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우(菊芋) - 돼지감자(뚱단지) 국우 - 돼지감자(뚱단지) 돼지감자는국우(菊芋) 또는 양강(洋姜) 번강(番羌) 오성초(五星草)라고도 칭하며 라틴어 학명(学名)은 Helianthus tuberosus L. 이고 국과(菊科) 향일규속(向日葵属) 숙근성(宿根性) 초본식물(草本植物)이며 원산지는 북미주(北美洲)인데 17 세기 경에 유럽으로 전.. 本草房/약초(ㄱ) 2015.07.20
맥문동 맥문동 예로부터 민간요법으로 자주 쓰였던 식품으로는 맥문동이 있습니다. 맥문동효능은 체력이 저하된 환자분들이나 건강이 약하신 분들께 더욱 크게 발휘된다고 하는데요. 지금부터 다양한 맥문동효능에 대해 알려드릴테니 함께 살펴보시죠. 해열작용 체내에 열이 많으신 분들은 머.. 本草房/약초(ㅁ) 2015.07.18
아마씨 아마씨 석류의 2700배, 대두의 1370배 아마씨란? flaxseed, linseed로 불려지는 아마씨는 식용과 약용으로 쓰이며, 중앙 아시아 고산지대가 원산지로 견과류의 저온식물입니다. 꽃은 6~8월에 파란빛을 띤 자주색 또는 흰색으로 피며 열매는 둥글고, 열매는 납작하고 긴 타원 모양이며 황금빛을 .. 本草房/약초(ㅇ) 2015.07.16
백작약(白芍藥) 백작약(白芍藥) 복통·위통·두통·월경불순·대하증·신체허약증 등 효과 백작약(白芍藥)이란 백작약(白芍藥)을 백작(白芍)이라고도 한다. 뿌리를 약재로 쓰는데, 분홍꽃이 피는 산작약(Paeonia obovata MAX.)과 집에서 가꾸는 작약(P. albiflora var. hortensis MAKINO)의 뿌리도 함께 쓰인다. 잎의 뒷.. 本草房/약초(ㅂ) 2015.07.16
연자육(蓮子肉) 연자육(蓮子肉) 연자(莲子)는 연밥이라고도 칭히며 연자육(蓮子肉)과 연자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자심(莲子心)은 연밥의 중간(中间)에 들어있는 청록색(青绿色) 배아(胚芽)인데 미(味)는 고(苦)이고 성(性)은 한(寒)이다. 청열(清热)、고정(固精)、안신(安神)、.. 本草房/약초(ㅇ) 2015.07.16
싸리나무 싸리나무 무좀, 습진, 마른버짐, 갖가지 피부병, 기침, 폐열로 인한 기침, 두통, 고혈압, 동맥경화, 부종, 양기부족 등 싸리나무로 온갖 질병 고치기 두통 싸리나무 잎을 그늘에 말려 두고 한 번에 10 ~ 15그램을 물에 달여 하루 세 번에 나누어 먹는다. 또는 싸리나무 잎을 달여서 차처럼 마.. 本草房/약초(ㅅ) 2015.07.12
사필와(四匹瓦) 사필와(四匹瓦) 【별명(别名)】 사괴와(四块瓦), 사엽대(四叶对)、사엽세신(四叶细辛)、만근단(万根丹)、등롱화(灯笼花)、분엽근(分叶芹). 【내원(来源)】 금율난과(金粟兰科) 금율난속(金粟兰属) 식물(植物) 은전초(银线草 : Chlorant.. 本草房/약초(ㅅ) 2015.07.07
금잔화 금잔화(金盏花:Calendula officinalis) ​고대(古代) 서양인들은 금잔화를 약용(药用)하였으며 염료(染料)로 사용하였고 화장품(化妆品)을 만드는데 사용했으며 식용(食用)도 했다. 금잔화의 잎사귀와 꽃잎을 식용(食用)하였으며 요리 할 때 음식을 보기 좋게하기 위한 장식용(Ş.. 本草房/약초(ㄱ) 2015.07.07
자수(柘樹) 자수(柘樹) 자수(柘樹)의 과실(果實) 1. 상과식물(桑科植物) 자수(柘樹 : 꾸지뽕나무)의 과실(果實)이다. 별명(别名)은 가자(佳子)、산여지(山荔枝)、수여지(水荔枝)、야여지(野荔枝)、야매자(野梅子) 등이 있다. 라틴어 명(名) : Maclura tricuspidata Carr.[Cudran.. 本草房/약초(ㅈ) 2015.07.07
사원질려(沙苑蒺藜)와 백질려(白蒺藜) 사원질려(沙苑蒺藜)와 백질려(白蒺藜) 사원질려(沙苑蒺藜)는 두과식물(豆科植物) 편경황기(扁茎黄芪)의 종자(种子)이며 처방명(处方名)은 길리자(吉利子)、동질려(潼蒺藜)、동사원(潼沙苑)、사질려(沙蒺藜)、사원자(沙苑子), 사칠력(沙七力) 이고 온.. 本草房/약초(ㅂ) 2015.0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