仙道 丹功 佛敎/기공 명상

참선수행의 기본요건

초암 정만순 2017. 5. 21. 10:56


참선수행의 기본요건

 

다섯 가지를 조절함(調五事)

 

 

① 조심(調心)

 

어지럽게 일어나는 생각을 조복하여 지나치게 방일하게 하지 않고, 들뜨거나 가라앉거나 느슨하거나 급하지 않는

네 가지 모습을 얻는 것이 마음을 조화롭게 함이다.

 

마음이 산란하게 움직여 다른 대상을 생각하는 것은 들뜬 모습[浮相]이다.

이때는 마음을 편안히 하여 아래쪽을 향하여 대상에 묶어두고 온갖 어지러운 생각을 억제하여 마음이 안정되게 머물도록 한다.

 

또한 좌선할 때 마음이 어두워 기억이나 상념하는 바 없이 머리가 자꾸 밑으로 처지는 것을 가라앉은 모습[沈相]이라 한다.

 

이때는 마땅히 마음을 코끝에 집중하면 가라앉음을 다스릴 수 있다.

 

만일 마음을 모아 생각으로 얻으려하여 선정에 들어가면 마음과 기가 위로 향하게 된다.

그리하여 가슴이 팽팽하게 켕기는 통증이 생기는 것을 급한 모습[急相]이라고 한다.

 

이때는 마땅히 마음을 편안하게 하여 기가 아래로 흐르는 것을 상상하면 고통이 저절로 사라진다.

 

마음이 이곳저곳 유람하여 몸은 힘 빠진 뱀 같고 입에서는 침이 흐르며 마음은 어두운 것은 느슨한 모습[寬相]이다.

 

이때는 몸을 추수리고 생각을 거두어 마음을 대상 가운데 머물게 해야 한다.

 

② 조신(調身)

 

몸을 조화롭게 함이란 몸을 편안하고 고요히 유지하는 것이다.

 

선정에 들지 않은 때라도 걷거나 머물거나 나아가거나 멈출 때를 자세히 살펴야 한다.

만일 하는 일이 거칠면 호흡도 따라서 거칠어지고 호흡이 거칠면 마음이 산란하여 단속하기 어려워서

좌선할 때에 이르러서도 편안하지 못하다.

따라서 항상 몸과 마음과 호흡을 조화롭게 해야 한다.

 

좌선을 하려면 반가부좌나 결가부좌를 하고 옷과 허리띠를 느슨하게 한다.

 

참선은 원래 좌선만을 이야기 하지 않으며 일상생활 그 자체가 참선이 되어야 한다.

 

그러나 그렇게 되기까지는 대개 앉아서 하는 좌선에서부터 시작한다.

좌선은 그 자체로 훌륭한 수행방법이면서 동시에 일상생활의 참선수행에 큰 도움이 된다.

 

앉기 힘든 사람은 제외하고 좌법은 참선수행자가 불가불 배워야 할 기본 과정이다.

 

좌선할 때에는 우선 두꺼운 방석을 준비하고 앉는다.

가부좌는 먼저 오른쪽 발을 왼쪽 무릎 위에 겹친다.

그리고 왼쪽 발을 오른쪽 무릎 위에 포개는 것이다.

이것이 결가부좌이고 또한 반가부좌도 무방하다.

 

반가부좌는 다만 왼발을 오른쪽 무릎위에 놓는 것이다.

그 다음에 바른 손을 발목 위에 놓고 왼손을 바른 손바닥 위에 겹치며 양쪽 엄지손가락 끝을 서로 둥글게 맞댄다.

 

이것이 대삼마야인(大三摩耶印) 또는 법계정인(法界定印)이라 한다.

 

그 다음에 허리를 반듯이 수직으로 세운다.

이때에 몸을 전후, 좌우로 약간 움직여서 허리를 자연스럽게 세워 몸이 기울거나, 앞으로 굽거나 뒤로 제쳐 지지 않도록 한다.

특히 어깨나 목 등 몸에 힘을 주지 말고 자연스런 자세를 취해야 된다.

턱은 당기고 눈은 자연스럽게 아래로 떨군다.

귀와 어깨가 서로 수직이 되고 코와 배꼽이 서로 수직이 되도록 반듯이 한다.

혀는 입천장에 대고 입을 가볍게 다문다.

혀를 입천장에 대는 것은 침이 입안에 고이지 않게 하기 위한 것이다.

 

결가부좌나 반가부좌가 익숙할 때까지는 다리가 자주 아프고 저릴 것이다.

그럴 때는 다리를 바꿔가며 앉도록 한다.

그러나 바꾸고 싶다는 충동을 느끼는 즉시 바꾸는 것은 좋지 않다.

먼저 왜 자세를 바꾸려고 하는지 알아보라.

육체적 피로 때문인지, 정신적 불안정 때문인지를 몸이 고통스럽게 여기는 부분을 주목해 보라.

 

정직하고 면밀하게 관찰하는 법을 배워라.

수행정진은 마음의 문제이지 육체의 문제가 아니다.

다리가 아프거든 스스로에게 “내게는 다리가 없다”고 타일러라.

 

공부가 순숙해지면 어느덧 몸이 있는 줄 모르는 경지에 이르게 된다.

 

시선은 여기저기를 두리번거리면 정신이 산만해져서 좌선을 할 수 없게 된다.

이렇게 집중이 안 될 때에는 시선을 고정시키기 위해 벽에다 작은 점이나 원을 표시해 놓고 거기에 시선을 고정시키는 것이 도움이 된다.

 

초심자는 눈을 감는 것이 더 집중이 잘 된다.

그러나 눈을 감고하면 어느덧 혼침에 떨어지기 쉽기 때문에 주의하지 않으면 안 된다.

특히 오후나 새벽 좌선 시에 눈을 감는다는 것은 잠을 청하는 것과 같다.

 

그러므로 좌선 중 수면에 시달릴 때는 눈을 크게 뜨도록 하는 것이 좋다.

 

좌선 시 몸이 피로하고 졸음이 심해 정신이 집중되지 않으면 수시 포행을 하는 것이 좋다.

 

보통 선원에서는 50분 좌선하고 5분 내지 10분간 선방 내를 포행하는 것이 관례이지만 포행시간은 좀 더 늘여도 좋다.

 

포행 할 때는 금강권(金剛拳)을 하고 두 손을 자연스럽게 드리우고 서서히 걷는 것이 좋다.

 

이때에 좌우를 쳐다보지 말아야 한다.

 

포행은 바로 행선(行禪)이다.

앉았을 때와 같은 마음이 흐트러지지 않아야 한다.

포행은 피로가 풀리고 맑은 정신이 돌며 몸에 활기를 준다.

 

따라서 좌선과 행선을 적절히 섞어서 수행하면 좋다.

 

한편 혼자서 하는 산책은 마음을 차분하게 하고 사유를 깊게 해주며 내면들 들여다보는 좋은 수행법이 되므로

덧붙여 권하고 싶다.

 

③ 조식(調息)

 

좌선하는 데는 반드시 좌선의 기초법을 따라야 한다.

 

그렇지 아니할 때 상기(上氣), 기타 신체상의 장애가 생겨 공부에 지장을 받을 때가 많다.

 

앞의 요령에 따라 바르게 앉았으면 다음은 숨을 어떻게 쉬어야 할지 알 필요가 있다.

 

먼저 몸을 3, 4회 전후좌우로 흔들어 자세를 바르게 한다.

 

처음에 호흡을 한번 크게(깊게) 내쉰다.

다음에 서서히 호흡을 들이쉰다.

그리고 몸과 마음의 긴장을 풀고 편안히 앉은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호흡한다.

 

인도의 요가나 중국의 도교에서는 인위적으로 숨을 길게 또는 짧게 하는 다양한 호흡법들이 있으나 불교의 호흡법은 자연 호흡법이다.

 

인위적으로 단전호흡을 하려고 몸에 힘을 줘가면서 애쓸 필요가 없고, 일부러 숨을 길게 쉬려고 숨을 참거나 멈출 필요가 없다.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한 상태에서 자연스럽게 호흡하면 된다.

 

마음이 안정되면 호흡도 자연스럽게 안정되기 마련이다.

 

안정된 속에서 편안하게 호흡을 하면 숨은 자연히 길어지고 미세해 진다.

좌선할 때뿐만 아니라 언제나 호흡을 의식하면서 호흡이 급한지 안정되어 있는지를 살펴보라.

화가 났을 때, 긴장하고 있을 때 호흡은 여지없이 급해지고 불안정하다.

이때에도 호흡을 길게 심호흡을 몇 번 하면 마음이 안정되는데 크게 도움이 된다.

이와 같이 호흡과 마음은 깊은 관계가 있다.

 

따라서 참선수행에서 호흡관은 가장 기초적인 행법이다.

 

④ 조면(調眠)

 

잠자는 시간을 조화롭게 하는 것으로 너무 많이 자서 몸과 마음을 나태하지 않게 하고 너무 적게 자서 피곤하지 않게 하며,

잠은 최소한으로 줄이되 짧은 시간 내에서도 숙면하도록 조절한다.

 

경전에서는 “초저녁이나 새벽에도 공부를 그만두지 말지니, 수면을 인연으로 일생을 헛되이 보내어 얻는 바가 없게 하지 말라”고 하였다.

 

논에서는 수행자가 공부해야 할 시간으로 저녁 6시부터 10시까지, 새멱 2시부터 6시까지를 지키도록 하였다.

 

⑤ 조식(調食)

 

너무 많이 먹으면 기가 급해지고 몸이 팽만해지며 여러 맥이 통하지 않아서 마음을 막히게 하므로 좌선할 때 생각이 안정되지 않는다.

 

반대로 너무 적게 먹으면  몸이 고달프고 마음이 동떨어져서 생각이 굳지 않게 된다.

 

음식을 최소한으로 줄이되 섭취한 음식이 최대한의 정기를 발휘하도록 조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