鍼灸 小考/사암오행침

심허증(心虛證)과 활용

초암 정만순 2017. 1. 2. 15:08



심허증(心虛證)과 활용



가, 심기허(心氣虛).


   ① 원인(原因) : 구병(久病)으로 장부(臟腑)가 허쇠(虛衰)또는 기혈(氣血)이 손상(損傷)되어 심기허(心氣虛) 발생(發生).


   ② 주요증상(主要症狀) : 심계(心悸), 숨차다(기단(氣短), 자한(自汗), 흉고(胸苦), 불안감(不安感), 안면창백(顔面蒼白), 운동(運動)후 가중(加重), 신체허약(身體虛弱). 

   ▸설질(舌質) : 담백(淡白), 맥(脈) : 허(虛)/세약(細弱)/결대맥(結代脈)


   ③ 자침응용(刺鍼應用).

     ⓐ 심보(心補) : 태돈(太敦), 소충(少衝)을 선“㊉”하고, 음곡(陰谷), 소해(少海)를 후“㊀”한다.

     ⓑ 간보(肝補) : 음곡(陰谷), 곡천(曲泉)을 선“㊉”하고, 경거(經渠), 중봉(中封)를 후“㊀”한다.

     ⓒ 신사(腎瀉) : 태돈(太敦), 용천(湧泉)을 선“㊀”하고, 태백(太白), 태계(太谿)를 후“㊉”한다.

     ⓓ 폐사(肺瀉) : 음곡(陰谷), 척택(尺澤)을 선“㊀”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를 후“㊉”한다.

     ⓔ 육기(六氣)[방광보(膀胱補)] : 상양(商陽), 지음(至陰)을 선“㊉”하고,  족삼리(足三里), 위중(委中)를 후“㊀”한다.


   ※ 참고 : ⓐ 소충(少衝), 신문(神門), 용천(湧泉), 태계(太谿), 통리(通里)/음극(陰隙), 태종(太鍾)/수천(水泉)중 압통혈(壓痛穴) 및 필요혈(必要穴)에 자침한다.

ⓑ 상합치료(相合治療)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표리관계(表裏關係)를 다스린다.

ⓒ 상합(相合)과 교상합(交相合)[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수족관계(手足關係)로 교상합(交相合)]의 복합(複合)치료(治療)한다.


나, 심양허(心陽虛).


   ① 원인(原因) : 심기(心氣)허(心氣虛)가 진전(進展)되어 심양(心陽)에 손상(損傷)을 주어 형한지냉(形寒肢冷)하고 심양(心陽)이 부족(不足)한 상태(狀態).


   ② 주요증상(症狀)(主要症狀) : 심계(心悸), 숨차다(기단(氣短), 자한(自汗), 흉고(胸苦), 불안감(不安感), 안면창백(顔面蒼白), 운동(運動)후 가중(加重), 신체허약(身體虛弱), 형한지냉(形寒肢冷), 심흉울민(心胸鬱悶), 한기(寒氣)

   ▸설질(舌質) : 반대(胖大), 맥(脈) : 세약무력(細弱無力)/결대맥(結代脈)


   ③ 자침응용(刺鍼應用).

     ⓐ 심보(心補) : 태돈(太敦), 소충(少衝)을 선“㊉”하고, 음곡(陰谷), 소해(少海)를 후“㊀”한다.

     ⓑ 간보(肝補) : 음곡(陰谷), 곡천(曲泉)을 선“㊉”하고, 경거(經渠), 중봉(中封)를 후“㊀”한다.

     ⓒ 신사(腎瀉) : 태돈(太敦), 용천(湧泉)을 선“㊀”하고, 태백(太白), 태계(太谿)를 후“㊉”한다.

     ⓓ 폐사(肺瀉) : 음곡(陰谷), 척택(尺澤)을 선“㊀”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를 후“㊉”한다.

     ⓔ 육기(六氣)[방광보(膀胱補)] : 상양(商陽), 지음(至陰)을 선“㊉”하고,  족삼리(足三里), 위중(委中)를 후“㊀”한다.


   ※ 참고 : ⓐ 소충(少衝), 신문(神門), 용천(湧泉), 태계(太谿), 통리(通里)/음극(陰隙), 태종(太鍾)/수천(水泉)중 압통혈(壓痛穴) 및 필요혈(必要穴)에 자침한다.

ⓑ 상합치료(相合治療)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표리관계(表裏關係)를 다스린다.

ⓒ 상합(相合)과 교상합(交相合)[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수족관계(手足關係)로 교상합(交相合)]의 복합(複合)치료(治療)한다.

      

다, 심양허탈(心陽虛脫) ; 양허궐역(陽虛闕逆).


     ① 원인(原因) : 심양(心陽), 비양(脾陽)이 쇠(衰)하여 져서 수곡(水穀)의 부숙(腐熟)이 되지 못하므로 하리청곡(下痢淸穀), 고동(鼓動)하지 못하는 증. 


     ② 주요증상(症狀)(主要症狀) : 심기허(心氣虛)/심양허증(心陽虛證))와 더불어 사지역냉(四肢逆冷), 하리청곡(下痢淸穀)등의 증상(症狀)(症狀), 심계(心悸), 기단(氣短), 자한(自汗), 운동(運動)후 가중(加重)됨


     ③ 자침응용(刺鍼應用).

     ⓐ 심보(心補) : 태돈(太敦), 소충(少衝)을 선“㊉”하고, 음곡(陰谷), 소해(少海)를 후“㊀”한다.

     ⓑ 간보(肝補) : 음곡(陰谷), 곡천(曲泉)을 선“㊉”하고, 경거(經渠), 중봉(中封)를 후“㊀”한다.

     ⓒ 신사(腎瀉) : 태돈(太敦), 용천(湧泉)을 선“㊀”하고, 태백(太白), 태계(太谿)를 후“㊉”한다.

     ⓓ 폐사(肺瀉) : 음곡(陰谷), 척택(尺澤)을 선“㊀”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를 후“㊉”한다.

     ⓔ 육기(六氣)[방광보(膀胱補)] : 상양(商陽), 지음(至陰)을 선“㊉”하고,  족삼리(足三里), 위중(委中)를 후“㊀”한다.


   ※ 참고 : ⓐ 소충(少衝), 신문(神門), 용천(湧泉), 태계(太谿), 통리(通里)/음극(陰隙), 태종(太鍾)/수천(水泉)중 압통혈(壓痛穴) 및 필요혈(必要穴)에 자침한다.

ⓑ 상합치료(相合治療)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표리관계(表裏關係)를 다스린다.

ⓒ 상합(相合)과 교상합(交相合)[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수족관계(手足關係)로 교상합(交相合)]의 복합(複合)치료(治療)한다.


라, 심양허탈(心陽虛脫) ; 음성격양(陰盛擊壤).


     ① 원인(原因) : 양기(陽氣)는 미쇠(微衰)하고 음한(陰寒)이 내성(內盛)하여 허양(虛陽)이 외부로 거격(拒格)됨으로 말미암아 진한가열증(眞寒徦熱證)이 되어 겉으로 가열(假熱) 일어나기 때문에 구갈불욕음(口渴不辱陰), 면협핍홍(面頰乏紅)하고 신열(身熱)이 나면서도 옷을 입으려 하고 내부에는 진한(眞寒)이 있기 때문에 하리청곡((下利淸穀), 지궐(肢厥)


     ② 주요증상(症狀)(主要症狀) : 신열반욕개의피(身熱反欲蓋衣被), 구갈불욕음(口渴不欲飮). 음식을 먹자 마자 토한다. 번조(煩躁), 면협핍홍(面頰乏紅), 하리 청곡다. 심양허탈(心陽虛脫), 심계(心悸), 기단(氣短), 자한(自汗), 운동(運動)후 가중(加重)됨,

     ▸맥(脈) : 미욕절(微欲絶)


     ③ 자침응용(刺鍼應用).

     ⓐ 심보(心補) : 태돈(太敦), 소충(少衝)을 선“㊉”하고, 음곡(陰谷), 소해(少海)를 후“㊀”한다.

     ⓑ 간보(肝補) : 음곡(陰谷), 곡천(曲泉)을 선“㊉”하고, 경거(經渠), 중봉(中封)를 후“㊀”한다.

     ⓒ 신사(腎瀉) : 태돈(太敦), 용천(湧泉)을 선“㊀”하고, 태백(太白), 태계(太谿)를 후“㊉”한다.

     ⓓ 폐사(肺瀉) : 음곡(陰谷), 척택(尺澤)을 선“㊀”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를 후“㊉”한다.

     ⓔ 육기(六氣)[방광보(膀胱補)] : 상양(商陽), 지음(至陰)을 선“㊉”하고,  족삼리(足三里), 위중(委中)를 후“㊀”한다.


   ※ 참고 : ⓐ 소충(少衝), 신문(神門), 용천(湧泉), 태계(太谿), 통리(通里)/음극(陰隙), 태종(太鍾)/수천(水泉)중 압통혈(壓痛穴) 및 필요혈(必要穴)에 자침한다.

ⓑ 상합치료(相合治療)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표리관계(表裏關係)를 다스린다.

ⓒ 상합(相合)과 교상합(交相合)[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수족관계(手足關係)로 교상합(交相合)]의 복합(複合)치료(治療)한다.


마, 심양허탈(心陽虛脫) ; 망양허탈(亡陽虛脫).

     ① 원인(原因) : 심기허(心氣虛), 심양허(心陽虛)가 발전하여 심양(心陽)이 폭탈(暴脫)하고 종기(宗氣)가  대설(大泄)하여 심양(心陽)이 위양(衛陽)을 선통(宣通)하지 못 하므로 발생(發生)한것


     ② 주요증상(症狀)(主要症狀) : 심계(心悸), 기단(氣短), 자한(自汗), 운동(運動)후 가중(加重)됨, 대한임이(大汗淋漓), 사지궐냉(四肢厥冷), 구순청자(口脣靑紫), 호흡미약(呼吸微弱)

     ▸맥(脈) : 미욕절(微欲絶)


     ③ 자침응용(刺鍼應用).

     ⓐ 심보(心補) : 태돈(太敦), 소충(少衝)을 선“㊉”하고, 음곡(陰谷), 소해(少海)를 후“㊀”한다.

     ⓑ 간보(肝補) : 음곡(陰谷), 곡천(曲泉)을 선“㊉”하고, 경거(經渠), 중봉(中封)를 후“㊀”한다.

     ⓒ 신사(腎瀉) : 태돈(太敦), 용천(湧泉)을 선“㊀”하고, 태백(太白), 태계(太谿)를 후“㊉”한다.

     ⓓ 폐사(肺瀉) : 음곡(陰谷), 척택(尺澤)을 선“㊀”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를 후“㊉”한다.

     ⓔ 육기(六氣)[방광보(膀胱補)] : 상양(商陽), 지음(至陰)을 선“㊉”하고,  족삼리(足三里), 위중(委中)를 후“㊀”한다.


   ※ 참고 : ⓐ 소충(少衝), 신문(神門), 용천(湧泉), 태계(太谿), 통리(通里)/음극(陰隙), 태종(太鍾)/수천(水泉)중 압통혈(壓痛穴) 및 필요혈(必要穴)에 자침한다.

ⓑ 상합치료(相合治療)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표리관계(表裏關係)를 다스린다.

ⓒ 상합(相合)과 교상합(交相合)[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수족관계(手足關係)로 교상합(交相合)]의 복합(複合)치료(治療)한다.


바, 심혈허(心血虛).


   ① 원인(原因) : 오랜 투병(鬪病) 생활로 몸이 약(弱)해져서 혈액(血液)의 생산(生産)이 부족하거나 심신(心神)의 과로(過勞)로 실혈(失血) 또는 심혈허증(心血虛證) 발생(發生).


   ② 주요증상(症狀)(主要症狀) : 심계(心悸), 정충(怔忡), 심번(心煩), 실면(失眠), 다몽(多夢), 이경(易驚), 건망(健忘), 현운(眩暈), 면색불화(面色不華),

   ▸순설(脣舌) : 색담(色淡) ∙맥(脈) : 세약(細弱)


   ③ 자침응용(刺鍼應用).

     ⓐ 심보(心補) : 태돈(太敦), 소충(少衝)을 선“㊉”하고, 음곡(陰谷), 소해(少海)를 후“㊀”한다.

     ⓑ 간보(肝補) : 음곡(陰谷), 곡천(曲泉)을 선“㊉”하고, 경거(經渠), 중봉(中封)를 후“㊀”한다.

     ⓒ 신사(腎瀉) : 태돈(太敦), 용천(湧泉)을 선“㊀”하고, 태백(太白), 태계(太谿)를 후“㊉”한다.

     ⓓ 폐사(肺瀉) : 음곡(陰谷), 척택(尺澤)을 선“㊀”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를 후“㊉”한다.

     ⓔ 육기(六氣)[방광보(膀胱補)] : 상양(商陽), 지음(至陰)을 선“㊉”하고,  족삼리(足三里), 위중(委中)를 후“㊀”한다.


   ※ 참고 : ⓐ 소충(少衝), 신문(神門), 용천(湧泉), 태계(太谿), 통리(通里)/음극(陰隙), 태종(太鍾)/수천(水泉)중 압통혈(壓痛穴) 및 필요혈(必要穴)에 자침한다.

ⓑ 상합치료(相合治療)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표리관계(表裏關係)를 다스린다.

ⓒ 상합(相合)과 교상합(交相合)[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수족관계(手足關係)로 교상합(交相合)]의 복합(複合)치료(治療)한다.


사, 심음허(心陰虛).

   ① 원인(原因) : 심음(心陰)이 부족하여 심양(心陽)을 억제 하지 못함, 또한 심양(心陽)이 항진(亢進)되어 심계(心悸)증상(症狀)(症狀)이 나타남,


   ② 주요증상(症狀)(主要症狀) : 심계(心悸), 심번(心煩), 실면(失眠), 다몽(多夢), 이경(易驚), 건망(健忘), 현운(眩暈), 면색불화(面色不華), 저열(低熱), 도한(盜汗), 오심번열(五心煩熱), 구건(口乾), 인건(咽乾)

   ▸설(舌) : 홍(紅) ∙맥(脈) : 세삭(細數)


   ③ 자침응용(刺鍼應用).

     ⓐ 심보(心補) : 태돈(太敦), 소충(少衝)을 선“㊉”하고, 음곡(陰谷), 소해(少海)를 후“㊀”한다.

     ⓑ 간보(肝補) : 음곡(陰谷), 곡천(曲泉)을 선“㊉”하고, 경거(經渠), 중봉(中封)를 후“㊀”한다.

     ⓒ 신사(腎瀉) : 태돈(太敦), 용천(湧泉)을 선“㊀”하고, 태백(太白), 태계(太谿)를 후“㊉”한다.

     ⓓ 폐사(肺瀉) : 음곡(陰谷), 척택(尺澤)을 선“㊀”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를 후“㊉”한다.

     ⓔ 육기(六氣)[방광보(膀胱補)] : 상양(商陽), 지음(至陰)을 선“㊉”하고,  족삼리(足三里), 위중(委中)를 후“㊀”한다.


   ※ 참고 : ⓐ 소충(少衝), 신문(神門), 용천(湧泉), 태계(太谿), 통리(通里)/음극(陰隙), 태종(太鍾)/수천(水泉)중 압통혈(壓痛穴) 및 필요혈(必要穴)에 자침한다.

ⓑ 상합치료(相合治療)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표리관계(表裏關係)를 다스린다.

ⓒ 상합(相合)과 교상합(交相合)[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수족관계(手足關係)로 교상합(交相合)]의 복합(複合)치료(治療)한다.


         

'鍼灸 小考 > 사암오행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허증(脾虛證)의 활용  (0) 2017.01.02
비실증(脾實證)과 활용  (0) 2017.01.02
심실증(心實證).과 활용  (0) 2017.01.02
소장실증(小腸實證)과 활용  (0) 2017.01.02
신실증(腎實證)과 활용  (0) 2017.01.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