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궁
1.學名 및 生物學的分類
1)학명 : Cnidium officinale Makino
2)계 : 식물
3)문 : 속씨식물
4)강 : 쌍떡잎식물
5)목 : 산형목
6)원산지 : 중국
7)크기 : 높이 30∼60cm
중국 원산이며 약용 식물로 재배한다. 높이 30∼60cm이며 속이 비어 있고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2회 3출 깃꼴겹잎이며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다소 깊은 톱니가 있다. 뿌리잎과 밑부분의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밑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줄기를 감싼다.
꽃은 8~9월에 피고 흰색이며 복산형꽃차례를 이룬다. 꽃잎은 5개이고 안쪽으로 말리며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총포와 소총포는 각각 5∼6개이며 줄 모양이다. 열매는 열리지만 성숙하지 않는다. 땅 속에 있는 마디 사이는 길이 5∼10cm, 지름 3∼5cm의 덩어리처럼 생기고 강한 향기가 있다.
진정 ·진통 ·강장 등에 효능이 있어 두통 ·빈혈증 ·부인병 등을 치료하는데 쓴다. 9~11월에 근경을 캐어 잎과 줄기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후 3~6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환제(丸劑)나 산제(散劑)로 하여 사용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중국 원산의 천궁을 재배하여 사용하는 외에도 계곡 물가에서 저절로 자라는 궁궁이와 산에서 저절로 자라는 산궁궁이인 산천궁과 일본에서 도입된 일천궁도 함께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으며 또는 분리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궁궁이의 학명은 [Ligusticum chuanxiong Hort.]이다. 산천궁의 학명은 [Ligusticum jeholense Nakai=요고본[遼槁本: 동북약용식물지(東北藥用植物志)]이다. 일본천궁의 학명은 [Cnidium offcinale Makino]이다.
3.生藥名
1)藥名
천궁(川芎) 효능
2)이명
궁궁(芎藭), 향과(香果), 호궁(胡窮), 경궁(京芎)
4.使用部位
뿌리
5.採取 와 調劑 (修治, 法製, 炮製)
1)採取
늦가을에 서리가 내린 다음 뿌리를 캐서 줄기를 버리고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2)修治
거유(去油)한 후 생용(生用) 하거나 절편한 천궁을 황주(黃酒)와 고루 섞어서 문화(文火)로 황갈색이
[중약대사전] : "천궁(川芎): 불순물을 제거하고 대, 소로 나누어서 물에 담그고 통풍이 좋은 곳에서
주천궁(酒川芎): 천궁편(川芎片)에 황주(黃酒)를 골고루 뿌려서 약간 적신 후 가마에 넣어 약간 그을
6.成分
크니딜라이드(cnidilide)·네오크니딜라이드(neocnidilide)·리구스틸라이드(ligustilide) 등이 있다.
7.性味, 歸經, 主治
1)性味
고(苦), 신(辛), 무독(無毒), 온溫, 소음인
2)歸經
심포경(心包經), 간경(肝經), 담경(膽經), 삼초경(三焦經)
3)主治
◈경폐통경(經閉痛經) : 월경 출혈이 없으면서 나타나는 월경통(月經痛)
◈두통(頭痛)
머리 전체 및 앞, 뒤, 옆 등이 아픈 것을 총괄하여 말함. [소문(素問)] [평인기상론(平人氣象論)]에
◈월경부조(月經不調)
월경병의 통칭. 전신 또는 성기의 이상으로 인해 생김. 월경선기(月經先期), 월경후기(月經後期),
◈질박종통(跌撲腫痛) : 넘어지거나 부딪쳐서 붓고 아픈 것을 말함
◈징하복통(癥瘕腹痛) : 징가(癥瘕)로 배가 아픈 병증
◈풍습비통(風濕痺痛) : 풍습으로 인해서 저리고 아픈 것.
◈흉협자통(胸脇刺痛) : 흉협에 찌르는 듯한 통증이 있음.
8.效能
진정작용, 강압작용, 자궁수축작용, 혈압 강하 작용, 항균작용, 항궤양작용, 진통작용, 억균작용, 정유 성분은 중추신경계통에 대하여 소량에서는 흥분적으로, 다량에서는 억제적으로 작용, 각종 풍이 상공하고 머리나 눈이 어지럽고 무거우며 두통 및 편두통이 있고 코가 막혀 소리가 이상한 증상, 상한장열, 지체의 번통, 근육의 연동, 격열담성, 부인 혈풍공주, 관자놀이가 아픈 증상 및 풍감기의 치료, 편두통, 수풍선훈, 현급, 외합양기, 풍한상박, 위격담음, 편두통 및 두통, 신구권의 치료, 풍열로 인한 두통, 임신시 복통, 임신 5~7개월의 부인이 충돌로 인해 태반이 움직이거나 태아가 배안에서 사망해서 오로가 내리고 동통이 멎지 않으며 몹시 고통스러운 경우, 산후 혈훈, 산후 심복통, 새로 생긴 괴통, 소아가 뇌열로 눈을 못 뜨고 태양통이 있거나 눈이 벌겋게 부은 증상, 협심증(임상보고), 풍한두통, 심장박동이상, 관상동맥질환으로 인한 흉부동통, 사지와 전신의 동통, 감기, 맹장염으로 인한 심한 복통, 타박상, 산전산후질병, 무월경, 월경부조, 월경통(생리통), 산후복통, 협통, 힘줄이 땅기는 데, 고혈압병, 옹종, 음허로 인한 두통, 월경과다를 다스리는 천궁
◈활혈행기(活血行氣) :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기(氣)의 운행이 원활하게 돕는 치료 방법임.
◈배농(排膿) : 고름을 뽑아 내는 치료방법을 말함. 배농(排膿)에는 수술로 째는 방법과 약을 붙이는
◈거풍지통(祛風止痛) : 풍(風)을 제거하고 통증을 멈추는 효능임
◈통경(通經) : 월경이 막혀 나오지 않는 것[閉經]을 치료하여 통창(通暢)시키는 방법임
◈통락(通絡) : 락맥을 소통시키는 효능임
9.效能解說
향명으로는 궁궁이라고 하며, 중국산 식물로 우리나라에서 흔히 재배되고 있고, 어린순은 나물로 뿌리줄기는 건조시켜 약재로 이용한다. 성분은 방향성정유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냄새가 좋다.
동물을 통한 약리적 작용실험에서 중추신경계통에 작용하여 진정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약하지만 지속적인 혈압강하작용도 확인되었다. 평활근에 대한 실험에서는 자궁의 수축력을 증대시켜 주고 또 살균작용이 있어서 대장균·이질균·녹농균·피부진균의 발육을 억제시키는 효과가 나타났다.
이 약은 약성이 온화하고 맛이 시어서 체내에 들어가서는 혈액순환을 왕성하게 해주고 통증을 가라앉히는 진통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두통에도 자주 응용된다. 부인에게 있어서는 월경불순·월경통·산후복통과 어지러운 증상을 없애준다.
또, 간장의 기능을 활성화시켜 주고 빈혈에 복용하면 조혈작용으로 효험을 얻게 된다. 그리고 심장근육의 수축부전으로 인한 심장 부위의 통증에도 증상을 호전시키고 있다. 허리와 다리의 골격이 약하고 근육에 경련을 자주 일으키는 사람이 복용하면 그와 같은 증상이 개선된다.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월경을 고르게 하며 기운(氣運)의 순행을 도와서 통증을 제거한다. 또 기체(氣滯)로 인한 어혈(瘀血)과 복통(腹痛), 협통(脇痛)에 효과가 있고, 풍사(風邪)를 몰아내며 아픔을 완화시키고, 약리 실험에서 진정(鎭靜) 작용 · 혈압 강하 작용 · 자궁 수축 작용 · 항균 작용 등이 밝혀졌다.
향기름 성분은 중추 신경 계통에 대하여 적은 양에서는 흥분적으로, 많은 양에서는 억제적으로 작용한다. 풍한두통(風寒頭痛), 무월경, 월경 장애, 생리통, 산후 복통, 협통(脇痛), 근육이 켕기는 데, 고혈압증(hypertension), 옹종(癰腫) 등에 쓴다.
황련(黃連)과의 배합을 꺼리고 오래 복용하면 원기를 손상시킨다. 민간에서는 옷장에 넣어두어 좀을 예방한다. 대표적인 처방으로 궁귀탕(芎歸湯)이 있는데 부인의 해산을 전후해서 많이 쓰인다. 천궁은 한방에서 많이 쓰이는 약의 하나이다.
천궁(川芎)은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는 약재로서 보통 한약 냄새라고 부르는 향을 가진 약재가 바로 천궁이라고 할 수 있다.
혈액순환을 개선시켜 여성들의 손발저림에 효과적인데, 천궁의 성분인 Ferulic acid에 진통, 진경작용과 평활근이완작용이 있어서 장관의 경련이나 임신자궁의 수축, 경련 등을 억제해준다. 정유(精油) 성분이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대뇌의 활동을 억제해 진정작용을 하며 카페인의 흥분작용에 길항하여 낮춰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천궁은 관상동맥, 말초혈관을 확장하여 하지(下肢)와 심근(心筋)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는데, 머리에 피가 안 통해 생기는 두통에 효과적이다. 외부 충격으로 생긴 타박상의 어혈을 풀어주고 통증을 완화시켜 몸을 가볍게 만들어 준다.
중년 이상의 여성들에게 특히 많이 발생하는 손발저림과 각종 부인병에 효과적인 천궁은 생리통, 복통을 비롯해 출산 후의 산후조리에도 널리 쓰이고 있다.
또 천궁은 보통 1회 용량 3g 이하에서는 혈압을 상승 시키고 3g 이상에서는 혈압을 저하시킨다고 알려져 있으니 자신의 건강 상태와 체질에 따라 적정량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10.症狀別 使用法
▣포함처방
▣천궁다조산(川芎茶調散)
박하(薄荷) 160g, 형개수(荊芥穗) · 천궁(川芎) 각 80g, 강활(羌活) · 백지(白芷) · 자감초(炙甘草) 각 40g, 세신(細辛) 20g, 방풍(防風) 30g. [《의림촬요(醫林撮要)》] 풍(風)으로 어지럽고 머리가 아프며 찬바람을 맞으면 더 심해지는 데, 오싹오싹 춥고 열이 나며 코가 메고 목소리가 맑지 못한 데, 온 몸의 관절이 쑤시고 아픈 데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한 번에 8g씩 차 달인 물에 타서 식후에 먹는다.
▣천궁육계탕(川芎肉桂湯)
강활(羌活) 6g, 육계(肉桂) · 천궁(川芎) · 시호(柴胡) · 당귀미(當歸尾) · 창출(蒼朮) · 자감초(炙甘草) 각 4g, 신국(神麴) · 독활(獨活) 각 2g, 방기(防己: 술에 법제한 것) · 방풍(防風) 각 1.2g, 도인(桃仁) 5알. [《동의보감(東醫寶鑑)》] 어혈로 허리가 저리고 아픈 데와 습한 곳에서 자고 난 뒤에 허리가 아프면서 양 옆구리가 당기는 데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술에 달여 빈속에 먹는다.
▣천궁복령탕(川芎茯苓湯)
적복령(赤茯苓) · 상백피(桑白皮) 각 6g, 천궁(川芎) · 방풍(防風) · 마황(麻黃) · 적작약(赤芍藥) · 당귀(當歸) 각 4g, 계피(桂皮) · 감초(甘草) 각 2g, 대조(大棗) 2개. [《동의보감(東醫寶鑑)》] 착비(着痹)로 팔다리가 저리고 당기며 피부의 감각이 둔해지고 붓는 데 쓴다. 류머티스성 관절염 등 때 쓸 수 있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가미사물탕(加味四物湯)
① 숙지황(熟地黃) 8g, 당귀(當歸) · 맥문동(麥門冬) · 황백(黃柏) · 창출(蒼朮) 각 4g, 백작약(白芍藥) · 천궁(川芎) · 두중(杜仲) 각 2.8g, 인삼(人參) · 황련(黃連) 각 2g, 지모(知母) · 우슬(牛膝) 각 1.2g, 오미자(五味子) 9알. [《동의보감(東醫寶鑑)》] 습열사(濕熱邪)로 다리가 여위고 힘이 없는데 쓴다. 관절통, 류머티스성 관절염 등 때 쓸 수 있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 가사물탕(加四物湯)이라고도 한다.
② 길경(桔梗) · 감초(甘草) 각 6g, 숙지황(熟地黃) · 백작약(白芍藥) 각 2.8g, 당귀(當歸) · 천궁(川芎) · 황백(黃柏: 벌꿀에 담갔다가 덖은 것) · 지모(知母) · 천화분(天花粉) 각 2g. [《동의보감(東醫寶鑑)》] 허화(虛火)로 목이 붓고 헐어 아파서 음식을 먹지 못하고 말소리가 낮거나 목이 쉰 데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찌끼를 빼내고 죽력(竹瀝) 10㎖를 타서 먹는다.
③ 당귀(當歸) · 천궁(川芎) · 건지황(乾地黃: 술에 담갔다가 덖은 것) · 황백(黃柏: 술에 담갔다가 덖은 것) · 지모(知母: 술에 담갔다가 덖은 것) · 만형자(蔓荊子) · 치자(梔子: 덖은 것) 각 2.8g. [《동의보감(東醫寶鑑)》] 건지황 대신 생지황(生地黃)을 넣은 가미사물탕도 있다. 혈허(血虛)로 머리가 아픈 데, 특히 옆머리가 심하게 아픈 데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④ 당귀(當歸) · 천궁(川芎) · 백작약(白芍藥) · 생지황(生地黃) · 숙지황(熟地黃) · 황기(黃耆) · 인삼(人參) · 백출(白朮) · 진피 (陳皮) · 백복령(白茯苓) · 형개수(荊芥穗) · 감초(甘草) 각 2.8g, 대조(大棗) 2개, 오매(烏梅) 1개. [《동의보감(東醫寶鑑)》] 혈허(血虛)로 현기증이 나서 정신을 잃고 쓰러진 데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⑤ 숙지황(熟地黃) · 백작약(白芍藥) · 천궁(川芎) · 당귀(當歸) 각 16g, 인삼(人參) · 오수유(吳茱萸) 각 4g, 생강(生薑) 3쪽, 대조(大棗) 2개. [《동의보감(東醫寶鑑)》] 월경이 오랫동안 없다가 갑자기 아래로 많은 양의 피를 쏟거나 적은 양의 피가 오래 끌면서 나오고 배가 몹시 아프며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데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가감사물탕(加減四物湯)
① 천궁(川芎) · 황련(黃連: 덖은 것) 각 3.2g, 인삼(人參) · 백복령(白茯苓) · 당귀(當歸) · 생지황(生地黃: 술에 씻은 것) · 백작약(白芍藥: 싸서 구운 것) · 맥문동(麥門冬) · 지모(知母: 덖은 것) 각 4g, 갈근(葛根) · 지골피(地骨皮) 각 2.8g, 오매육(烏梅肉) · 박하(薄荷) · 연자(蓮子) · 황백(黃柏: 벌꿀에 담갔다가 덖은 것) · 감초(甘草) 각 2g, 갈근(葛根)가루 2.4g, 죽엽(竹葉) 3잎. [《의림촬요(醫林撮要)》] 소갈증(消渴症)에 두루 쓴다. 중간 정도 및 중증 당뇨병 때 쓸 수 있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② 측백엽(側柏葉) · 생지황(生地黃) · 당귀(當歸) · 천궁(川芎) 각 3.2g, 지각(枳殼) · 형개수(荊芥穗) · 괴화(槐花: 덖은 것) · 자감초(炙甘草) 각 1.6g, 지유(地楡) · 황금(黃芩) · 방풍(防風) 각 2.4g, 오매(烏梅: 큰 것) 1알, 생강(生薑) 3쪽. [《의림촬요(醫林撮要)》] 장풍(腸風)으로 대변을 볼 때 피가 나오는 데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식전에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③ 생지황(生地黃) · 고삼(苦參) · 박하(薄荷) · 우방자(牛蒡子) · 연교(連翹) · 천궁(川芎) · 천화분(天花粉) · 방풍(防風) · 적작약(赤芍藥) · 당귀(當歸) · 형개수(荊芥穗) 각 같은 양. [기타] 산후풍열(産後風熱)로 인해 생기는 목통(目痛) 및 침안(鍼眼), 안옹(眼癰), 검현적란(瞼弦赤爛), 풍적창이(風赤瘡痍), 안선(眼癬) 등에 쓴다. 위의 약을 물에 달여서 식후에 먹는다.
④ 보음사화탕(補陰瀉火湯)의 딴 이름.
▣궁궁산(芎藭散)
① 천궁(川芎) 4g, 당귀(當歸) 3g, 강활(羌活) · 선복화(旋覆花) · 만형자(蔓荊子) · 세신(細辛) · 석고(石膏) · 고본(藁本) · 형개수(荊芥穗) · 반하국(半夏麴) · 숙지황(熟地黃) · 방풍(防風) · 감초(甘草) 각 2g, 생강(生薑) 3쪽. [《동의보감(東醫寶鑑)》] 풍한사(風寒邪)로 머리가 아프거나 간혈부족(肝血不足)으로 어지러운 데 쓴다. 감기, 신경쇠약, 고혈압증 등 때 쓸 수 있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② 천궁(川芎) · 빈랑(檳榔) · 마황(麻黃) · 육계(肉桂) · 방기(防己) · 목통(木通) · 세신(細辛) · 백지(白芷) · 석창포(石菖蒲) 각 2.8g, 목향(木香) · 화초(花椒) · 감초(甘草) 각 1.4g, 생강(生薑) 3쪽, 자소엽(紫蘇葉) 5잎. [《동의보감(東醫寶鑑)》] 풍한사로 코가 몹시 메고 아픈 데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③ 천궁(川芎) 20g, 시호(柴胡) 28g, 강활(羌活) · 방풍(防風) · 고본(藁本) · 감초(甘草) · 승마 (升麻) 각 40g, 자감초(炙甘草) · 생지황(生地黃) 각 60g, 황련(黃連) · 황금(黃芩) 각 80g. [《동의처방집(東醫處方集)》] 풍열사(風熱邪)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우며 열이 나고 속이 답답하며 목이 마르고 소변의 빛깔이 누런 데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한 번에 8g씩 하루 3번 더운물에 타서 식후에 먹는다.
④ 감국(甘菊) · 석고(石膏) · 천궁(川芎) · 백강잠(白殭蠶) 각 24g. [《동의처방집(東醫處方集)》] 풍한사(風寒邪)로 한쪽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운 데 쓴다. 감기, 신경통, 고혈압증 등 때 쓸 수 있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한 번에 12g씩 하루 2~3번 물에 타서 식후에 먹는다. 천궁산(川芎散)이라고도 한다.
⑤ 산수유(山茱萸) 40g, 산약(山藥) · 감국(甘菊) · 인삼(人參) · 천궁(川芎) · 복신(茯神) 각 20g. [《동의처방집(東醫處方集)》] 풍사(風邪)로 머리가 아프고 어지러운 데 쓴다. 신경쇠약, 고혈압증, 동맥경화증 때 쓸 수 있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한 번에 8g씩 하루 3번 식후에 먹는다.
▣천궁산(川芎散)
① 산수유육(山茱萸肉) 40g, 산약(山藥) · 감국(甘菊) · 인삼(人參) · 천궁(川芎) · 복신(茯神) 각 20g. [《동의보감(東醫寶鑑)》] 풍증(風證)으로 어지러운 데 쓴다. 신경쇠약, 고혈압, 동맥경화증 등 때 현기증이 나는 데 쓸 수 있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한 번에 8g씩 술에 타서 먹는다.
② 감국(甘菊) · 석고(石膏) · 천궁(川芎) · 백강잠(白殭蠶) 각 24g. [《동의보감(東醫寶鑑)》] 풍담(風痰)으로 한쪽 머리가 아픈 데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한 번에 12g씩 차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③ 천궁(川芎) · 백복령(白茯苓) · 백출(白朮) 각 40g, 세신(細辛) · 계지(桂枝) 각 30g, 감초(甘草) 20g. [《의림촬요(醫林撮要)》] 기가 치밀어 현기증이 있으면서 바람을 싫어하며 식은땀이 나고 몸이 거북하고 불편한 데 쓴다. 위의 약을 거칠게 가루 내어 한 번에 16g씩 생강(生薑) 3쪽과 함께 물에 달여서 아무 때나 먹는다.
④ 천궁(川芎) · 당귀(當歸) 각 4g, 인삼 · 오수유(吳茱萸) · 후박(厚朴) 각 2g, 백복령(白茯苓) · 길경(桔梗) 각 1.6g, 적작약(赤芍藥) 3g, 지각(枳殼) · 감초(甘草) 각 1.2g. [《의림촬요(醫林撮要)》] 부인이 냉기가 치밀어 가슴이 찌르는 듯이 아픈 데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승마산(升麻散)
①승마(升麻) · 현삼(玄參) · 천궁(川芎) · 생지황(生地黃) · 맥문동(麥門冬) 각 4g, 대황(大黃) · 황련(黃連) · 황금(黃芩) · 감초(甘草) 각 2g, 생강(生薑) 3쪽, 대조(大棗) 2개. [《동의보감(東醫寶鑑)》] 심(心)과 비(脾)에 열사(熱邪)가 있어 가슴이 답답하고 번열감(煩熱感)이 나며 입 안이 헐고 목이 부으면서 아프며 대변이 굳은 데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②승마(升麻) · 형개(荊芥) · 천궁(川芎) · 세신(細辛) · 방풍(防風) 각 20g, 노봉방(露蜂房) · 화초(花椒: 씨를 버리고 덖은 것) 각 4g. [《의림촬요(醫林撮要)》] 바람으로 이가 쑤시는 데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한 번에 12g씩 물에 달여 찌끼는 짜 버리고 따뜻하게 해서 입가심하고 식으면 뱉는다.
▣강활유풍탕(羌活愈風湯)
① 창출(蒼朮) · 석고(石膏) · 생지황(生地黃) 각 2.4g, 강활(羌活) · 방풍(防風) · 당귀(當歸) · 만형자(蔓荊子) · 천궁(川芎) · 세신(細辛) · 황기(黃耆) · 지각(枳殼) · 인삼(人參) · 마황(麻黃) · 백지(白芷) · 감국(甘菊) · 박하(薄 荷) · 구기자(枸杞子) · 시호(柴胡) · 지모(知母) · 지골피 (地骨皮) · 독활(獨活) · 두중(杜仲) · 진교(秦艽) · 황금 (黃芩) · 백작약(白芍藥) · 감초(甘草) 각 1.6g, 육계(肉桂) 0.8g, 생강(生薑) 3쪽.
[《동의보감(東醫寶鑑)》] 손발가락이 뻣뻣하고 감각이 둔해지며 팔다리에 힘이 없고 가슴이 답답하며 가래가 끓고 맥박 상태가 부활(浮滑)하며 힘이 없는 등 중풍 전구 증상(前驅症狀)이 있는데, 중풍을 앓은 뒤 간음(肝陰)과 신음(腎陰)이 부족하며 근골이 약하고 정신이 맑지 못하며 몸 절반을 잘 쓰지 못하는 데, 자주 놀라면서 잘 잊어버리고 지나친 생각을 많이 하는 데 쓴다. 뇌졸중의 전구(前驅) 증상에 있을 때 예방 목적으로 쓸 수 있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유풍탕(愈風湯)이라고도 한다.
② 강활(羌活) · 자감초(炙甘草) · 방풍(防風: 노두를 없앤 것) · 황기(黃耆) · 인삼(人參) · 만형자(蔓荊子) · 천궁(川芎) · 세신(細辛) · 지각(枳殼) · 지골피(地骨皮) · 마황(麻黃: 뿌리를 없앤 것) · 지모(知母) · 독활(獨活) · 백지(白芷) · 두중(杜仲: 섬유질이 없어지도록 덖은 것) · 진교(秦艽) · 시호(柴胡) · 반하(半夏) · 후박(厚朴) · 방기(防己) · 숙지황(熟地黃) · 전호(前胡) 각 80g, 백작약(白芍藥) · 황금(黃芩) · 백복령(白茯苓) 각 120g, 석고(石膏) · 생지황(生地黃) · 창출(蒼朮) 각 160g, 육계(肉桂) 40g.
[《의림촬요(醫林撮要)》] 간신(肝腎)이 허해서 근육과 뼈가 약해지고 말하기 힘들어 하며 정신이 혼미해지는 데, 풍습열사(風濕熱邪)로 몸이 무겁거나 여위면서 몸의 절반을 쓰지 못하는 데 쓴다. 위의 약을 한 번에 40g씩 생강 3쪽과 함께 물에 달여서 따뜻하게 하여 먹는다.
▣선화산(蟬花散)
① 용담(龍膽) · 감국(甘菊) · 밀몽화(密蒙花) · 만형자(蔓荊子) · 형개수(荊芥穗) · 천궁(川芎) · 선태(蟬蛻) · 청상자(靑葙子) · 결명자(決明子) · 치자(梔子) · 방풍(防風) · 목적(木賊) · 자질려(刺蒺藜) · 감초(甘草) 각 같은 양. [《동의보감(東醫寶鑑)》] 간경(肝經)에 열독(熱毒)이 엉기어 있는 것이 눈으로 치밀어 눈이 벌겋게 붓고 눈물이 많이 흐르며 예막(翳膜)이 생긴 데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한 번에 8g씩 물 혹은 형개(荊芥)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② 위의 처방 조성에서 용담(龍膽) · 청상자(靑葙子)를 빼고 강활(羌活) · 곡정초(穀精草) · 창출(蒼朮)을 더 넣은 것이다. [《동의보감(東醫寶鑑)》] 풍열사(風熱邪)로 눈이 뿌옇고 깔깔하며 잘 보이지 않고 부으면서 아프고 점차 예막(翳膜)이 생기는 데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한 번에 8g씩 물에 타서 먹는다.
③ ①에서 용담(龍膽) · 청상자(靑葙子)를 빼고 강활(羌活) · 곡정초(穀精草) · 황금(黃芩)을 더 넣은 것이다. [《의림촬요(醫林撮要)》] 풍열사(風熱邪)로 눈이 벌겋게 붓고 아프며 눈이 시고 눈물이 많이 나오면서 잘 보이지 않거나 예막(翳膜)이 생긴 데, 일체 풍열사로 눈이 어두워지는 데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한 번에 8g씩 차 달인 물이나 형개(荊芥)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④ 자질려(刺蒺藜) · 결명자(決明子) · 밀몽화(密蒙花) · 청상자(靑葙子: 덖은 것) · 천궁(川芎) · 목적(木賊) · 치자(梔子) · 형개수(荊芥穗) · 방풍(防風) · 선태(蟬蛻) · 만형자(蔓荊子: 덖은 것) · 감초(甘草) 각 같은 양. [《급유방(及幼方)》] 어린아이가 풍열사(風熱邪)로 눈이 깔깔하고 아프면서 점차 예막(翳膜)이 생기는 데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한 번에 4~8g씩 차 달인 물에 타서 먹인다.
▣궁귀탕(芎歸湯)
요약 산전과 산후의 여러 질환 및 혈훈(血暈)·인사불성·횡산(橫産)·역산(逆産)·사태불하(死胎不下)·혈붕부지(血崩不止) 등을 다스리는 한의학상의 처방.
임산부의 생체기능을 좋게 하고 출산할 때 골반이나 자궁을 확장시켜 통증을 덜어주고 월경을 조절하며 원활한 혈액순환을 돕고 혈허를 보충하는 작용을 한다. 산후 어혈을 제거하고 젖의 분비를 늘리는 작용도 한다. 또한 굳은 피를 씻어 내리고 신선한 피가 몸 안에서 생성되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며 산후 배앓이에 좋다. 예부터 출산 때 힘을 내도록 하기 위해 궁귀탕을 복용했다고 한다.
처방법은 물 500ℓ에 천궁(川芎)과 당귀(當歸)를 각각 20g씩 넣고 물이 반으로 줄 때까지 끓인 다음 하루 2~3차례 공복에 복용한다. 차처럼 마셔도 좋다. 아니면 물 300ℓ에 천궁과 당귀를 각 10g 정도씩 넣고 끓여서 수시로 마셔도 좋다. 적응증은 진통촉진·최산(催産) 등이다. 산후질환에 매우 유효한 약재로 알려져서 수천 년 동안 한방 임상에서 널리 쓰였고 지금도 애용되고 있다. 이 처방은 오래 복용해도 부작용이 없어 산모에게 유익한 처방으로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천궁은 두통·진통·진정·보혈강장에 좋고, 특히 머리를 맑게 하여 어혈을 풀어준다고 한다. 임신 후 빈혈이나 혈액성분이 될 영양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보혈제의 역할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당귀는 피를 보호하고 맑고 깨끗하게 하여 보혈·빈혈 등에 효과가 있어 혈행장애에 의한 부인과질환, 보혈강장에 효과가 있다고 한다.
천궁과 당귀는 이들 중 어느 한 가지를 투여했을 때보다 함께 사용할 때 혈액순환작용이 더 왕성해지고 조혈작용도 활발하여 이들이 상호협조체계를 이루는 상승효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궁귀탕은 천궁의 '궁'자와 당귀의 '귀'자를 모아서 붙여진 처방명이라고 한다.
궁귀탕은 혈압을 낮추고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두통·어지럼증·고혈압·협심증·근육마비·류머티즘·중풍 후유증·신경통·수족냉증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티눈이나 사마귀가 생겼을 때 궁귀탕 2~3g을 환부에 붙여두면 없어진다. 치질도 마찬가지로 치료할 수도 있다. 또 구취증상이 있을 때는 천궁을 잘게 썰어 입에 물고 있으면 냄새를 줄일 수 있다.
▣영류고(癭瘤膏)
① 황기(黃耆) 10g, 향부자(香附子) · 오약(烏藥) · 천궁(川芎) · 시호(柴胡) 각 6g, 당귀(當歸) 8g, 지모(知母), 백출(白朮) · 백작약(白芍藥) · 반하(半夏) 각 4g, 홍화(紅花) 2g. [《동의처방집(東醫處方集)》] 영류(癭瘤)에 쓴다. 갑상선종, 갑상선 기능 항진증 때 쓸 수 있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하루 2첩을 쓰는데 1첩씩 물에 달여 먹고 2첩의 약찌끼를 합쳐 다시 달여 한 번 먹는다.
②황기(黃耆) 250g, 당귀(當歸) · 천궁(川芎) 각 200g, 지모(知母) · 시호(柴胡) · 향부자(香附子) 각 150g, 반하(半夏) · 백출(白朮) · 백작약(白芍藥) · 곽향(藿香) 각 100g, 홍화(紅花) 50g, 물엿 600g. [《국규(國規)》] 단순성 갑상선종에 쓴다. 위의 약을 모두 합하여 물 7~8배를 넣고 90~100℃에서 5시간 우려내고 다시 물 6배를 넣어 3시간, 물 4배를 넣어 2시간 우려내어 엑스를 만든다. 이 혼합 엑스에 물엿을 넣어 고제(膏劑)를 만든다. 한 번에 25g씩 하루 3번 더운물에 타서 먹는다.
▣양혈음(涼血飮)
①인삼(人參) · 황기(黃耆) · 황련(黃連) · 생지황(生地黃) · 당귀(當歸) · 천궁(川芎) · 괴각(槐角) · 황금(黃芩) · 지각(枳殼) · 승마(升麻) 각 4g. [《동의보감(東醫寶鑑)》] 풍(風) · 열(熱) · 조(燥)의 사기(邪氣)가 대장에 몰려 생긴 치루 때 항문 주위에 누공(瘻孔)이 생겨 아물지 않고 피고름이나 진물이 나오는 데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빈속에 먹는다. 또는, 위의 약을 가루 내어 환제를 만들어 먹는다.
②적작약(赤芍藥) · 황금(黃芩) · 천궁(川芎) · 형개(荊芥) · 생지황(生地黃) · 맥문동(麥門冬) · 천화분(天花粉) · 감초(甘草) 각 4g, 등심초(燈心草) 1g, 죽엽(竹葉) 10잎. [《동의보감(東醫寶鑑)》] 혈열(血熱)로 헌데가 자주 생기는 데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팔진산(八珍散)
①인삼(人參) · 생지황(生地黃) · 석창포(石菖蒲) · 천궁(川芎) 각 8g, 세신(細辛) · 방풍(防風) · 주사(朱砂) · 감초(甘草) 각 4g. [《동의보감(東醫寶鑑)》] 산후에 어혈이 심규(心竅)를 장애하여 혀가 뻣뻣해져서 말을 잘하지 못하는 데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한 번에 4g씩 박하(薄荷) 달인 물에 타서 먹는다.
②당귀(當歸) · 천궁(川芎) · 숙지황(熟地黃) · 백작약(白芍藥) · 인삼(人參) · 백출(白朮) · 백복령(白茯苓: 껍질을 벗긴 것) · 자감초(炙甘草) 각 40g. [기타] 월경 장애로 배꼽노리가 아프고 입맛이 없으며 때로 설사를 하는 데, 아랫배가 뜬뜬하고 아프며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등 증상이 있는데 쓴다. 위의 약을 거칠게 가루 내어 한 번에 12g씩 생강(生薑) 5쪽, 대조(大棗) 1알과 함께 물에 달여서 먹는다.
▣칠진산(七珍散)
①생지황(生地黃) · 천궁(川芎) · 인삼(人參) · 석창포(石菖蒲) 각 8g, 방풍(防風) · 주사(朱砂) · 세신(細辛) 각 4g. [《동의보감(東醫寶鑑)》] 산후에 정신이 흐리멍덩하고 말을 잘하지 못하는 데 쓴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한 번에 4g씩 박하 달인 물에 타서 자주 먹는다.
②천궁(川芎) · 인삼(人參) · 석창포(石菖蒲) · 건지황(乾地黃) 각 40g, 세신(細辛) 4g, 방풍(防風) · 주사[朱砂: 수비(水飛)한 것] 각 20g. [《의림촬요(醫林撮要)》] 적응증은 ③과 같다. 위의 약을 가루 내어 한 번에 4g씩 박하(薄荷) 달인 물에 타서 아무 때나 먹는다.
▣인삼궁귀탕(人參芎歸湯)
① 당귀(當歸) · 천궁(川芎) · 백작약(白芍藥) 각 6g, 적복령(赤茯苓) · 인삼(人參) · 반하(半夏) · 진피(陳皮) · 아교주(阿膠珠) · 세신(細辛) · 오미자(五味子) · 감초(甘草) 각 2.8g, 생강(生薑) 3쪽, 대조(大棗) 2개. [《동의보감(東醫寶鑑)》] 허로(虛勞)로 오후마다 열이 나면서 기침을 하고 가래에 피가 섞이거나 피고름이 섞여 나오며 감기에 자주 걸리는 데 쓴다. 만성 기관지염, 기관지 확장증, 폐결핵 등 때 쓸 수도 있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② 천궁(川芎) 8g, 당귀(當歸) · 반하(半夏) 각 6g, 봉아출(蓬莪朮) · 목향(木香) · 사인(砂仁) · 오약(烏藥) · 감초(甘草) 각 4g, 인삼(人參) · 계피(桂皮) · 오령지(五靈脂) 각 2g, 생강(生薑) 5쪽, 대조(大棗) 2개, 자소엽(紫蘇葉) 4잎. [《동의보감(東醫寶鑑)》] 혈창(血脹)으로 배가 불러오르고 단단하며 가슴이 답답하고 옆구리가 몹시 아픈 데 쓴다. 위의 약을 l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시호궁귀탕(柴胡芎歸湯)
① 시호(柴胡) · 천궁(川芎) · 백작약(白芍藥) · 청피(靑皮) · 지각(枳殼) 각 6g, 향부자(香附子) · 당귀(當歸) · 용담(龍膽) · 목향(木香) · 사인(砂仁) · 감초(甘草) 각 2g, 생강(生薑) 2쪽. [《의림촬요(醫林撮要)》] 간화(肝火)로 옆구리가 그득하면서 아프고 가슴이 답답하며 입이 쓰고 식욕이 부진하며 얼굴이 불그스레하고 성격이 조급해지는 데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② 시호(柴胡) · 갈근(葛根) · 천궁(川芎) 각 4g, 길경(桔梗) · 당귀(當歸) · 적작약(赤芍藥) · 인삼(人參) · 후박(厚朴) · 백출(白朮) · 백복령(白茯苓) · 진피(陳皮) 각 2.8g, 홍화(紅花) · 감초(甘草) 각 1.2g, 생강(生薑) 3쪽, 대조(大棗) 2개, 오매(烏梅) 1개. [《동의보감(東醫寶鑑)》] 밤이면 갑자기 오싹오싹 춥다가 열이 나는 데 쓴다. 학질에도 쓴다. 위의 약을 1첩으로 하여 물에 달여서 먹는다.
▣천궁으로 질병을 치료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뿌리줄기>
1, 각종 풍(風)이 상공(上攻)하고 머리나 눈이 어지럽고 무거우며 두통 및 편두통이 있고 코가 막혀 소리가 이상한 증상, 상한장열(傷寒壯熱), 지체의 번통(煩痛), 근육의 연동(蠕動), 격열담성(膈熱痰盛), 부인 혈풍공주(血風攻疰), 관자놀이가 아픈 증상 및 풍감기(風感氣)의 치료
불에 닿지 않은 박하(薄荷)의 잎 8냥, 천궁(川芎), 자루를 없앤 형개(荊芥)를 각 4냥, 볶은 향부자(香附子) 8냥(다른 책에 따르면 노두:蘆頭를 제거한 세신:細辛 1냥), 노두를 없앤 방풍(防風) 1냥 반, 백지(白芷), 강활(羌活), 람(爁) 즉 센불로 구운 감초(甘草) 각 2냥을 곱게 가루내어 1회에 1돈을 식후에 차로 복용한다. 상용하면 머리나 눈이 상쾌해진다. [국방(局方), 천궁차조산(川芎茶調散)]
2, 편두통
경궁(京芎)을 잘게 썰어서 술에 담가 복용한다. [두문방(斗門方)]
3, 수풍선훈(首風旋暈), 현급(眩急), 외합양기(外合陽氣), 풍한상박(風寒相搏), 위격담음(胃膈痰飮), 편두통 및 두통, 신구권(身拘倦)의 치료
천궁(川芎) 1근, 천마(天麻) 4냥을 가루내서 정제한 벌꿀로 개어 1냥으로 10알을 만든다. 1회 1알을 식후에 잘 씹어서 차나 술로 마신다. [선명론방(宣明論方), 천궁환(川芎丸)]
4, 풍열(風熱)로 인한 두통
천궁궁(川芎窮) 1돈, 다엽(茶葉) 2돈을 물 1공기로 5할이 되게 달여서 더운 것을 식전에 복용한다. [간편단방(簡便單方)]
5, 임신시 복통
궁궁(芎窮) 2냥, 아교(阿膠) 2냥, 감초(甘草) 2냥, 애엽(艾葉) 3냥, 당귀(當歸) 3냥, 작약(芍藥) 4냥, 건지황(乾地黃) 6냥의 7가지를 물 5되, 청주(淸酒) 3되를 넣고 3되가 되게 달여 찌꺼기를 버리고 교(膠)는 완전히 녹여 버린다. 1되를 따뜻하게 하여 1일 3회 복용한다. 증상이 호전되지 않으면 다시 한다. [금궤요략(金匱要略), 교애탕(膠艾湯)]
6, 임신 5~7개월의 부인이 충돌로 인해 태반이 움직이거나 태아가 배안에서 사망해서 오로가 내리고 동통이 멎지 않으며 몹시 고통스러운 경우
이 약을 써서 만약 태반이 손상되지 않았다면 통증은 멎고 모자가 모두 무사하게 되지만 손상되었을 때에는 태반이 내려 온다. 씻어서 노(蘆)를 제거하고 얇게 베어 쬐어서 말린 당귀(當歸) 6냥, 씻은 천궁(川芎) 4냥을 거칠 게 가루내어 1회에 2돈을 물 한 컵으로 달여 수분이 거의 없어졌을 때에 술 큰 한 컵을 넣어 끓으면 멎게 한다. 찌꺼기를 버리고 따뜻하게 하여 복용한다. 입을 열 수 없을 때에는 흘려 넣는다. 1시간쯤 지나도 회복하지 못하면 2~3회 복용하면 좋다. [본사방(本事方), 불수산(佛手散)]
7, 산후 혈훈(血暈)
당귀(當歸) 1냥, 천궁(川芎) 5돈, 형개수(荊芥穗)를 검게 될 때까지 볶은 것 2돈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기편류편(奇片類編)]
8, 산후 심복통(心腹痛)
씻어서 썰은 천궁(川芎), 생것으로 썰은 계심(桂心), 썰어서 회건(懷乾)한 목향(木香), 노두(蘆頭)나 수염을 제거하고 씻어서 썰어 쬐인 당귀(當歸), 피(皮), 첨두(尖頭), 쌍인(雙仁)을 제거하고 누렇게 될 때까지 볶은 도인(桃仁) 즉 복숭아씨 각 1냥을 곱게 가루내어 1회에 1돈을 더운 술로 마신다. 만약 술을 마실 수 없으면 물 한 컵에다 분말 2돈을 넣고 7할이 될 때까지 달여서 더울 때에 복용한다. [위생가보방(衛生家寶方), 천궁산(川芎散)]
9, 새로 생긴 괴통(塊痛)
당귀(當歸) 8돈, 천궁(川芎) 3돈, 피(皮)와 첨두(尖頭)를 제거하고 가루낸 도인(桃仁) 14알, 흑강(黑薑) 5푼, 자감초(炙甘草) 5푼을 황주(黃酒)와 동변(童便) 즉 사내아이 소변을 반씩 사용하여 달여서 복용한다. [전청주남녀과(傳靑主男女科), 생화탕(生化湯)]
10, 소아가 뇌열로 눈을 못 뜨고 태양통(太陽痛)이 있거나 눈이 벌겋게 부은 증상
천궁궁(川芎窮), 박하(薄荷), 박초(朴硝) 각 2돈을 가루내어 소량을 코안에 불어 넣는다. [전유심감(全幼心鑑)]
11, 협심증(임상보고)
천궁(川芎), 홍화(紅花) 같은 양을 정제로 만든다(12알에 천궁, 홍화의 생약이 각각 5돈씩 함유되도록 한다). 1회에 4알을 1일 3회 복용한다. 4~6주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한다. 84례를 치료한 결과(그 중 10례는 치료 중 계속해서 1회에 20mg의 타이센정을 1일 3회 추가 투여했다. 또 2례는 복용 후 2주일째부터 유몰정(乳沒錠)을 추가 사용했다) 현효가 9례, 유효가 57례, 무효가 17례, 악화가 1례였다.
관찰할 때에 병증상의 경증과 치료 효과와는 뚜렷한 관련이 없었다. 또 타이센과 유몰정을 부가해 사용한 것에 치료 효과의 상승은 보이지 않았다. 복용 후, 혈중 지질에 대한 영향은 없었다. 이전에 니트로글리세린을 복용하고 있던 60례의 환자 중에서 치료 중에 니트로글리세린의 복용을 정지한 것이 20례, 용량을 감소시킨 것이 15례였다. 일부 병례의 심전도에 호전이 보였다. [중약대사전]
11.各種 文獻 參考
[천궁(川芎) //궁궁이, 호궁(胡藭), 향과(香果), 작뇌궁(雀腦芎)// [본초]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궁궁이(Ligusticum officinale Kitag)나 산궁궁이[Ligusticum jeholense Nakai=요고본[遼槁本: 동북약용식물지(東北藥用植物志)]의 뿌리 줄기를 말린 것이다. 궁궁이는 각지에서 심고 산궁궁이(산천궁, 토천궁)는 우리 나라 중부 이북의 깊은 산골짜기에서 자라거나 각지에서 심는다. 늦가을에 서리가 내린 다음 뿌리를 캐서 줄기를 버리고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심포경, 간경, 담경, 삼초경에 작용한다. 혈(血)을 잘 돌게 하고 월경(月經)을 고르게 하며 풍(風)을 없애고 통증을 멈춘다.
약리실험에서 진정작용, 강압작용, 자궁수축작용, 억균작용 등이 밝혀졌다. 정유 성분은 중추신경계통에 대하여 소량에서는 흥분적으로, 다량에서는 억제적으로 작용한다. 풍한두통(風寒頭痛), 무월경, 월경부조, 월경통, 산후복통, 협통, 힘줄이 땅기는 데, 고혈압병, 옹종 등에 쓴다. 하루 6~12그램을 탕약, 산제, 환약 형태로 먹는다. 음허(陰虛)로 인한 두통, 월경과다, 임신부에게는 쓰지 않는다.]
▣천궁의 효능에 대해서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록> 제 7권 115면 3252호에서는 천궁을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천궁(川芎)
기원: 산형과(傘形科: Umbelliferae)식물인 천궁(川芎: Ligusticum chuanxiong Hort.)의 근경이다.
형태: 다년생 초본으로 높이가 20∼40cm 이다. 근경은 단괴(團塊)형태이며, 줄기는 원주형(圓柱形)이고 가운데가 비어 있으며 세로로 골무늬가 있다. 2∼3회 우상복엽(羽狀複葉)은 어긋나며, 소엽(小葉)은 3∼5쌍이 우상분렬(羽狀分裂)하고 잎맥에는 짧은 털이 나있으며, 잎자루는 9∼15cm이고 기부(基部)는 줄기를 싸고 있다. 화서(花序)는 복산형화서(複傘形花序)로 정생(頂生)하며, 총포(總苞)와 소총포편(小總苞片)은 선형(線形)이고, 꽃은 작고 흰색이며 꽃받침잎은 5장이고 선형(線形)이며, 꽃잎은 5장이고 타원형이며 선단(先端)은 단첨두(短尖頭)이고, 수술은 5개인데 꽃잎 밖으로 곧게 뻗어나와 있고, 하위자방이며 암술대는 2개이다. 열매는 쌍현과(雙懸果)로 난형(卵形)이다.
분포: 중국의 사천(四川), 귀주(貴州), 운남(雲南)에서 재배된다.
채취 및 제법: 여름, 가을에 캐내어 경엽과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씻은 뒤에 햇볕에 말리거나 불로 굽는다.
성분: volatile oils, alkaloid, ferulic acid 등이 들어 있다.
성미: 맛은 맵고(辛) 따뜻(溫)하다.
효능: 활혈행기(活血行氣), 거풍지통(祛風止痛)한다.
응용: 월경부조(月經不調), 경폐(經閉), 통경(通經), 복통(腹痛), 흉협자통(胸脇刺痛), 질타종통(跌打腫痛), 두통(頭痛), 풍습비통(風濕痺痛)을 낫게한다. 사용량은 하루 3~9그램이다.
참고문헌: <약전(藥典)> 26면, <중약대사전> 상권 0452면]
▣천궁의 효능에 대해서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천궁(川芎)
산형과의 여러해살이풀 천궁(Lingustieum chuangxiong Hort), 일천궁(Cnidium offcinale Makino)의 뿌리줄기이다.
성미: 맛은 맵고 성질은 따뜻하다.
효능: 활혈행기(活血行氣), 지통(止痛)
해설: ① 혈액순환을 활발하게 하고 기운의 순행을 도와서 통증을 제거하는 약물이다. 전신의 기체혈어(氣滯血瘀)로 인한 협통과 복통에 유효하며, ② 여자의 생리통에 향부자(香附子) 등과 배합해서 치료한다. ③ 관상 동맥 질환으로 인한 흉부동통에 유효하다. ④ 풍한(風寒)으로 인한 감기에 쓰이고, ⑤ 맹장염으로 인한 심한 복통을 완화시키고, ⑥ 타박상으로 어혈(瘀血)이 정체된 것을 풀어 주는 동시에 통증을 제거한다. ⑦ 두통에 지통 효과가 높다. ⑧ 산전산후에 널리 활용된다.
성분: 휘발성 정유와 alkaloid 성분으로 dl-tetrahydropalmatine, protop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① 진통, 진정 작용이 있다. ② 토끼의 관상 동맥 혈류량을 증가시키고, ③ 흰쥐의 혈지(血脂)를 내린다. ④ 항궤양작용, ⑤ 혈압 강하 작용, ⑥ 항균 작용이 나타난다.
임상보고: ① 심장 박동 이상에 유효성을 나타냈고, ② 국부의 마취 작용을 보였다. ③ 관상 동맥 질환에 80% 알코올 추출액을 약침 제제로 사용하자 심교통증이 완화되고 심전도상에서 개선 반응을 보였다.]
▣궁궁이의 효능에 대해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궁궁이[Ligusticum officinale Kitag.(Cnidium officinale Makino)]
다른 이름: 궁궁, 호궁, 항과, 천궁이
식물: 높이 30~60cm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2~3번 깃겹잎이다. 쪽잎은 달걀 모양 또는 버들잎 모양이다. 가을철에 흰색의 작은 꽃이 핀다. 중국 원산이며 10~16세기부터 우리나라 각지에서 심는다. 열매가 여물지 않으므로 뿌리 가름, 줄기 묻기, 가지꽂기법으로 심는다.
뿌리줄기(천궁): 가을철에 뿌리줄기를 캐어 뜨거운 물에 담갔다가 말린다.
성분: 뿌리줄기에 정유가 1~2% 있다. 정유에는 크니딜리드(크니디움락톤), 네오크니딜리드, 리구스틸리드, 천궁산(크니디움산) C12 H20 O3, 부틸프탈리드, 천궁산에스테르 C12 H9 O2-O-C10 H17, 세다논산 C12 H18 O3 등이 있다. 크니딜리드는 세다놀리드의 입체이성체이다. 또한 식물 전체에 쿠마린 성분과 만니톨이 있다.
작용: 정유의 주성분인 크니딜리드, 네오크니딜리드, 리구스틸리드 등은 궁궁이의 고유한 냄새 성분으로 점막충혈작용이 있다. 정유는 약한 국소자극작용과 적은 양에서 핏줄운동신경 중추와 호흡기를 흥분시키고 대뇌를 약하게 마비시켜 자발운동의 약화, 진정, 혈압상승, 호흡 및 반사운동의 흥분을 나타낸다. 그리고 많은 양에서 대뇌 및 뇌간부를 마비시키므로 혈압이 낮아지고 열이 내리며 숨가쁨, 운동마비, 허탈 등이 온다. 정유의 여러 성분들은 작용에서 큰 차이가 없지만 페놀성 유분은 자극성과 독성이 더 세다.
궁궁이의 물 추출액은 진정작용이 있으며 이 작용에서 뿌리는 전초보다 2~3배 세다. 진정작용은 정상동물에게서 뿐 아니라 중추신경 활동의 장애가 온 때에도 그것을 정상으로 회복시킨다. 또한 혈압을 내리며 말초핏줄에 대한 확장작용이 있다.
응용: 동의치료에서 온성정혈약, 보혈약, 강장약, 진정약으로 빈혈증, 냉증, 월경불수, 부인병에 쓰며 흔히 당귀와 같이 쓴다. 전초도 같은 효과가 있다고 한다. 특히 아픔멎이 효과가 세므로 머리아픔에는 반드시 궁궁이뿌리를 넣는다. 풍한두통에 형개, 차조기, 풍온두통에 국화와 같이 쓴다.
궁궁이뿌리줄기 달임약(5g:200cc):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궁귀애교탕: 궁궁이뿌리줄기, 감초뿌리, 약쑥잎 각각 3g, 당귀뿌리, 함박꽃뿌리 각각 4.5g, 마른 지황 뿌리 6g으로 200ml 되게 달이고 갖풀 3g을 넣는다. 임신중의 피나기, 장출혈, 피나기, 흰이슬에 하루 3번 나누어 뜨거울 때 먹는다.
궁귀과립: 궁궁이뿌리줄기 마른엑스, 당귀뿌리 마른엑스, 궁궁이뿌리줄기가루, 당귀뿌리가루 각각 250g, 보혈약으로 한번에 3g씩 하루 3번 먹는다.
궁귀환: 궁궁이뿌리줄기가루, 당귀뿌리가루 각각 300g, 꿀 400g, 안식향산나트륨 5g, 월경불순, 냉증, 자궁병, 산후쇠약, 신경
당귀작약고: 쇠약, 입맛 없을 때 보혈약으로 한번에 7g씩 하루 3번 먹는다.
당귀뿌리 8g, 함박꽃뿌리 12g, 감초뿌리 8g, 구기자, 무씨, 약방동사니(향부자)뿌리줄기, 목향뿌리 각각 4g, 잇꽃 2g, 물엿 6g, 만성 간염, 간경변증 때 한번에 15g씩 하루 3번 먹는다.]
▣문헌근거(본초강목)
주치증상
[本經(본경)] : 風邪(풍사)가 腦(뇌)로 들어가 두통이 생기는 것을 치료하고, 寒邪(한사)로 인하여 저리고 근육경련이 있는 경우를 풀어주며 金瘡(금창)과 女性(여성)이 어혈로 인하여 不姙(불임)이 되는 것을 치료한다.
[別錄(별록)] : 머리 부분의 냉기를 없애고 얼굴 부위에 風邪(풍사)가 침범한 것을 치료하며, 눈물 콧물이 많은 것을 치료한다. 갑자기 취한 것 같이 몽롱한 것을 치료하고 모든 寒氣(한기)로 인한 증상과 복통을 치료한다. 또한 독한 邪氣(사기)의 침범으로 인한 갑작스러운 腫痛(종통), 옆구리 통증을 속을 따뜻하게 함으로써 치료한다.
[甄權(견권)] : 허리와 다리가 무력한 것, 반신불수, 출산시 태반이 배출되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池大明(지대명)] : 모든 風邪(풍사)로 인한 병증, 氣病(기병), 과로로 인한 쇠약, 血病(혈병)을 다스린다. 五勞(오로)를 보충하고 근육과 골격을 튼튼하게 하고 모든 經脈(경맥)을 조화롭게 하고 癥瘕(징가)와 오래된 血(혈)을 없애고 새로운 血이 생성되는 것을 돕는다. 피를 토하는 것, 코피, 소변에 피가 나는 것, 머리와 등 부위에 종기가 난 것, 임파선염, 痔疾(치질), 각종 피부병을 치료한다. 살을 돋게 하고 고름을 배출시키며 瘀血(어혈)을 제거한다.
[王好古(왕호고)] : 肝氣(간기)를 조화롭게 하고 肝血(간혈)을 보충하여 肝(간)의 陰(음)이 부족한 것을 보충하고 血虛(혈허)로 인한 風症(풍증)을 치료한다.
[李時珍] : 체내에 濕(습)이 쌓인 것을 없애고 설사와 이질을 그치게 하며 氣(기)를 잘 통하게 하여 울체된 것을 풀어준다.
[蘇頌(소송)] : 꿀과 함께 큰 알약으로 만들어 밤에 복용하면 風痰(풍담)에 특히 효과가 있다.
[陶弘景(도홍경)] : 잇몸에서 피가 나는데 입에 물고 있으면 효과가 좋다."
약물이름의 기원
"이명으로는 芎藭(궁궁), 胡窮(호궁), 香果(향과), 山鞠窮(산국궁)이 있다.
李時珍(이시진): 芎(궁)은 본래 營(영)이었으나 이름의 뜻이 명확하지 않다. 어떤이는 사람의 머리가 활처럼 위로 볼록하게 위로 솟은 것은 하늘을 본뜬 것이다.
이 약의 기운은 위로 올라가 머리 부위의 모든 질환을 치료하기 때문에 芎藭(궁궁)이라는 명칭을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것은 胡戎(호융)의 것이 좋기 때문에 胡窮(호궁)이라고 하였다.
옛 사람들은 그 뿌리의 마디가 말의 재갈과 비슷하기 때문에 馬銜芎藭(마함궁궁)이라고도 하였다.
후세에서는 그 모양이 참새의 뇌와 비슷하다고 하여 雀腦芎(작뇌궁)이라고도 하였다.
약재가 關中(관중)에서 생산되는 것을 京芎(경궁) 또는 西芎(서궁)이라 하고, 蜀中(촉중)에서 생산되는 것을 川芎(천궁)이라 하였으며, 天臺(천대)에서 생산되는 것을 臺芎(대궁)이라 하고, 江南(강남)에서 생산되는 것을 撫芎(무궁)이라 하는데, 모두 지역에 따라 이름을 붙인 것이다.
<左傳(좌전)>에서는 楚人(초인)이 簫人(소인)에게 麥曲(맥곡)이 있는가?, 山鞠窮(산국궁)이 있는가? 민물고기를 먹어 복통이 있으면 어떻게 하겠는가?나는 내용이 있는데, 이 두 가지 약재는 모두 濕(습)을 제어하기 때문에 반드시 그것에 대하여 알아야 한다는 말이다. 朱丹溪(주단계)가 六鬱(육울)을 치료할 때 사용한 越菊丸(월국환) 중에는 越桃(월도), 鞠窮(국궁)이 있는데 이로 인하여 명명된 것이다. <金光明經(금광명경)>에서는 闍莫迦(도막가)라고 하였다."
12.其他資料
우리가 걷고 생각하고 말하고 일하고 먹고 마시고 소화하고 배변하는 모든 일상생활은 ATP에너지가 사용된다. 미토콘드리아는 동ㆍ식물의 세포 안에서 공존하면서 주인에게 자신의 DNA를 80% 이전하고 ATP라는 에너지가 효율적으로 잘 생산되도록 필요한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받고, 노폐물을 체외로 잘 배출하도록 요구한다. 그 결과 나온 것이 심장, 간장, 혈관시스템이다.
혈(血)이 막혀서 생긴 것이 어혈(瘀血)이다. 어혈약에 가장 많이 쓰이는 것은 천궁(川芎)이다. 일(日)천궁과 토(土)천궁이 있다. 일천궁은 일본에서부터 건너와 울릉도에서 재배되었다가 전국으로 퍼졌고 토천궁은 강원도에서 자생하던 천궁으로 일천궁보다 진액이 많고 통증을 억제하는 효과가 세다.
천궁은 냄새만 맡아도 향이 진한 것을 알 수 있다. 그래서 성질이 맵다. 매운 맛은 사방으로 잘 퍼트린다. 그래서 천궁은 기운을 잘 통하게 해서 기체(氣滯)로 인해서 생긴 어혈 제거에 최고로 치며 혈중지기약(血中之氣藥)이라고 부른다.
자연분만하는 임부가 힘들이지 않고 출산하기 위해서 당귀(當歸)와 함께 불수산(佛手散)을 쓰는 데 부처님이 손으로 해산을 돕는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혈(血)을 보하는 사물탕(四物湯)에는 반드시 혈을 보하는 한약뿐 아니라 기운을 돌리는 천궁을 함께 써야 한다.
지구 막둥이인 인간은 세상을 지배한다는 착각에서 벗어나 자신이 그 이전에 출현한 생명들에 빚을 지고 있음을 인식하고, 모든 생명체가 하나로부터 생기고 소멸된다는 만물동근(萬物同根)이란 말을 되새겨 볼 필요가 있다.
▣차(茶)와 건강
[혈액 순환에 좋은 천궁차]
천궁(川芎)은 미나리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 중국이 원산지이며 우리나라 중부지방에서 재배한다. 평원에서 재배한 것은 소만 후 4~5일, 산지에서 재배한 것은 가을에 뿌리를 채취한다.
천궁은 성미가 따뜻하고 매우며 대표적인 보혈약인 사물탕(숙지황, 당귀, 천궁, 백작약)의 주요 약재로서 나쁜 어혈(瘀血)을 제거해준다.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천궁과 당귀를 합하면 궁귀탕(芎歸湯)이 되는데 혈약(血藥)중에서 가장 좋다고 전해진다. 천궁은 허리와 다리의 골격이 약하며 근육에 경련을 자주 일으키는 사람에게도 도움이 되며 어혈을 풀어 주어 피부미용에도 좋다고 한다.
한방에서 천궁은 혈과 기의 원활한 순환을 도우며 진통작용이 있어 어혈로 인한 생리통이나 복통 옆구리 통증, 타박상, 두통 등 증상에 응용된다.
천궁은 두통을 다스리는 효과가 좋다고 알려져 있는데, 미지근한 물이나 쌀뜨물에 24시간 정도 담가서 정유 성분을 제거하고 사용해야 머리가 아픈 부작용을 예방할 수 있다.
천궁에는 마음을 진정시키는 효능이 있어 우울증에도 도움이 되며 뇌혈관과 일반적인 혈관 건강에 좋다고 알려져 있다.
당귀와 블랜딩하면 혈을 보하고 기를 순환시켜 어혈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으며 방풍과 블랜딩 하면 풍사와 한사를 흩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고 한다. 천궁 뿌리와 꽃을 차로 제다하여 마셔도 되지만 잘 법제하여 말린 것을 물 2L에 천궁 5g을 넣고 끓여 마셔도 좋다.
13.副作用 및 注意事項
1)금기
음허화왕자(陰虛火旺者)와 상성하허(上盛下虛) 및 기약자(氣弱者)는 복용(服用)을 기(忌)한다.
2)주의사항
음(陰)이 허하여 머리가 아픈 데, 월경과다, 임신부에게는 쓰지 않는다.
[출처 : 두산백과, 한의학대사전, 한국전통지식포탈, 국립수목원 국가생물종지식정보, 본초강목(本草綱目), 동의보감(東醫寶鑑), 대한식물도감(大韓植物圖鑑), 약초연구가전동명님글중]
천궁(川芎)은 산형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이다. 두궁(杜芎) 또는 사피초(蛇避草)라고도 한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줄기는 건조시켜 약재로 이용한다. 방향성 정유를 다량 함유하고 있어서 냄새가 좋다. 맛이 맵고, 성질이 따뜻하다.
천궁의 효능을 보면 혈(血)을 생성시키고, 찬 기운과 풍(風)을 제어하여 경(經)을 잘 통하게 한다. 또 심경(心經)·간경(肝經)·비경(脾經) ·삼초경(三焦經)에 작용하여 혈액순환을 왕성하게 해 주고, 통증을 그치게 한다. 임상에서 풍한두통(風寒頭痛), 월경불순(月經不順), 경폐(經閉), 난산(難産), 산후 어혈(瘀血), 혈전증(血栓症) 등에 자주 쓰인다. 약재로 쓸 때는 뜨거운 물이나 탕약에 담가 정유 성분을 제거한 다음 사용한다. 한(漢)나라 유향(劉向)이 선별한 조정의 장서목록집 『별록(別錄)』에 의하면, “갑작스런 종통(腫痛)과 옆구리의 풍통(風痛)을 없애며, 내부의 한(寒)을 따뜻하게 한다.”고 했다.
천궁은 천(天)의 온기(溫氣)와 지(地)의 신미(辛味)를 품고 생(生)했다. 기후미박(氣厚味薄)하고 양(陽)에 속한다. 성질이 승(升)하고, 화혈통간(和血通肝)한다. 보혈(補血), 행기(行氣), 부인혈분(婦人血分)의 요약(要藥)이다. 위로 머리와 눈에 청양(淸陽)의 기(氣)를 인(引)하여 지통(止痛)하고, 아래로 신생(新生)의 혈(血)을 양(養)하여 조경(調經)한다. 간경의 풍(風)을 산(散)하며, 소양궐음두통(少陽厥陰頭痛)과 혈허두통(血虛頭痛)의 성약(聖藥)이다. 당귀와 배합하면 조경하고, 활혈(活血)하며,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이 강해 진다. 감국(甘菊), 지황(地黃), 천문동(天門冬), 백작약(白芍藥), 구감초(灸甘草)와 배합하여 혈허두통에 사
용한다. 오약(烏藥)을 배합하여 산후 두통을 다스리며, 지실(枳實)과 감초(甘草)를 배합하여 좌협자통(左脅刺痛)을 치료한다. 단, 오랫동안 복용하면 진기(眞氣)를 내리게 하므로 병세가 중화되면 복용을 그쳐야 한다. 황련(黃連)과 초석(硝石)을 꺼리고, 황기(黃)와 산수유(山茱萸)를 싫어한다. 여로(藜蘆)와는 상극(相剋)이며, 석웅황(石雄黃)과 함께 쓰면 약효가 없다. 해수로 인해 구토를 하는 경우와 땀을 많이 흘리고 고혈압이 있는 경우에는 복용을 금한다.
천궁을 배합한 대표적인 처방으로는 ‘궁소산(芎蘇散)’이 있다. 이 처방은 임산부의 과로로 인한 감기 몸살에 특효가 있다. 특히 상한(傷寒)으로 인한 두통과 한열해수(寒熱咳嗽)에는 생강과 총백(蔥白)을 넣어서 달인 후 복용한다. 처방 내용은 황금(黃芩), 전호(前胡), 맥문동(麥門冬) 각 4그램, 천궁, 진피(陳皮), 백작약(白芍藥), 백출(白朮) 각 3그램, 소엽(蘇葉) 2.5그램, 갈근(葛根) 2그램, 감초(甘草) 1그램이다.
천궁을 배합한 또 다른 처방으로는 태반을 줄어들게 하여 아기를 쉽게 낳도록 하고자 할 때 쓰는 ‘불수산(佛手散)’이 있다. 처방 내용은 당귀 2.5그램, 천궁 1.5그램이다. 출산을 3~4일 앞두고 태아가 너무 크지 않게 하여 순산하기 좋도록 축태이산(縮胎易産)하는 효능이 있다. 약이 달여져 갈 무렵에 술을 조금 넣고, 익모초 1그램을 가(加)하면 효력이 더욱 좋아진다.
◈ 고방과 경험방 ◈
1. 불임과 유산으로 고민하는 경우 : 천궁 12그램에 당귀 20그램을 깨끗이 씻어 물기를 뺀 다음, 물을 재료 양의 3배를 붓고 약한 불에 물이 반으로 졸 때까지 달인다. 다 달여지면 꿀을 약간 타서 마신다.
2. 요통과 관절통으로 고생하는 경우 : 천궁ㆍ당귀ㆍ초룡담 각 20그램에 구기자ㆍ감국ㆍ강활ㆍ방풍ㆍ대황 각 8그램, 부자를 6그램을 곱게 분말한 다음 토종꿀과 섞어 녹두 크기의 환을 만든다. 그런 다음 대나무 잎 끓인 물에 매일 10환 내지 50환씩 식후에 복용한다.
3. 산후에 원기가 쇠약한 경우 : 천궁ㆍ당귀ㆍ숙지황ㆍ백출ㆍ백복령ㆍ진피ㆍ오약ㆍ향부자ㆍ목단피 각 4그램, 익모초ㆍ감초ㆍ건강ㆍ대추ㆍ생강 각 3그램을 섞어서 물로 달인다. 1일 3회 1첩씩 식간(食間) 공복에 복용한다.
4. 산후 골절통이 있는 경우 : 가물치 한 마리에 계지ㆍ우슬 각 8그램, 당귀ㆍ천궁ㆍ위령선ㆍ백지ㆍ방기ㆍ황백ㆍ우담남성ㆍ창출ㆍ강활ㆍ의이인ㆍ모과 각 4그램, 홍화 2그램, 생강 3쪽, 대추 3개를 넣고 물로 달여서 수시로 마신다
5. 심부전증이 있는 경우 : 천궁과 당귀 20그램에 물을 붓고 달여서 1컵 분량이 되도록 졸인다. 여기에 구기자 50그램을 넣어 불린다. 그리고 시금치 1단을 다듬어서 끓는 물에 데쳐 낸 뒤 물을 꼭 짜서 5센티미터 길이로 썬다. 그러고 나서 프라이팬에 올리브유 2숟가락을 두르고, 시금치와 구기자를 넣어 볶는다. 볶을 때 약재 달인 물을 넣고, 천일염으로 간을 맞춘다. 식사 때마다 반찬으로 꾸준히 먹는다.
6. 풍냉두통(風冷頭痛)으로 머리가 쪼개질 듯이 아픈 경우 : 세신과 천궁 각 8그램을 뿌리가 붙은 파 밑동 2개, 생강 3쪽과 함께 물 500cc를 붓고 반으로 줄 때까지 끓인다. 하루 3번에 나누어 식후에 복용한다.
7. 어린아이가 열이 많을 경우 : 천궁ㆍ당귀ㆍ대황ㆍ강황ㆍ방풍ㆍ초룡담ㆍ치자 각 4그램을 곱게 분말하여 꿀로 ‘우황청심환’ 크기의 환을 만들어 하루 1개씩 복용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