로 이기화위(理氣和胃)하며, 강역안태(降逆安胎)하는 음식이나 차를 쓰는 것이 좋다.

임신오조에 큰 효과가 있는 차로는 소강진피차(蘇姜陳皮茶)와 호도차(胡桃茶) 등이 있다.

 


‖ 소강진피차(蘇姜陳皮茶)

 


▶ 재료 :

소경 6그램, 진피 3그램, 생강 2조각, 홍차 1그램


▶ 복용법 :

위의 세 가지 약재를 잘게 썰어서 홍차와 함께 뜨거운 물에 넣고 10분간 우리거나, 물을 붓고 10분간 달인다.

매일 한 첩씩 2~3회 우려서 수시로 따뜻할 때 마신다.


▶ 해설 :

소방나무줄기를 소경(蘇梗)이라고 한다.

이 처방에서 소경은 임상에서 임신구토, 태동불안을 치료하는 묘약이다.

성미가 달면서 약간 맵다.

이기화위(理氣和胃)하고, 강역지구(降逆止嘔)하며, 건비안태(健脾安胎)하는 효능이 있으므로 이 처방의 주약이 된다.

진피와 생강을 배합하는 것은 이기화중하고, 강역지구하는 기능으로 소경의 효능을 돕기 위한 것이다.

이 두 가지 약재는 임상에서 비위허한(脾胃虛寒), 기역구토(氣逆嘔吐)를 치료할 때 쓰는 상용 약이다.

홍차는 제번거습(除煩祛濕)하며, 하기화위(下氣和胃)하는 효능으로 소경을 도와 화위강역(和胃降逆)한다.

이 약재들은 모두 경강청화(輕降淸和)하는 약이어서 임신오조 환자들이 복용하면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 호도차(胡桃茶)

 


▶ 재료 :

호두 10개


▶ 복용법 :

호두를 깨서 껍질째 물에 넣고 달인 다음 찌꺼기를 버린다.

매일 1~2첩씩 끓여서 수시로 차처럼 따뜻하게 하여 마신다.


▶ 해설 :

이 차는 간신(肝腎)을 보하고, 안태(安胎)하는 작용이 있다.

따라서 태동불안, 허리가 시큰거릴 때, 속이 메스꺼울 때 효과적이다.

신장은 정기를 저장하고, 간은 피를 저장하니 간과 신장은 동원(同源)이라 할 수 있다.

자궁의 태원(胎元)은 정혈의 자양에 의하므로 만약 간신이 음허(陰虛)하면 정혈이 부족하여 태원이 자양을 잃고 불안하게 움직인다.

여자의 신장은 태와 연결되었으므로 신장이 기허(氣虛)하면 태아를 튼튼하게 고정할 수 없어서 태동이 불안해진다.

따라서 안태하려면 임신부의 간과 신을 보해야 한다.


호두는 호두과 식물로 속살, 속껍데기, 과피, 껍데기 모두를 약으로 쓸 수 있다.

속살은 기름으로 짤 수도 있다. 지방유, 단백질, 당류, 니코틴산, 타닌, 휘발 성분 등이 포함되어 있다.

성미가 달고, 평온하며, 따뜻하다. 간신을 자양하고, 기혈(氣血)을 보(補)하며, 윤조화담(潤燥化痰)하고, 화위지애(和胃止)하는 효능이 있다.

임상에서는 간신음허(肝腎陰虛), 폐음부족(肺陰不足) 등을 치료하는 데 많이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