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막살나무
산허리 아래의 숲속에서 자란다.
높이는 3m 정도이고 잎은 마주나며 둥글거나 넓고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으로, 톱니가 있다.
잎 뒷면에 액을 분비하는 선점이 있고 양면에 별 모양 털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6~20mm이고 턱잎은 없다.
꽃은 흰색이며, 6월에 잎이 달린 가지 끝이나 줄기 끝에 취산꽃차례로 핀다.
열매는 달걀 모양 핵과로 10월에 붉게 익는다.
유사종으로 어린 가지와 꽃이삭에 점과 짧은 털이 있으나 별모양 털이 없는 것을 털가막살나무(for. hispidum)라고 한다.
관상수로 정원에 심으며 울타리 ·방화수로 이용한다.
한국(제주)·일본·타이완·중국·인도 등지에 분포한다.
잎
잎은 마주나기하며 아원형이고 넓은 달걀형이며 좁아지는 점첨두, 원저 또는 아심장저로 길이와 폭이 각 6 ~ 11cm × 4.5 ~ 10.5cm로, 양면에 별모양 털이 있고 뒷면에 샘이있으며 잎자루 길이는 6 ~ 20mm로 턱잎이 없다.
꽃
꽃은 5월에 피고 복우상모양꽃차례는 밑부분에 1쌍의 잎이 달린 짧은 가지 끝에 달리며, 지름 8 ~ 12mm로 성모와 샘이 있고, 꽃 지름은 5 ~ 6mm이며 백색이다 .
열매
열매는 넓은 달걀형이며 지름이 8mm이고 붉은색으로 9월 중순 ~ 10월 초에 성숙한다.
줄기
햇가지는 회색빛 도는 녹색을 띠다가 점차 검붉어진다.
묵으면 밝은 갈색을 띤다. 별 모양으로 갈라진 잔털과 기름점이 있다.
나무껍질에 껍질눈이 있으며, 전체에 거친 털이 있고 일년생가지는 회록색 성모와 선점이 있다.
용도
관상용, 식용에 쓰이고 관상수 및 열매에 산미가 있어 식용합니다.
가막살 나무의 열매는 붉게 익습니다.
한방에서는 협미자(협미자) 로 부르는데 이 협미의 주성분과 가막살나무의 기름성분에 대해서는 지금도 많은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만
협미로 술을 담가 먹으면 피로회복에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원기회복에 좋습니다.
협미주는 보통 협미를 유리병에 25%가량 담고 소주를 함께 가득 채운되 설탕을 약간 넣어 냉암소에 보관해두고 마시면 됩니다.
인동과의 가막살나무는 일본 , 중국 및 우리나라 제주도 , 남부지방, 중부지방, 황해도 이남의 해발 100~1400m지역 산복이하(山腹以下) 수렴 속에 자생합니다.
다른 이름으로 탐춘화(探春花), 협채(莢菜), 해아권두(孩兒拳頭), 롱선(弄先), 협봉(莢蓬), 산리아(山梨兒), 주자(酒子)라고도 부릅니다.
갈잎 떨기나무인 가막살나무의 어원은 알 수 없습니다. 한자이름은 탐춘화(探春花)로 하얀 꽃을 강조합니다.
전국시대 제나라에는 산에 올라가 발달나무를 베는데 가막살나무를 먼저 벤다는 속담이 있었습니다.
박달나무와 가막살나무가 닮았고 박달나무보다는 가막살나무가 더 흔하기 때문에 베고 나면 가막살 나무라는 뜻입니다.
가막살나무의 기원은 유라시아 쪽이지만 북아메리카 원주민들도 가막살나무를 관상수로 심었던 기억이 있어 서양인들은 중국풍 정원을 꾸밀 때 이 가막살 나무를 활용합니다.
툰베르크가 붙인 학명 중 속명은 아왜나무와 같지만 그 뜻은 알 수 없습니다.
종소명 딜라타툼(dilataum)은 "넓어진“ 이라는 뜻으로 넓은 잎을 강조한 것 입니다.
가막살나무는 낙엽관목이며 높이 3m안팎이고 어린가지에 성모와 선점이 있습니다.
잎은 대생하고 아원형, 난상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며 갑자기 좁아진 점첨두(漸尖頭)이고 원저 또는 아심장저 (亞心臟底)이며 길이 6~12cm로서 양면에 성모가 있고 뒷면에 선점이 있으며 톱니가 드문드문 있고 엽병은 길이 6~20mm이며 탁엽이 없습니다.
5월에 꽃이 피고 꽃은 백색이며 취산화서는 밑 부분에 1쌍의 잎이 달린 짧은 가지 끝에 달리고 지름 8~12cm로서 성모와 선점이 있으며 꽃은 지름 5~6mm이고 열편은 둥글며 화관에 성모가 있고 수술이 화관보다 깁니다.
9월에 열매가 성숙되면 핵과는 넓은 난형이며 지름 8mm이고 붉은색으로 익습니다.
여러 가지 화서에 지점과 단모는 있으나 성모가 없는 것을 털 가막살나무라고 합니다.
덜꿩나무의 꽃과는 거의 구분하기 힘들 만큼 비슷한데 덜꿩나무의 꽃이 눈부시도록 희다면 가막살나무의 꽃은 그보다는 약간 차분한 흰빛입니다
또 하나의 구분법은 덜꿩 나무의 잎겨드랑이에는 가시 모양의 탁엽이 있는데 가막살 나무에는 그것이 없습니다.
역사학자 마유즈미 히로미치에 따르면 일본에서 신석기 시대에 술독으로 사용했던 유물이 발견되었는데 그 안에 가막살나무 , 꾸지나무 등 의 열매가 들어 있었다고 합니다.
일본 고대 원시인들이 과실주를 담가 먹었는데 가막살 열매가 비교적 발효가 잘되었기 때문이라는 것이 학계의 의견입니다.
수렵과 노동에 지친 신석기인들이 저녁 무렵 가족이나 친지끼리 모여 협미자주를 한 국자씩 떠서 먹으며 피로를 풀었다고 생각하니 직접 술을 담가서 한번 마셔보고 싶은 마음이 들기도 합니다.
가막살나무에 대해서 안덕균의 <한국본초도감> 230면 273호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가막살나무는 햇볕을 좋아 하며 내한성, 내 공해성이 뛰어난 가막살나무는 몇 개의 줄기가 많은 가지를 만들어냅니다.
그 때문인지 북아메리카 농부의 인디언들은 가막살나무로 화살을 만들었습니다.
가막살나무는 꽃도 아름다울 뿐 아니라 꽃말은 더 인상적입니다.“사랑은 죽음보다 강하다” 그런 까닭에 문학작품에 많이 인용되는 나무가 가막살나무입니다.
실생법, 분주법, 삽목법으로 번식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