鍼灸 小考/두침

두침요법(頭針療法)

초암 정만순 2014. 4. 18. 09:00

두침요법(頭針療法)

1) 槪說

頭針療法은 頭皮針療法이라고도 하며, 頭部에 刺針하여 全身疾病을 치료하는 새로운 針法인데 한방의 刺針療法과 서양의학의 중추신경계의 대뇌피질 機能定位의 이론을 결합시켜 發病한 부위에 해당하는 두피 상응구에 刺針하여 신체의 상응구의 운동 지각 및 기능을 개선시키고 회복시키는 새로운 치료법의 하나이다. 頭針療法은 뇌혈관병 뇌염후유증 진전마비 및 운동실조 癲癎 고혈압 감각이상 정신분열증 등에 상당한 효과가 있어 이로 인해 鍼灸系가 중시하게 되었고 신속하게 세계 각처에 전달되고 있다.

  2) 頭針의 유래와 종류

1958年 西安의 中醫院 方雲鵬敎授가 최초로 大腦皮質層 機能定位가 頭皮外表에 投影되어 特定 刺激點에 刺針하여 全身의 疾病이 治療되는 것을 알았다. 1965年 山西省 稷山縣의 焦順發은 經絡理論과 西洋醫學과의 結合 아래 數次 腦源性 癱瘓에 頭針治療를 運用하여 成功하였다. 이를 근거로 頭部에서 하나의 刺激區, 즉 運動區를 設定하였고, 이후의 많은 臨床을 통하여 反復檢證되면서 大腦皮層 機能定位에 相應하는 頭皮部位가 刺激區로 設定되어 針刺治療가 進行되어, 腦源性 疾病을 일으키는 症狀과 特徵에 대해 어느 程度의 效果를 거두었다. 이후에 다시 針感傳導의 規律과 臨床治療效果에 根據하여 前頭部에서 內臟과 相關되는 刺激區(胸腔區, 胃區, 肝膽區등)를 確定하여, 1971년 2월경에 頭針療法이 완성되었고 아울러 頭針麻醉를 臨床에 應用하는 것도 成功하였다.

1971年 焦順發의 頭針療法이 세상에 알려진 후 5年이 못되어 중국에 널리 應用되어 각각의 流派가 생기게 되었는데 1976年에 方氏의 頭皮針, 1979年에는 朱氏의 頭皮針이 계속 世上에 알려졌다. 십여년이후에 많은 中醫師들의 臨床을 통하여 腦源性疾病을 治療할 뿐만 아니라 內科, 外科, 婦人科, 小兒科等 40餘種의 疾病을 治療할 수 있게 되었는데 이는 빠른 進針, 빠른 捻針, 빠른 起針의 “三快針刺術”로 總結되게 되었다.

 

 

 

學派 刺戟區의 定位根據 主要定位方法 操作手法 主要適應症
焦氏
頭針
大腦皮質의 機能定位에 對應되는 頭皮區를 刺戟區로 삼음 먼저 前後正中線과 眉枕線의 基準線을 정하고서 16개 刺戟區를 정함 進針快 捻針快 起針快의 “三快針刺術” 腦源性 疾病을 주로하여 40여개 疾病
方氏
頭皮針
人體를 頭皮에 伏藏 倒臟한 部位를 刺戟區로 삼음 頭部가 이마를 향하고 四肢를 빌리고 있는 頭皮上의 伏藏 및 額部에 있는 頭가 中間에 있고 臀部가 外側에 있는 倒臟을 定位로 함 捻轉을 위주로 함 腦源性 疾病 및 眼病 등.
湯氏
頭針
大腦皮質機能을 臟腑學說과 結合하여 定位함 人體 頭部表面의 이마 머리카락부위의 피부위치를 前後로 나누어 그 前半部穴은 人體가 누운 것과 같고, 後半部 穴은 人體가 엎드린 것과 같다. 이마를 세부분으로 나누어 上, 中, 下焦區로 하였다. 多針, 短針, 不捻轉, 提揷, 久留針 腦源性疾病을 제외한 기타, 비교적 광범위한 適應症
張氏
頭穴
治療法
經穴을 根據로 定位함 頭皮上의 腧穴을 治療區로 삼음 捻轉을 위주로 함 神經․精神疾病을 爲主.
朱氏
頭皮針
臟腑․經絡學說을 理論의 基礎로 삼아 部位를 확정함 督脈을 中線을 삼고, 百會를 中點으로 全額帶, 頂枕帶 등 9개 治療帶를 정함. 獨創的인 抽氣, 進氣手法을 運用하며, 相應하는 導引, 吐納 등을 配用한다. 久留針. 臨床 各科의 病症의 治療에 運用한다. 특히 中風偏癱에 危急, 重症時 救急에 비교적 좋은 治療效果가 있다.

 

 

3) 頭針療法의 원리

(1) 生物全息學說

鍼灸學 중 全息思想은 이미 있던 것이나 그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이 근래의 실정이다. 全息思想은 사람들이 全息映畵(holography)중의 全息이라는 말을 빌려 人體의 局部 모두가 整體情報現象을 가지고 있음을 설명하였다. 鍼灸學說中 12경의 腧穴로 全身의 각종 疾病이 治療됨을 인식하였고, 이후에 臨床에 있어서 신체의 어떠한 상대독립부분, 즉 局部로써 전신 각 부위의 疾病을 治療하고 있다.

 

(2) 募穴에 따른 臟腑疾病의 治療作用

募穴은 臟腑經氣가 모이는 胸腹部의 穴位로서 臟腑病에 대해 특수한 治療作用을 가진다. 12臟腑는 각기 하나의 募穴이 있는데 胃의 募穴인 中脘, 大腸의 天樞, 小腸의 關元, 膀胱의 中極 등이 해당 臟腑病을 治療하는 要穴이 된다.

腦源性疾病에 대해서 볼때, 病巢가 腦에 있으면 病巢에서 비교적 가까운 頭皮部位의 穴을 택해 頭針을 사용하여 腦源性疾病을 治療하는 것은 募穴의 治療原理를 기초로 한 治療法이다.

 

(3) 近位取穴의 原則

臨床에서 近位取穴 즉 病巢部位 혹은 病巢附近에서 取穴하는 것이 病症을 治療하는데 효과가 좋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4) 頭皮部의 經絡과 腦의 關係

頭皮와 腦는 頭蓋骨을 사이에 두고 있다. 頭皮部位에서 분포하는 經絡을 살펴보면 모두 腦와 직접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頭面部는 經氣가 집합하는 중요한 부위라는 것을 설명한 것으로 頭에서 經別 經筋 經脈의 분포가 모든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腦와 관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頭皮刺戟區를 刺針하는 것이 腦에 작용하여 腦源性 疾病을 治療하는 것이다.

 

(5) 腦와 人體臟腑氣血과의 關係

頭와 腦는 모두 臟腑 經絡의 氣血이 모이는 부위로서 生理, 病理上 밀접한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頭部는 人體의 氣血을 조정하는 중요부위이다.

 

4) 頭部의 神經解剖

頭皮는 頭蓋骨 표면을 덮고 있는 것으로 軟組織, 血管, 神經, 淋巴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 頭皮의 軟組織

(1) 頭頂部의 軟組織

皮膚, 結合組織, 帽狀腱膜 疏鬆結合組織 頭蓋骨膜의 5개층으로 구분된다.

① 皮膚: 피층으로 두터우며 치밀하다. 한선이 많으며 혈관 임파관이 아주 풍부하여 두피외상시에는 출혈이 많으나 유합력이 강하다.

② 結合組織: 치밀한 결합조직으로 크고 수직인 섬유속과 그 사이를 메꾸는 지방으로 구성되어 신축성은 아주 작다. 그러므로 호침자입시 助力感이 커서 행침이 어렵다. 두피의 주요한 혈관과 신경은 모두 이 층에 분포하며 혈관벽과 섬유조직이 아주 긴밀히 유착되어 있다.

③ 帽狀腱膜: 피하조직 아래 있으며 앞으로 전두근 뒤로 후두근에 이어진다. 두텁고 강인한 섬유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피부․피하조직과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다.

④ 疏鬆結合組織: 이것은 성긴 섬유조직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두피의 3층과 두개골 외막을 연결한다. 출혈 혹은 감염시 쉽게 확산이 되어서 모든 頭頂部分에 퍼져나간다. 이 층에 있는 혈관은 두피의 혈관과 두개골 판간정맥, 도출정맥과 연접돼서 손상을 입으며 혈관에 이어져 이 층에 심한 혈종을 일으키고, 염증이 발생할때는 감염이 혈관을 타고 두개골이나 두개내로 번져 두개골 골막염이나 두개내감염을 일으킨다. 이로인해 이 층은 두개골에서 “위험구”라고 불린다.

⑤ 骨外膜: 이 층은 얇으며 치밀하다. 두개골과 소량의 결합조직으로 이어져 있다. 골봉합처에 있어, 골막과 골봉합부분 유착은 긴밀하여 골봉막을 형성하고 경막외층과 연결된다.

 

(2) 側頭部의 軟組織

① 皮膚 및 皮下組織: 앞부분은 비교적 얇고 이동이 가능하며, 뒷부분은 비교적 두텁고 지방을 비교적 많이 함유한다. 피하조직내에는 이개측두신경, 관골측두신경 및 안면신경의 측두지가 주행한다.

② 側頭淺筋膜: 매우 얇고, 모상건막의 연속이나 아래의 面部에 이르면 소실된다.

③ 側頭深筋膜: 측두근 표면을 덮고 있으며 견고하고 치밀하다. 그 뒤에는 상측두선에 부착되어 있다. 아래쪽을 향하여 깊은 층과 얇은 층의 두 층으로 구분되며 권골궁의 내 외면에 부착된다. 양 층의 사이에는 지방조직 측頭部 동정맥이 있으며 근막과 골막이 긴밀히 연결되어 있다.

④ 側頭筋膜下疏鬆結合組織: 측두근과 부착된 곳 이외에는 대량의 지방을 포함하고 있으며, 권골궁 깊은 면과 측두하 틈으로 서로 통해 있으며, 앞을 향하면 빰의 지방과 서로 연결된다. 이로인해 측두근막하의 틈에는 출혈이나 염증이 있으면 아래쪽으로 퍼져서 안면부에 이르러 안면부의 혈종 혹 농종을 형성하므로 안면부의 염증은 이 층대에 만연하게 된다.

⑤ 側頭筋: 부채꼴 모양이며 측두와에서 일어난다.

⑥ 骨膜: 매우 얇으며 측두골 표면에 긴말하게 부착되어 있다. 이로인하여 이 층은 골막하혈종이 매우 적게 발생한다.

 

5) 焦氏頭針

(1) 頭針刺戟區의 定位 및 主治

① 前後正中線(矢狀線): 兩眉間 중점에서 頭頂을 지나 外後頭隆起頂点 下緣을 이은 연결선으로 정중앙을 통과한다.

② 眉後頭線(眉枕線): 眉의 중점상연에서 側頭部의 鬢角을 지나 外候頭隆起를 연결한 선 頭針刺戟區의 定位는 일반적으로 cm로 계산한다.

  <?xml:namespace prefix = v ns = "urn:schemas-microsoft-com:vml" /><?xml:namespace prefix = w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word" />

6) 16刺戟區位

(1) 運動區

① 부위: 上點은 前後正中線의 중점에서 뒤로 0.5cm 이고, 下點은 尾後頭線과 鬢角發際前緣이 서로 만나는 점이다. 上下 兩點이 이어져 運動區가 된다. 運動區 上 1/5은 下肢 軀幹 運動具이고, 中間 2/5는 上肢運動區이고, 下 2/5는 面運動區(혹은 言語一區)라고 한다. 取穴은 左病右治 右病左治를 원칙으로 한다.

② 주치

A. 上 1/5: 반대측 下肢癱瘓, 下肢의 運動器疾患, 關節疾患, 筋肉疾患 등.

B. 中 2/5: 반대측 上肢癱瘓, 上肢의 運動器疾患, 關節, 神經痛疾患 등.

C. 下 2/5: 반대측 中樞性 顔面神經麻痺, 運動性失語, 流涎, 發音障碍 및 同側의 顔面神經麻痺와 眼球疼痛에 활용된다.

 

(2) 感覺區

① 부위: 運動區에서 後方으로 1.5cm 이동한 평행선

② 주치:

A. 上 1/5 : 반대측 腰脚痛, 麻木, 感覺異常 및 後頭痛, 頸項痛, 腦鳴과 반대측의 痺症 및 感覺障碍 등에 활용된다(下肢部)

B. 2/5: 반대측 上肢疼痛, 麻木, 感覺異常, 痺症, 感覺障碍 등에 활용된다(上肢部).

C. 2/5: 반대측 顔面部麻木, 偏頭痛, 三叉神經痛, 牙痛, 顎關節炎, 同側의 頭面部 神經障碍에 활용된다.

 

(3) 足運動感覺區

① 부위: 感覺區 上點에서 후방 1cm 부위에서, 前後正中線과 좌우로 1cm 떨어진 부위에서 전방으로 3cm 길이의 평행선.

② 주치: 반대측 腰脚痛, 麻木, 癱瘓을 치료한다. 양측을 刺針하여 小兒夜尿, 皮層性頻尿, 皮層性排尿困難, 皮層性尿失禁, 脫肛을 치료한다. 腰以下의 下肢部 疾患에 다용한다.

 

(4) 舞蹈震顫控制區

① 부위: 運動區에서 전방으로 1.5cm 이동한 평행선.

② 주치: 對側의 肢體不隋意運動 및 震顫. 한쪽의 병변은 반대측을 치료하고, 양측의 병변은 양측을 다 치료한다. 腦性麻痺疾患에 의한 步行障碍에 활용된다.

 

(5) 血管舒縮區

① 부위: 運動區에서 전방 3cm 이동한 평행선 혹은 舞蹈震顫控制區에서 전방 1.5cm 이동한 평행선.

② 주치: 原發性 高血壓, 皮層性浮腫, 血液循環障碍 및 痺症과 淋巴腺 結節에 의한 浮腫에 활용.

 

(6) 暈聽區

① 부위: 耳尖 직상 1.5cm 에서 전후 각 2cm의 직선.

② 주치: 同側의 頭暈, 耳鳴, 內耳性眩運, 皮層性聽力減退, 幻聽 등을 치료한다. 또한 精神運動性癲癎을 치료한다. 배멀미 차멀미에도 활용된다.

 

(7) 言語三區

① 부위: 暈聽區 중점(즉 이첨 직상 1.5cm)에서 후방으로 4cm 길이의 수평선.

② 주치: 感覺性失語(Wernick 증후군) 등.

 

(8) 運用區

① 부위: 頂骨結節에서 아래의 乳頭突起를 향한 일직선과 이 선에서 40도 각도의 전과 후의 직선, 각각 3cm 되는 세 선.

② 주치: 實用症 實行症 痴呆 등의 精神疾患

 

(9) 視區

① 부위: 外後頭隆起의 수평선상의 前後正中線과 좌우로 1cm 떨어져 평행, 상행되는 4cm 길이의 직선(혹은 前後正中線에서 外後頭隆起의 좌우 1cm 에서 평행, 상행인 4cm의 직선).

② 주치: 皮層性 視力障碍, 白內障, 眼壓上昇 등의 眼科疾患

 

(10) 平衡區

① 부위: 外後頭隆起 옆으로 양방 3.5cm 에서 아래로 前後正中線에 평행인 4cm 길이의 직선

② 주치: 小腦損傷으로 나타나는 평행감각의 장애를 치료(運動失調, 眩暈 등). 배멀미, 차멀미, 高血壓性 眩暈 등.

 

(11) 言語二區

① 부위: 頂骨結節 후하방 2cm 에서 아래로 前後正中線과 평행선이 되게 그은 3cm 길이의 직선.

② 주치: 命名性失語(Broca 증후군) 등.

 

(12) 胃區

① 부위: 양쪽 瞳孔中心에서 위로 前後正中線과 평행되게 그은 직선, 前髮際로부터 위로 2cm 되는 직선. 前髮際가 불분명한 사람은 眉間 직상 6cm 부위이다.

② 주치: 胃 및 上腹部 病症, 消化不良, 胃液分泌障碍, 急慢性胃炎, 胃十二指腸潰瘍 등의 疼痛에 효과가 있다.

 

(13) 胸腔區

① 부위: 胃區와 前後正中線 사이의 前髮際 중점에서 前後正中線과 평행되게 그어 상하 각 2cm 직선.

② 주치: 過敏性 哮喘, 胸痛, 胸悶, 脇痛, 氣管支哮喘, 氣管支炎, 冠心病, 風濕性 心臟病, 陳發性 心室性 頻脈.

 

(14) 肝膽區

① 부위: 胃區下緣에서 前後正中線과 평행한 하방 2cm 직선

② 주치: 膽汁分泌障碍, 肝膽疾患으로 일어나는 右上腹部 痛症에 효과가 있다. 肝炎, 膽囊炎, 右季肋部 疼痛.

 

(15) 生殖區

① 부위: 額角에서 前後正中線과 평행한 상방 2cm 직선

② 주치: 機能性子宮出血, 泌尿器系 疾患(帶下, 陽萎) 등의 泌尿生殖器 疾患 일체.

 

(16) 腸區

① 부위: 生殖區下緣에서 前後正中線과 평행한 하방 2cm 직선

② 주치: 腸炎, 便秘, 泄瀉, 下腹部疼痛에 효과가 있다. 腸無力 및 下垂에 활용.

※ 前頭面의 刺戟區들은 大腦皮層 기능부위에 상응되는 頭皮部位로 확정된 것이 아니라 刺針後 人體의 특정한 부위에 나타나는 針感과 더불어 刺針後에 나타나는 치료효과에 근거하여 臟腑의 이름을 따라 명칭을 붙였다.

 

7) 頭針의 刺針방법

(1) 시술전 준비

① 針의 選擇과 消毒: 길이는 1.5 - 2寸이며, 굵기는 6-8호이며 녹이 슬지 않는 스테인레스인 호침을 사용한다. 진단에 의하여 자극구를 선택한 후 부위의 두발을 젖히고 먼저 75% alcohol을 묻힌 소독용 솜으로 두피를 소독한 후에 진침을 해야 한다.

② 刺針手法: 치료효과를 증진시키고 刺針시 고통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刺針법에 대한 실습이 반드시 더해져야 한다. 주로 指力, 간격, 방향 등 각종 동작을 연습함으로써 捻轉術과 刺針시 민첩 정확하게 운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③ 體位: 체위는 臥位를 원칙으로 하는데 坐位로 하는 경우도 많다.

④ 選穴原則: 刺戟區와 進針방향을 정확히 선택해야 한다. 前後正中線 양측의 刺戟區를 선택할 때는 먼저 前後正中線의 長度와 眉後頭線의 위치를 잘 측정해야 정확한 區의 위치가 나오게 되므로 대충 측정해서는 안된다. 한쪽의 肢體病에는 일반적으로 환측의 반대편 刺戟區를 이용하며, 양쪽의 肢體病에는 양쪽의 刺戟區를 이용한다. 고혈압, 동맥경화, 지체마목, 담마진 등 전신성 내장질병, 뇌발육부전, 현운 등 환측을 구별하기 어려운 질환인 경우에는 양쪽의 刺戟區를 모두 선택한다.

 

(2) 刺針手技法

① 進針 : 질병에 따라 해당되는 刺戟區의 부위를 선정한 다음, 針과 두피의 각도를 약 15-20도로 하여 進針法으로 刺入하여 해당 區의 長度에 도달한 후에 運針을 한다. 만일 運動具나 感覺區의 全區를 자입할 경우는 상중하 부분에 刺入하고 고정시킨다. 提揷法은 쓰지 않는다.

A. 快速進針의 飛針刺入과 快速刺入의 두 가지 단계

a. 飛針刺入: 한손의 모지 식지의 손끝으로 針體와 針尖의 2cm 부위를 잡고 刺戟區의 방향으로 針尖이 정확하게 針點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刺한다. 手指尖과 두피와의 거리는 약 5-10cm 정도이고 손목을 뒤로 제껴서 針尖과 針點의 거리가 10 -20cm 가 되게 한 후에 손목을 빨리 펴서 針尖이 두피하 혹은 근육층으로 들어가게 한다.

b. 快速刺入: 두피하 혹은 근육층에 飛針刺入하고서 刺戟區를 따라서 進針하고 捻轉은 하지 않는다. 快速으로 進針을 하여 일정한 정도에 이르면 완성되는 것이다.

② 運針 : 運針을 行針 혹은 捻針이라 한다. 捻針의 방법은 모지와 식지 1, 2 관절을 반쯤 굽혀서 鍼柄을 잡고 좌우로 捻轉하는 것이며, 捻轉속도는 매분 200회 이상을 해야 하며, 2 -3 분간 지속해야 한다. 5 -10분 쉰 다음 다시 같은 방법으로 2 - 3차 반복한 다음 發針한다.

③ 留針과 埋針 : 일반적으로 환자는 刺入後에 捻針을 하여 針感이 나타나면 症狀과 體徵이 뚜렷히 감소 혹은 소실된다. 그래서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捻轉을 2 -3분간 다시 지속하고서 留針을 20 -30분간을 한다. 그리고 재차 捻轉을 시행한 후에 發針을 한다.

소수환자의 경우 針刺後 症狀과 體徵이 뚜렷히 경감 혹은 소실되었으나 그날 오후 혹은 다음날에 症狀과 體徵이 다시 가중되거나 출현하는 경우는 환자의 특수한 현상으로 자극량이 부족한 것과 관계가 있으므로 埋針법을 사용하고 진행을 관찰한다.

④ 拔針 : 發針時에는 한손의 중지 혹 무명지를 鍼柄을 따라서 아래로 미끄러지듯이 가서 鍼柄 주위의 두발을 누르고 식지로 鍼柄을 잡고 빠르게 밖으로 뽑는다. 그리고 한손으로 소독용 솜으로 針空을 압박하여 출혈을 방지한다.

 

8) 頭針의 適應症

두침은 腦源性으로 야기된 中風, 麻木, 感覺異常. 陰陽失調, 舞蹈震顫, 失明 등의 症狀에 주로 적용하며 비교적 좋은 치료효과가 있다. 腰脊椎疾患 및 關節疾患 등의 運動器疾患 뿐만 아니라 또한 末梢性 疾患과 內傷에서 연유된 각종 內科疾患을 비롯하여 內臟疼痛, 皮膚病과 泌尿生殖系統 방면의 疾病도 치료할수 있다.

(1) 腦血栓 後遺症 : 動脈의 粥狀硬化로 인한 것이 많으며 혈액응고성 증가 및 혈액감소도 본병의 형성원인이 된다. 腦塞栓은 완만하게 발병되기도 하고 급하게 발병되기도 한다. 대부분 頭痛, 頭暈 혹은 四肢麻痺 등의 전구증상이 있다.

(2) 腦溢血 後遺症 : 腦出血이란 뇌실질내 혈관이 파열되고 출혈한 것을 지칭하며, 일반적으로 50-60세의 노인에게 많이 나타나며 여성보다는 남성에게 더 많이 나타난다. 高血壓과 動脈硬化의 환자에서 많이 발생되며 기타 원인은 아주 적다.

① 內囊出血: 일반적으로 발병이 비교적 급하고 혼미정도가 비교적 심하며 지속시간이 비교적 길고 지체는 균등성 완전성 편마비를 보인다.

② 皮層性出血: 대개 발병이 비교적 급하고 대부분 이내 의식불명이 되나 정도가 비교적 경하고 지속시간 역시 비교적 짧으며 출혈부위에 따라 마비되는 부위와 정도가 달라진다.

③ 腦頭蓋 損傷, 腦打撲傷 後遺症: 뇌두개 손상은 임상상 일반적으로 개방성 뇌두개 손상과 폐쇄성 두뇌개손상으로 나뉜다. 개방성 뇌두개 손상은 두피 두개골 뇌경막이 동시에 파열되어 뇌연막과 뇌조직이 외부로 드러난 것을 가리킨다. 폐쇄성 뇌손상은 그 반대이다.

④ 頭蓋內 炎症: 두개내 염증은 각종 뇌염, 뇌막염을 포괄하는데 증상이 급하게 일어나고 항상 고열 인사불성 근육수축 등을 동반한다. 일부 환자는 고열 혼미상태가 되었다가 의식이 돌아온 후에 뇌실질 손상으로 인하여 肢體麻痺, 麻木, 失語 등의 증상이 있게 된다.

⑤ 錐體外系病

A. 舞蹈病: 아동이나 청소년에게 많이 보여지는 것으로 사지 안면 신체의 불규칙적 불수의적 운동을 특징으로 한다. 5-15세의 아동에게서 남성보다 여성에게 많이 보여진다. 발병이 완만하지만 정서의 격동이 있은 후에 갑자기 발생될 수 있으며 춤을 추는 것 같은 동작으로 표현된다.

B. 震顫麻痺: 중년 및 노년의 사람에게서 많이 볼 수 있는데, 일종의 중추신경계통의 기질성 질병이라고 여겨진다. 임상상의 특징은 震顫이 있으며 전신이 뻣뻣해지고 동작이 감소하는 것이다. 유행성 뇌염 두개골의 외상 등이 원인이 되었다면 파킨슨씨 증후군이라고 한다. 본 병의 진전 특징은 지체가 정지상태에 있을 때 나타나며, 수의운동으로 진전을 감소시키거나 정지시킬 수 있으나, 감정이 격동하면 가중되고 수면중에는 이런 종류의 비자율적인 운동은 완전히 소실된다.

⑥ 메니에르 증후군: 본 병 및 기타 頭暈, 耳鳴 등에 대하여 양측 暈聽區를 선택한다.

⑦ 皮層性 多尿, 排尿困難, 尿失禁, 小兒夜尿 등: 뇌동맥경화와 함께 전대뇌동맥의 혈액공급이 부족하여 혈전형성 혹은 기타 원인에 의해 中心旁小葉기능장애로 배뇨장애를 일으켜서 尿頻數, 排尿困難, 尿失禁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것을 가리켜서 皮層性 尿頻數, 皮層性 排尿困難, 皮層性 尿失禁이라고 부른다.

⑧ 神經性 頭痛: 頭痛의 부위에 따라 區를 선택한다. 前頭痛, 偏頭痛일때 반대편 혹은 양쪽 感覺區 下 2/5부위를 선택하며, 頭頂痛, 後頭痛일때 양쪽 感覺區 上 1/5부위를 선택한다.

⑨ 風濕性 心臟病이 全身浮腫 및 尿量減少를 동반

⑩ 神經性 耳聾: 양측의 暈聽區를 선택한다.

⑪ 非器質性 男性의 性機能 障碍 : 양측 足運感區 및 生殖區를 매일 1회 刺針한다.

⑫ 陳發性 窒性 心動過速

⑬ 기타: 三叉神經痛, 坐骨神經痛, 上腹部 疼痛, 過敏性 氣管支 喘息, 肩關節 周圍炎, 額頷 關節炎, 跟腱炎, 急性 腰扭炎, 蕁痲疹, 機能性 子宮出血, 頭蓋內 寄生蟲病, 高血壓. 이외에도 內科 外科 婦人科 眼科 耳鼻咽喉科 皮膚科 등의 常見病 多發病 예를 들면 急慢性 胃炎, 潰瘍, 急性 氣管支炎, 遺尿, 子宮下垂, 耳聾, 近視 등에도 頭針은 효과가 있다.

'鍼灸 小考 > 두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씨두침  (0) 2017.11.22
두침 위구(胃區) 애역 치료  (0) 2016.07.16
두침의 적응증  (0) 2016.07.15
頭針療法(두침요법)  (0) 2014.04.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