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진도해
중완은 명치 아래의 겸상돌기와 배꼽 사이의 정중앙을 기준으로 잡는다
중완은 기준점을 중심으로 존재하는 영역이므로 상완, 하완, 양문, 승만, 태을 등의 주변 부위에서 경결과 압통이 확인돨 수도 있다
중완의 경결은 주로 식적을 의미한다
관원은 배꼽 아래로 3촌이고 석문은 배꼽 아래로 2촌에 위치하므로 위치를 정확하게 분별하기가 쉽지않다
따라서 석문과 관원의 복진은 위치로 구분하기는 어렵다
소장은 혈맥을 주관하므로 주로 어혈과 양허의 병리가 나타나므로 하복부의 경결과 압통, 냉감의 형태로 복진이 확인되는 경우가 많다
천추는 배꼽 좌우에 위치하는 복직근의 바로 바깥쪽을 기준으로 잡는다
천추는 대장의 병리를 반영한다
특히 대장수 주위의 통증을 호소하는 요통은 대장수의 압통과 경결보다는 천추의 압통과 경결이 확인되는 경우가 훨씬 더 많다
중극은 방광의 복모혈이다
중극과 곡골을 포함하는 치골 위쪽의 넓은 부위라고 생각하면 된다
중극의 압통과 경결은 방광의 병리를 의미하지만, 경락병의 경우에는 중극의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석문은 배꼽 아래로 2촌이고 관원은 배꼽 아래로 3촌에 위치하므로 위치를 정확하게 분별하기가 쉽지않다
따라서 석문과 관원의 복진은 위치로 구분하기는 어렵다
삼초는 수도의 소통불리로 인한 병리가 주로 나타 나므로 복진의 양상이 주로 복만과 압통의 형태로 확인되는 경우가 많다
전중은 심포의 복모혈이지만 삼초의 병리를 반영하는 중요한 부위이다
따라서 삼초의 병리에서는 석문과 전중의 복진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가 많다
총통침법에서 사용하는 일월은 7~8 늑간의 한 점이 아니며 일월을 포함한 흉협부를 의미한다
거궐 양 옆의 흉협부를 엄지손가락으로 지긋이 압박하여 압통과 경결을 확인한다
일월의 압통과 경결은 담의 병리를 의미한다
총통침법에서 사용하는 간의 복모혈은 소복이다
소복은 천추에서 복직근으로 이어지는 대거와 수도 정도의 부위를 중심으로 하는 넓은 영역이다
기문은 간의 병리상황에서도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지만 소복은 그 유의성이 상당히 높다
또한 소복은 음혈을 장하는 간의 생리에 부합하는 부위이다
소복의 압통과 경결은 간의 병리를 의미한다
거궐은 심장과 비장의 병리를 나타내므로 감별이 필요하다
또한 거궐은 심장의 병리로 인한 경우가 아니더라도 군화의 한열편차로 인한 오장의 양허와 열울로 인한 병리가 반영되는 부위이다
따라서 타 장부의 병리를 치료할 때에는 소부를 사용할 수 있는 변별점이 된다
전중은 심포와 삼초의 병리를 반영하는 부위이다
또한 상화의 한열편차로 인한 오장육부의 양허와 열울이 반영되는 곳이다
따라서 타 장부의 병리를 치료할 때에 노궁과 지구를 사용할 수 있는 변별점이 된다
장문은 11늑골 끝의 뾰족한 부분이다
중지로 장문을 누르고 상하로 비비면서 압통을 확인한다
거궐은 심장의 모혈이지만 비장의 생리반응이 잘 나타나는 부위이다
장문과 거궐의 압통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는 주로 비장의 양허 혹은 열울로 인한 병리를 나타낸다
엄지손가락으로 쇄골과 오구돌기 사이의 움푹한 부분인 중부를 촉진한다
폐의 열울, 수기, 담음 등의 병리에서는 반응이 뚜렷한 편이다
폐기허의 경우에는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간혹 있으니 백면, 성저, 오풍 등의 증상들을 감안하여 폐기허에 대처해야 한다
12늑골 끝에 위치한 경문을 기준으로 신수의 위치를 잡는다
경문에서 신수로 경결부위가 이동할 수록 병이 깊어진다
신수와 경문이 신장병을 확진하는 포인트이며 황수는 참고적으로 확인한다
신수와 경문의 복진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에도 황수의 압통이 확인될 수 있다
그런 경우에는 황수의 압통은 신장병을 의심할 수 있는 단서가 된다
'診斷學 > 촉진' 카테고리의 다른 글
AK 테스트 (0) | 2020.11.04 |
---|---|
12경락의 한열구분과 치료 (0) | 2020.05.09 |
복통 위치별 복진 (0) | 2020.05.06 |
복통(腹痛)의 위치로 병증(病症)을 구분 (0) | 2020.04.06 |
유방암 자가진단법 (0) | 2017.0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