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창 복흥면
호남정맥이 휘감은 '삼재불입지지'
전라북도 순창군 복흥면은 해발 300m에 있는 분지지형이다.
정읍 내장사에서 보면 남쪽으로 해발 700m가 넘는 호남정맥 본줄기가 이어진다.
밑에서 보면 산위에 누가 살까 싶다.
그러나 굽이굽이 난 추령로를 따라 한참을 올라가면 면이 자리할 만큼의 넓은 평지가 나타난다.
산세도 아래에서 보는 거와는 다르다.
내장산 쪽에서 보면 험준한데 올라가면 순하고 평탄하다.
복흥면 동쪽은 순창 강천사, 서쪽은 장성 백양사, 남쪽은 담양, 북쪽은 정읍 내장사가 위치하고 있다.
이들 지역에서 복흥을 가려면 가파른 길로 한참을 올라가야 한다.
그만큼 복흥면이 높은 곳이다.
이러한 지형이 형성된 것은 호남정맥이 한 바퀴를 돌며 사방을 감싸고 있기 때문이다.
호남정맥이 고당산에서 추령(갈재)로 이어지면서 복흥이 시작한다.
내장산 장군봉·신선봉·까치봉으로 서진하더니 방향을 바꾸어 남쪽으로 백암산·대가산을 세운다.
그리고 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추월산을 만든 다음, 다시 북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산신산·치재산을 만든다. 그리고는 동쪽에 회문산을 세우고 남진하여 강천산과 설산을 거쳐 광주 무등산으로 이어져져 나간다.
대부분 분지 지형은 정맥에서 갈라져 나온 산줄기들이 양팔을 벌려 감싸듯 형성된 곳들이다.
복흥면처럼 큰 정맥이 휘돌아 형성한 곳은 극히 드물다.
풍수적으로 본다면 거대한 용이 꽈리를 튼 그 안쪽 공간에 위치한 것이다.
그만큼 큰 기운이 서려 있는 지역이다.
그래서일까 복흥면은 옛날부터 풍수 좋기로 유명하다.
신라 말 도선국사는 이곳을 지나면서 24혈이 있다고 유산록에 적었다.
“새재(조령)를 넘어 가니 옥천 복흥 여기로다. 전후 24혈이 하나하나 모두 기묘하도다.”라 하면서 각각의 혈을 소개하였다.
이 때문에 옛날부터 많은 지관들이 혈을 찾고자 복흥을 찾았다.
음택이든 양택이든 혈을 찾아 쓴 집안은 크게 번창하여 많은 인물을 배출하였다고 전해진다.
예를 들어 금방동의 황앵탁목혈을 쓰고 노사 기정진(1798~1879)이 태어났다고 한다.
그는 화담 서경덕, 퇴계 이황, 율곡 이이, 녹문 임성주, 한주 이진상과 함께 조선 성리학의 6대가로 꼽히는 인물이다.
화개산의 자봉포란형을 쓰고 인촌 김성수가 배출되었다고 하고, 백방산 아래 천마입구혈을 쓰고 대한민국 초대 대법원장인 가인 김병로가 태어났다고 전한다.
어은리의 금반형에서 국회부의장을 역임한 홍영기가 태어났고, 선녀가 피리 부는 형상인 선녀취적형에서 서편제를 창시한 박유전이 나왔다고 전해진다.
복흥면처럼 큰 산으로 둘러싸인 분지는 삼재불입지지(三災不入之地)로 불린다.
삼재란 전쟁·흉년·전염병 세 가지 재앙이다.
전쟁이 들어오지 않는 것은 산 높은 곳이기 때문에 적의 눈에 잘 띠지 않아서다.
설사 적이 침입한다하더라도 방어하기에 유리하다.
실제로 6.25때 옆면인 쌍치면과 담양군 용면 가마골은 빨치산 본거지로 토벌대와 전투가 치열했다.
그 바람에 민간인들도 많이 희생되었다.
그러나 불과 몇km 밖에 떨어지지 않은 복흥면은 피해가 없었다고 한다.
흉년이 없는 것은 넓은 분지에 평야가 발달되어 있고 물이 풍부해서다.
사방이 산으로 둘러싸여 태풍 등 자연재해가 없고 일조량이 풍부하다.
그래서 1년 농사 지어 3년을 먹고 살 수 있다는 말이 있을 정도다.
또 일교차가 커서 과일을 비롯한 농산물의 당도가 높다.
복흥면은 논농사 외에 특산물로 오디, 복분자, 완두콩, 오미자, 블루베리, 두릅 등이 있고 고로쇠 약수와 전통한과가 유명하다.
전염병이 없는 것은 외부와 접근하기 어렵고 물과 공기가 깨끗하기 때문이다.
지금이야 도로가 잘 발달되어 있지만 옛날에는 가파른 산길을 올라가야 했다.
외부와 접촉이 없으니 전염병이 전파되지 않았다.
설사 들어온다 하더라도 청정지역이므로 저절로 소멸되고 말았다. 물
역시 섬진강의 최상단에 있는 분지이므로 외부에서 물이 들어오지 않는다.
관리만 잘하면 물이 오염되지 않는다.
복흥면의 경쟁력은 맑은 공기와 물, 산 등 자연이다.
개발보다는 자연을 보존하여 쉼과 치유 지역으로 활용하는 것이 지속가능한 발전이 될 것이다.
복흥면[ 福興面 ]
정의
전라북도 순창군에 있는 행정 구역.
형성 및 변천
복흥면(福興面)은 백제 때 복흥현이 이곳에 있어서 유래한 지명이다.
고려 전기 순창으로 편입되었다가 1314년(충숙왕 1) 군 18방의 하나인 복흥방(福興坊)이 되었다.
조선 시대 순창군에 영속되었다가 1897년(고종 34) 방이 면으로 개편되면서 집강을 두어 16개 마을로 편제되었다.
1907년(순종 1) 집강을 면장으로 고치면서 45개 리를 관할하였다.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쌍치면의 석보, 답동, 하리가 귀속되었다.
자연 환경
복흥면은 순창군의 서북쪽으로 28㎞ 떨어진 호남평야와 동부, 서부 산간 지대를 가로지르는 호남정맥 가운데에 위치한 320m 높이의 고원 개활지에 동서 간 13㎞, 남북 간 10.4㎞, 총 73.73㎢의 넓은 분지로 형성되었다.
넓은 분지가 천공에 매달린 고원 개괄지로 형성되어 사방이 석암 절벽으로 성곽을 이룬 삼방 지역으로 외부와의 교류가 원활하지 못하였다.
정읍시와 쌍치면의 경계 지점인 고당산(高堂山)[639.7m]에서 지맥이 서남쪽으로 뻗어 내려와 정읍시 용산동과 복흥면, 쌍치면의 경계 지점인 복룡재[530m]에서 동서 맥으로 갈라지면서 분지가 시작된다.
현황
2013년 10월 현재 복흥면의 면적은 73.73㎢로, 이중 경지 면적은 논 9.02㎢, 밭 4.41㎢, 임야 53.70㎢, 기타 35만 6128㎡이다.
인구는 1,096가구, 2,394명으로 남자가 1,143명, 여자가 1,251명이다.
17개 법정리와 32개 행정리, 52개 반의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700 고지가 넘는 분지로서 사방이 병풍처럼 둘러싸여 있어 공기 좋고 물 맑기로 유명해 ‘옥천 고을’이라고 불리며, 예부터 예와 의를 숭상하며 독특한 문화를 꽃피워 왔다.
대부분의 일반 농경지에서는 벼농사가 이루어지고, 산록과 완사면, 답토에서 주로 고추, 배추 등의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다.
많은 농가가 복분자, 오디, 오미자, 블루베리, 콩 등 중산간 고랭지 지역 특성에 맞는 다양한 소득 작물을 재배하며, 한우 사육 역시 소득 증대에 큰 몫을 차지하고 있다.
가장 한국적이면서도 특색 있는 장승을 주제로 한 ‘추령 장승 축제’와 국가 보물급인 천 년 고찰 구암사(龜岩寺)의 『월인석보(月印釋譜)』 권15,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가 수학하였던 낙덕정(樂德亭), 전라북도 산림 박물관, 광복 이후 초대 대법원장을 지낸 가인 김병로(金炳魯)의 생가가 있다.
김병로의 얼을 기리기 위해 지어진 대법원 가인 연수관이 2010년 7월 16일 개관하여 운영되고 있다.
기정진 선생 유허비(奇正鎭先生遺墟碑)가 있으며, 서편제의 창시자인 박유전(朴裕全) 명창의 생가 터 등 크고 작은 관광 자원이 자리 잡고 있다.
복흥면 정중앙 남동쪽 방향으로 복흥 보건 지소가 있는데, 한방과 양방, 치과 진료가 이루어지며, 동산 진료소와 답동 진료소가 있다.
복흥 초등학교와 복흥 중학교가 있으며, 면 소재지에서는 5일마다 장이 열려 제철 농산물이 거래된다.
복흥면 중앙으로 지방도 792호선이 지나며, 용면 쪽으로 지방도 897호선이 경유하고 있다.
답동에서 쌍치 쪽으로 국도 27호선이 지나가며, 장성에서 복흥면을 경유해 쌍치를 지나 정읍으로 가는 국가 지원 지방도 49호선이 개통되어 있다.
'四柱命理 風水地理 > 정경연의 풍수기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의령 남강 정암 (0) | 2021.01.20 |
---|---|
장성 홍길동테마파크 (0) | 2021.01.20 |
순창 복흥면 금방동 노사 기정진 조모 묘 (0) | 2021.01.20 |
장성 필암서원 (0) | 2021.01.19 |
순창 김시서 묘 (0) | 2021.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