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 이명 이명은 외부의 어떠한 자극조건없이 나타나는 이상(異常)소리 감각으로, 흔히 이롱(耳聾)의 징조이며, 청각기능 문란으로 발생한다. 이(耳)부의 병변은 이롱 또는 현훈이 동시에 존재한다. 기타 인소(因素)는 이롱 또는 현훈을 수반하지 않는다. 고전처방중의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 病症別 鍼處方/오관계 2016.07.15
메니얼증후군 메니얼증후군 메니얼증후군은 내이(內耳)의 막미로(膜迷路)에 적수(積水)가 발생하여 발작성 현훈, 이명, 이롱, 두창(頭脹)등을 주요증상으로 하는 질병이다. 전통의학의 “현훈” 범주에 속한다. 부항 침자법으로 본병을 치료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호침 침자 부항요법: 주혈: 풍.. 病症別 鍼處方/오관계 2016.07.15
족부 통풍성 관절염(화침 자혈(刺血)법) 족부 통풍성 관절염(화침 자혈(刺血)법) 급성 통풍성관절염은 하지관절 척지(跖趾)관절에 호발하며, 그중 엄지관절과 제1척지관절에 제일 흔히 나타난다. 동시에 수개 관절 발생은 드물다. 다음 손상되는 관절의 순서는 족궁, 과, 근, 슬, 완, 지와 주관절이다. 대관절 손상 시에는 관절.. 病症別 鍼處方/근골격계(하지) 2016.07.15
견주염 견주염 (1) 견주염은 “누견풍”이라 부르고, 통증과 활동장애를 위주하며, 외감풍한증이고, 견삼침 국소 혈위 침구를 위주하고 다시 TDP 조사(照射) 또는 부항, 중약 내복으로 거풍산한(祛風散寒)지통(止痛)하는 약을 위주 하였지만 효과는 이상적이 못되었다. (2) 고전 처방 경험을 참고하.. 病症別 鍼處方/근골격계(요 상지) 2016.07.15
락침(落枕) 락침(落枕) 락침은 환자가 경항부 강통으로 활동에 제한을 받는 일종의 병증이다. 주요하게 항부 근육이 한사(寒邪) 또는 장시간에 과도한 견인으로 경련이 발생한다. 성인 중, 노인들에게서 많이 발병하며 경추병변을 반영하여 반복적으로 발생한다. 양의학에서 경근노손, 경근 풍습병, .. 病症別 鍼處方/근골격계(요 상지) 2016.07.15
비염 비염 비통(鼻通), 영향, 인당, 통천, 합곡을 침구하여 비염 치료하고, 알레르기 비염에 비양을 가한다. 이외에 비염환자는 제5경추에 현저한 압통 또는 조상물이 있고, 흔히 반모(斑蝥)를 분말하여 혈위에 4-6시간 붙여 발포하고 10일에 1회를 붙이고, 연 3회 1요정한다. 본 방법은 좋은 효.. 病症別 鍼處方/오관계 2016.07.15
맥립종(麦粒肿) 맥립종(麦粒肿) 일반적으로 대다수는 태양, 이첨에 삼릉침을 점자 방혈하면 일정한 효과가 있다. 필자는 중의경락이론에 따라 상안검에 발병한 환자는 족태양방광경 배부 견갑구 족태양 순행 부위에 수개의 작은 붉은 점을 발견하고, 삼릉침으로 도자 출혈한다; 하안검 발병 환자.. 病症別 鍼處方/오관계 2016.07.15
치통 치통 치통은 충치와 풍치로 나누고, 침구는 풍치에 좋은 효과로 침자하면 즉시 지통효과가 나타난다. 상용 혈위는 하관, 협차, 합곡이 치통 3요혈이다. (1) 풍화치통은 예풍 단혈 치료에 좋은 효과가 있고, 위화치통은 내정, 허화치통은 태충을 가한다. 그러나 충치에 대하여 침구는 효과.. 病症別 鍼處方/오관계 2016.07.15
안면 말초신경마비 안면 말초신경마비 속칭“면탄(面癱)”이라 하고, 옛 사람들은 풍담조락(風痰阻絡)으로 견정산(牽正散)을 사용하여 치료하였지만 임상에서 좋은 효과는 이상적이 아니다. 현대의학에서 안면신경마비를 두개외형과 두개내형으로 나누고(후자는 동측 설전2/3 미각 감퇴 또는 소실, 청.. 病症別 鍼處方/뇌 신경 정신계 2016.07.15
다한증 다한증 "다한증 이란" 땀이 날 아무런 조건도 없이 많은 땀을 흘리는 증상을 말합니다. 깜짝 놀라거나 정신적으로 흥분되었을 때, 운동을 하거나 옷을 두텁게 입었을 때 나는 땀은 교감신경 기능항진이 되어 과다한 땀이 배출되는 생리적인 현상입니다. ◎ 땀의 병적형태는 크게 2가지로 .. 病症別 鍼處方/피부 비만계 2016.07.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