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巨樹 保護樹 記念物/樹木 圖鑑

남천

초암 정만순 2019. 8. 28. 09:35



남천






남천을 남천촉() ·남천죽()이라고도 한다.

 세계적으로 단 1속 1종이 있으며, 잎에 무늬가 있는 반엽종도 있다

중국 원산이며 남부지방에서는 정원에 심으며 북부지방에서는 분재()로 기르고 있다.

높이 3m 정도 자란다.

밑에서 여러 대가 자라지만 가지는 치지 않고 목질()은 황색이다.

잎은 딱딱하고 톱니가 없으며 3회 깃꼴겹잎이다.

또한 엽축()에 마디가 있고 길이 30∼50cm이다.

작은잎은 대가 없고 타원형의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다.

6∼7월에 흰색의 양성화가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열매는 둥글고 10월에 빨갛게 익기 때문에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원예품종에는 열매의 빛깔이 흰색인 것, 연한 자줏빛인 것이 있다.




잎은 딱딱하고 톱니가 없으며 3회 깃꼴겹잎이다.

또한 엽축()에 마디가 있고 길이 30∼50cm이다.

작은잎은 대가 없고 타원형의 바소꼴이며 끝이 뾰족하다




6∼7월에 흰색의 양성화가 가지 끝에 원추꽃차례로 달린다.

가지 끝에 한 뼘이 훨씬 넘는 원뿔모양의 긴 꽃대를 위로 내민다.



열매


열매는 둥글고 10월에 빨갛게 익는다

굵은 콩알만 한 열매는 늦가을에 붉게 익어 다음해 봄까지 달려 있다.



줄기


줄기는 모여나기 하며, 성질이 강하고 곧게 자라 꼭지 부근에 주로 잎이 달린다



용도

           

남부지방에서는 화단이나 정원용으로 흔히 심기며, 중부이북에서는 실내정원을 만드는데 빠지지 않고 쓰인다.

최근 실내관엽용으로 키 작은 품종들이 나오고 있다.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중부지방에서도 지역에 따라 바깥에서 겨울을 날수 있어 정원용으로 확대 이용될 전망이다.

성숙한 열매를 남천실()이라 하며 해수 ·천식 ·백일해 ·간기능 장애 등에 약제로 시용한다.

오늘날에는 주로 남천을 정원수로 널리 심지만 원래 쓰임은 약용식물이다.

열매, 잎, 줄기, 뿌리까지 모두 이용된다.

열매에는 여러 종류의 알칼로이드 성분이 들어 있으며, 지각 및 운동신경을 마비시키는 작용을 하여 기침을 멈추게 한다고 알려져 있다.

잎은 위장을 튼튼히 하고 해열을 시켜주며, 역시 기침을 멈추게 하는 약리작용이 있다.

잎에는 미량의 청산(靑酸, 시안화수소)이 들어 있다.

흔히 음식 위에 남천 잎을 얹어두는 것을 보게 되는데, 이는 청산 때문에 음식의 변질을 막는다는 상징적인 의미가 있다.





가을이 깊어갈수록 더욱 붉게 물드는 남천의 잎을 본 적 있나요?

푸른 잎이 조금씩 빨갛게 물들어가는 가을 속 자연의 모습을 멀리 여행을 떠나지 않고도 가까이에서 즐길 수 있게 해주는 매력적인 남천나무.

봄에는 여린 연둣빛 새순을 올려 주고, 여름에는 푸른 잎과 하늘거리는 하얀 꽃을, 가을에는 붉게 물들어가는 줄기와 잎을, 겨울이 깊어가면 더욱 단단하고 붉은 열매로 성탄 분위기까지 자아내는 나무입니다.

남천(南天)은 남촉목(南燭木) 또는 남천촉(南天燭)이라고도 부릅니다.

열매가 달린 모양이 빨간 촛대를 세워 놓은 것 같아 붙여진 이름이지요.

이 밖에도 잎이 대나무를 닮았다고 하여 남천죽(南天竹)이라고도 부릅니다.

일본에서는 남천(南天)을 '난텐'이라고 읽어요.

'어려움(難)이 변하여(轉) 복이 된다'는 의미의 난전(難轉)과 발음이 같아서 생긴 이름이지요.

이 때문에 '전화위복'이라는 꽃말을 가지고 있지요.



남천은 정화, 해독, 전화위복 등의 의미와 함께 다양한 풍습을 간직하고 있습니다.

모든 재액을 물리친다 하여 정원수로 심는가 하면, 혼례 때 색시의 가마 속을 지키는 뜻으로 방석 밑에 잎을 넣어 주기도 했지요. 또한 임산부의 순산을 기원하며 마루 밑에 깔기도 했답니다.

일본 사람들은 습관처럼 다른 사람에게 음식을 선물할 때 음식 위에 남천 잎 세 장을 올려서 보냈다고 해요.

남천 잎을 곁들인 음식은 독을 소멸시킨다고 믿었기 때문이지요.


남천은 중국 남부와 인도가 원산지로서 우리나라 남부지방에서 정원수로 많이 심는 관목이다.

줄기가 모여나기 하며, 성질이 강하고 곧게 자라 꼭지 부근에 주로 잎이 달린다.

그래서 중국 이름은 ‘남천대나무(南天竹)’이며, 영어 이름도 ‘신성한 대나무’란 뜻이다.

원산지에서 오래된 나무는 키가 4~5미터에 이르기도 한다.

그러나 우리 주변에서 만나는 남천은 허리춤 남짓한 난장이로 육종한 것들이 많다.

잎자루가 세 번이나 갈라지는 3회 깃꼴겹잎이 독특하며, 잎은 긴 마름모꼴로 끝이 뾰족하다.

암수 한 나무로 초여름 날, 가지 끝에 한 뼘이 훨씬 넘는 원뿔모양의 긴 꽃대를 위로 내민다.

초록 잎을 바탕으로 하얀 꽃이 줄줄이 피고, 굵은 콩알만 한 열매는 늦가을에 붉게 익어 다음해 봄까지 달려 있다.


이런 독특한 생김새만으로도 사람들의 눈길을 끌기에 충분하지만, 남천의 하이라이트는 아무래도 겨울의 붉은 잎이다.

남천은 늘 푸른 넓은잎나무이니 단풍이란 말은 좀 어울리지 않지만, 잎 모양은 영락없는 붉은 단풍이다.

집단으로 심어 놓은 남천의 붉은 잎은 겨울 풍광의 삭막함을 씻어주는 악센트다.

겨울을 버티기 위하여 잎 속의 당류(糖類) 함량이 높아지면서 붉은색을 띠는 것으로 짐작된다.

우리나라의 남천은 주로 일본에서 개량한 원예품종을 심고 있다. 일본은 아주 오래전에 중국에서 가져다 심은 탓에 현재는 산에 자생하기도 한다.

 ‘난텐’이란 일본 이름 자체가 ‘어려움을 극복하고 부정을 깨끗이 한다’라는 뜻과 통하므로 귀신이 출입하는 방향이나 화장실 옆에 심기도 한다.

또 남천 젓가락은 체하는 것을 막고 장수한다는 속설이 있다.

남천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시기는 분명하지 않다.

다만 신사임당(1504~1551)의 〈화조도〉에 남천으로 짐작되는 그림이 등장하므로 적어도 16세기 이전에 중국에서 가져와 심고 가꾼 것으로 짐작된다


'老巨樹 保護樹 記念物 > 樹木 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작살나무  (0) 2019.09.04
황칠나무   (0) 2019.08.28
딱총나무  (0) 2019.08.27
구골나무   (0) 2019.08.27
개다래나무  (0) 2019.08.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