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과의 對話/목본(가)

갯버들

초암 정만순 2017. 3. 12. 13:01



갯버들




다른 표기 언어 Japanese Pussy Willow , 蒲柳 , ネゴヤナギ猫柳



요약 테이블
분류 버드나무과
학명Salix gracilistyla



갯버들

확대보기         




따뜻한 바람이 귓불을 스칠 즈음 겨우내 꽁꽁 얼었던 대지는 살짝 봄내음을 풍긴다.

먼 산에 아지랑이가 가물거리고, 실개천의 얼음장 밑으로 졸졸졸 흐르는 시냇물 소리가 조금씩 커지기 시작하면, 냇가 양지 녘에는 보송보송하고 귀여운 털 꽁지를 매단 녀석들이 나타난다.

은색의 하얀 털이 저녁노을에 반짝이기라도 할라치면 봄의 개울가는 요정들의 잔치터 같다.

이들이 바로 버들강아지, 혹은 버들개지라 불리는 갯버들이 꽃을 피운 모습이다. 예쁘기로 따지면 결코 강아지 못지않다.

갯버들은 삭막한 겨울이 가고 따사로움이 왔음을 먼저 알려주는 봄의 전령이다.

요즈음은 꽃꽂이 여인의 손끝에서 삭막한 아파트의 안방으로 봄 향기를 전달해주기도 한다.



갯버들이 강가의 물이 들락거리는 ‘개’를 만나면 2세를 만들어낼 준비가 완료된 셈이다.

갯버들은 이렇게 물이 흐르는 강가의 가장자리 갯가에서 흔히 잘 자란다고 하여 ‘개의 버들’이라고 불리다가 지금의 갯버들이 되었다.

갯버들은 이름 그대로 강이나 개울가를 비롯한 습지를 좋아한다. 몸체가 물속에 잠겨도 숨 막히지 않는다.

아예 물속에서도 뿌리가 썩지 않고 녹아 있는 산소까지 흡수하면서 생명을 이어간다.

평생을 자라도 사람 키 남짓한 난쟁이 나무다. 하지만 키다리 나무들을 부러워하지 않는다.

개울을 지켜주는 수호천사로서 그녀만이 할 수 있은 역할이 있어서다. 뻣뻣한 외대줄기는 처음부터 만들지 않는다.

대신에 수많은 여러 갈래의 줄기를 내밀어 커다란 포기를 만든다.

초봄에 막 자란 어린 가지는 연한 초록색을 띠고 있는데, 자세히 보면 황록색의 털이 나 있다. 차츰 짙은 녹색으로 변하고 털도 없어진다. 잎은 기다란 피뢰침 모양이고, 뾰족한 잎들이 어긋나기로 가지에 달린다. 뒷면에는 부드러운 털이 덮여 있어서 하얗게 보인다. 꽃이 피고 난 뒤 한참 지나면 버들강아지 속에 들어 있던 깨알 같은 씨는 성긴 솜털을 달고 다른 버드나무처럼 봄바람을 따라 이리저리 날아다니면서 새로운 자손을 퍼뜨린다.

여름철에 비가 흠씬 내려 불어난 물살에 뿌리의 흙이 씻겨 내려가 버리면, 실지렁이 모양의 잔뿌리가 곧잘 드러난다. 이곳은 체 같아서 물에 떠내려 오는 숲속의 온갖 잡동사니가 모두 걸려든다. 천연수질 정화장치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이런 곳에는 오늘날 이름도 아련한 버들붕어, 버들치, 버들개 등 우리의 토종 물고기들의 안식처가 된다.


 

                                                      

갯버들은 고구려의 어머니 나무이기도 하다. 주몽의 어머니는 유화부인이다.

《삼국유사》에 보면 “물의 신 하백(河伯)의 장녀였던 유화는 두 동생들과 함께 압록강 가에서 잘 놀았다. 평소에는 둔치에 있다가 장마 때면 물이 차는 곳, 이런 곳에서 갯버들이 잘 자란다. 딸을 귀여워한 하백은 예쁜 갯버들의 꽃을 보고 유화(柳花)란 이름을 붙여 주었을 터다. 어느 날, 그녀는 하느님의 아들이라 자칭하는 해모수를 만나 깊은 사랑에 빠진다. 그러나 아이까지 가진 유화를 놔두고 바람둥이 해모수는 얼마 뒤 홀로 하늘로 올라가 버리고는 그만이었다. 바람난 딸에 화가 난 하백은 유화를 추방해버린다. 마침 동부여의 금와왕이 유화를 발견하고 왕궁으로 데려갔더니 알 하나를 낳았다. 이 알에서 나온 아이가 뒷날 주몽이 되었다”라는 내용이 나온다.

갯버들과 비슷한 종류로 선조들이 생활용품을 만드는 데 널리 쓰인 키버들이 있다. 다른 이름으로는 고리버들이라 하며, 쉽게 휘어 질긴 가지를 엮어서 옷상자(고리), 키, 광주리, 동고리, 반짇고리 등을 만들었다. 고리버들로 제품을 만드는 사람들을 특히 고리장이, 혹은 유기장(柳器匠)이라 하여 백정과 함께 가장 멸시받는 계급으로 분류했다.

《고려사》 〈최충헌(1149~1219)〉 조에 보면 “압록강 국경지대에 살고 있는 양수척(楊水尺)은 태조 왕건이 후백제를 공격하여 이주시킨 사람들의 후손이다. 수초를 따라 유랑생활을 하면서 사냥이나 하고 버들 그릇을 엮어서 팔아먹는 것으로 생업을 삼았으며, 대체로 기생은 근본이 고리장이 집에서 나왔다”라는 기록이 있다. 이처럼 고리장이가 천민이 된 것은 줄잡아도 천년은 넘은 것 같다.

갯버들과 키버들은 모양이 비슷하나 어린 가지에 털이 있고, 잎이 항상 어긋나기로 달리는 것이 갯버들, 털이 없고 가끔 마주보기로 달리는 잎이 섞여 있으면 키버들이다.



'숲과의 對話 > 목본(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문비나무  (0) 2017.03.19
개나리   (0) 2017.03.16
개머루  (0) 2017.03.12
가래나무  (0) 2017.03.11
경천(꿩의비름)  (0) 2014.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