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저(脚底 : 발바닥)의 색깔과 건강
발(脚)은 신체(身体)의 제 일 낮은 곳에 자리잡고 있지만 절대로 소홀히 해서는 않되는 중요한 부위이다.
종종 발에 동통(疼痛)이 발생하는데 발(脚)과 수명(寿命)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한의학에서 말하는 5색(五色)은 청(青), 적(赤), 황(黄), 백(白), 흑(黑)이다. 한의학에서 말하는 정상적(正常的)인 발바닥(脚底)의 색깔은 약간 불그스름한 색깔이다.
만일 발바닥의 색깔이 홍색(红色)이 뚜렷하면 신체에 열(热)이 있으며; 발바닥의 색깔이 청색(青色)일 경우 신체에 한(寒)이 있으며; 만일 발바닥의 색깔이 황색(黄色)이면,간(肝)과 담(胆)에 질병(疾病)이 있고; 만일 발바닥의 색깔이 백색(白色)이면,한증(寒证) 외에 영양불량(营养不良)과 빈혈(贫血)이 있다.
만일 발바닥의 색깔이 자색(紫色)이거나 흑색(黑色)일 경우, 혈액순환(血液循环)이 불량하다. 이상(以上)과 같은 발바닥의 색깔이 있는 사람들은 병원에 가서 진찰을 받아보는 것이 현명하다.
(1) 발바닥의 온도(温度) :
노인(老人)들의 발은 차다. 대부분 신양부족(肾阳不足)이거나 발을 보난(保暖)해 주지 않기 때문이다.
이와같은 증상이 있는 사람들은 양육(羊肉)과 마늘과 생강(生姜) 등을 비롯한 온열식품(温热食品)을 섭취해 주므로써 인체의 내한력(耐寒力)을 높혀주어야 한다.
만일 각심열(脚心热)이 있을 경우 대부분 음허내열(阴虚内热) 증상이 있으므로 녹두(绿豆)와 동과(冬瓜)와 수육(瘦肉) 등 감양자윤(甘凉滋润) 식품을 섭취해 주어야 한다.
반면에 양육(羊肉)과 구채(韭菜: 부추)와 날초(辣椒) 등 온조식품(温燥食品)은 소량 만 섭취해야 한다.
(2) 지갑(趾甲 : 발톱) :
일반적으로 건강인(健康人)들의 각지갑(脚趾甲:발톱)의 색깔은 분홍색(粉红色)이다.
각지갑(脚指甲:발톱)의 밑부분에 있는 초생달 모양의 흰자위의 넓이는 지갑(趾甲: 발톱) 전체 길이의 1/5 이어야 한다. 만일 각지갑(脚趾甲:발톱)의 색깔이 창백색(苍白色)이며 혈색(血色)이 전혀 없을 경우 영양불량(营养不良)과 빈혈(贫血)을 의심해 보는 것이 현명하다.
이와같은 경우 섭취하는 음식물(饮食物)에 주의해야 되고,매일 충분한 열량(热量) 섭취에 신경을 써야한다.
만일 발톱(趾甲) 위에 세로무늬(纵行条纹)가 있는 사람들은 신체가 허약(虚弱)함과 동시에 항병능력(抗病能力)이 약화되어 있다.
이와같은 사람들은 신체단련(身体锻炼)에 힘써야 되고,구좌(久坐: 오래 앉아있음)와 구참(久站: 오래 서있음)을 피하고 각부(脚部)의 건강(健康)에 신경을 써야한다.
다음은 참고해 두어야 할 주의사항이다.
1 중성(中性) 비누를 사용하여 발을 씻어주어야 하고 유연(柔软)한 천으로 발가락 사이를 잘 닦아 주어야 한다.
2. 세각후(洗脚后) 피부(皮肤)의 파열(破裂)을 방지해 주기 위하여 윤부제 등 연고를 발라주어야 한다.
3. 매일 발을 검사(检查)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 이상이 발견되거나 상처가 발견될 경우 즉시 치료해야 한다. 예를들면 수포(水疱)나 자상(刺伤)이나 피부발홍(皮肤发红)이나 피부의 굳은살(皮肤发硬)이나 파손(破损)이나 찰상(擦伤)이나 국부발열9局部发热)이나 국부발양(局部发凉)이나 국부변색(局部变色) 등을 살펴서 즉시 치료에 임해야 한다.
4. 상구(伤口)는 즉시 치료해 주어야 한다. 만일 피부파궤(皮肤破溃)와 외상(外伤) 등이 발견될 경우 의사로 하여금 처치하도록 해야한다.
5. 발에서 나오는 땀을 잘 흡수할 수 있는 천으로 만든 양말을 신어야 하며 발이 편안한 신발을 신어야 한다. 매일 양말을 갈아 신어야 하며 양말은 모질(毛质)이나 면질(棉质) 양말이 가장 좋다.
6. 발톱(趾甲尖)은 곡선으로 잘르지 말고 수평으로 잘라야 한다.
7. 세각수(洗脚水)의 온도는 40℃ 를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 또 포각시간(泡脚时间)은 15 분(分)이 적합하다.
'診斷學 > 망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여성(女性)들의 5 개 부위(部位)의 출한이상(出汗异常) (0) | 2016.05.06 |
---|---|
대변건강 (0) | 2016.05.04 |
한의학의 면진(面診) (0) | 2016.01.17 |
얼굴부위별 트러블 발생원인 (0) | 2016.01.12 |
한의학의 면진(面診) (0) | 2016.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