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아지풀
개꼬리풀이라고도 하며, 한자로는 구미초(狗尾草)라고 한다. 길가나 들에서 자란다. 줄기는 20∼70cm로 뭉쳐나고 가지를 치며 털이 없고 마디가 다소 길다.
잎의 길이는 5∼20cm, 너비 5∼20mm로 밑부분은 잎집이 되며, 가장자리에 잎혀와 줄로 돋은 털이 있다.
꽃은 한여름에 피고 원주형의 꽃이삭은 길이 2∼5cm로서 연한 녹색 또는 자주색이다.
작은가지는 길이 6∼8mm로 퍼지고 가시 같다. 종
자는 구황식물로 이용되었으며, 민간에서는 9월에 뿌리를 캐어 촌충구제용으로 쓰인다.
한방에서는 여름에 전초를 채취하여 말린 것을 약용으로 사용한다. 전국적으로 분포한다.
유사종으로 갯강아지풀(var. pachystachys)은 잔가지의 센털이 길고 밀생하여 잔이삭이 뚜렷하지 않으며 바닷가에서 자란다.
수강아지풀(var. gigantea)은 조와 강아지풀의 잡종이다.
자주강아지풀(for. purpurascens)은 꽃이삭에 달린 털이 자줏빛이며 구별하지 않고 강아지풀로 취급하기도 한다.
잎
잎은 마디마디에 1장씩 달리며 길이는 5~20cm, 나비는 0.5~2cm 정도이다.
꽃
꽃은 여름철에 줄기의 끝에 달리는 이삭꽃차례에 모여서 피는데 긴 털이 달려있어서 강아지 꼬리처럼 부드럽다.
꽃차례는 원주상(원기둥모양)이고 털의 길이는 낱꽃의 2~5배로 매우 길다.
연한 초록색 또는 자주색 꽃은 여름철에 줄기 끝에 달리는 이삭 꽃차례에 모여 피는데, 꽃차례는 길이가 2~5cm 정도이고 모든 꽃에는 약간 긴 털들이 달려 있어 강아지 꼬리처럼 부드럽다. 크기는 약 30cm~1.2m 정도로, 가장 큰 강아지풀은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아이와 키가 같을 정도로 상당히 크다.
열매
잔이삭은 길이 2mm정도이고 한 개의 낱꽃으로 이루어지며, 첫째 포영(낱꽃을 받치고 있는 조각)은 짧으나 둘째 포영은 잔이삭과 길이가 같고 낱꽃을 완전히 감싸고 있다.
줄기
뿌리에서 몇 개의 줄기가 곧추서서 나온다.
구별하기
비슷한 종으로 금강아지풀이 있는데 강아지풀과 서로 크게 다른 점으로는 꽃이삭의 모양과 색깔이다.
강아지풀은 이삭에 있는 털의 색깔이 연한 녹색이고 다 자라면 이삭이 밑으로 쳐지는 반면, 금강아지풀은 털의 색깔이 황금색이고 다 자라도 이삭이 곧게 서있다.
강아지풀과 비슷한 식물로 금강아지풀과 밭에 심는 작물인 조가 있다.
금강아지풀은 꽃에 달린 털이 금색을 띠어 해를 받으면 빛이 나는 것처럼 보이며, 조는 털이 없고 알이 굵은 강아지풀이 밑으로 축 쳐진 모양새이다.
이 외에도 유사종으로 갯강아지풀과 수강아지풀이 있는데, 갯강아지풀은 가지의 센털이 길고 바닷가에서 자란다는 특징이 있으며 수강아지풀은 조와 강아지풀 사이에서 나온 잡종이다.
전해지는 이야기
“강아지풀”이란 이름은 이삭(꽃)의 모양이 강아지의 꼬리를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시골에 사는 어린이들은 강아지풀을 꺾어서 들고 다니며 친구들의 목 부분에 서로 간지럼을 피우며 놀기도 한다.
일본에서는 강아지풀을 고양이 앞에서 흔들면 고양이가 재롱을 부린다고 해서 ‘고양이풀’이라고 도 부른다.
용도
흉년이 들었을 때 굶주림에서 벗어나기 위해 농작물 대신 심는 구황식물로 알려져 있으며, 9월에 뿌리를 캐어 말려서 촌충을 없애는 데 쓰기도 한다.
이 밖에도 가축을 위한 사료용으로 쓰거나 여름과 가을, 겨울에 채취해서 햇빛에 잘 말려 썰어서 약으로 쓰기도 한다.
약용으로 쓸 경우 소량의 강아지풀을 달여서 복용하면 열을 내릴 때나 풍의 한 종류인 외풍을 제거할 때, 붓기를 가라앉힐 때 등에 효과를 볼 수 있다.
강아지풀은 조와 비슷하게 생겼으며 흉년이 들었을 때 굶주림에서 벗어나기 위해 먹기도 했던 구황식물(救荒植物)로 알려져 있다. 식량이 떨어지고 먹을 것이 없으면 강아지풀 씨를 받아 죽을 끓여서 먹기도 했다고 한다.
한방에서는 구미초(狗尾草) 또는 낭미초(狼尾草) 라고도 부르며, 열독을 풀어주는 작용이 있어 충혈된 눈을 치료하는데 사용한다.
민간에서는 9월에 뿌리를 캐어 말려서 촌충을 없애는 약재로 쓰기도 한다.
민감체질, 옹종, 일체안병, 종독, 해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