老巨樹 保護樹 記念物/樹木 圖鑑

담쟁이

초암 정만순 2019. 6. 5. 20:18



담쟁이






학명은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 et Z.) PLANCH.이다.

길이는 10m 이상 자라며 가지가 많이 갈라진다.

덩굴손은 잎과 마주나고 갈라져서 끝에 둥근 흡착근()이 생기는데, 이것은 붙으면 잘 떨어지지 않는다.

잎은 넓은 난형으로 어긋나며, 너비 10㎝에 끝이 3개로 갈라진다.

잎자루는 잎보다 길며, 어린가지의 잎은 3개의 소엽으로 된 복엽이다.

꽃은 6∼7월에 황록색으로 피며 열매는 장과(漿)로 8∼10월에 검게 익는다.

이 식물은 돌담이나 바위 또는 나무줄기에 붙어서 사는데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서 자란다.

주로 미관을 위하여 건물이나 담 밑에 심으며, 또 잎이 다섯 장인 미국담쟁이덩굴은 관상용으로 많이 심는다.




줄기


덩굴성 목본으로 덩굴손은 잎과 마주나며(), 개구리 발가락처럼 생긴 덩굴손 끝부분에 흡반()이 있고, 줄기에 수피()가 발달할 때면 기근()를 만들기도 한다.



어긋나며(), 길이와 너비가 비슷하고, 형태가 다양하며, 가을 단풍이 아름답다.


6~7월에 황녹색으로 피며, 고른우산살송이모양꽃차례()다.



열매


물열매(漿)로 구슬모양()이며, 8~10월에 흑색으로 익는다.

열매는 한 방향으로 매달리며, 이듬해까지 가지에 매달려 있다. 동물산포(주로 조류)로 퍼져나간다.


용도


약용 : 적용증상 및 효능

거풍, 경혈, 구건, 구창, 근골동통, 금창, 이완출혈, 제습, 종기, 종창, 종통, 지구역, 지통, 지혈, 치통, 통경, 편두통, 피부염,

허약체질, 활혈



담쟁이덩굴은 돌담이나 바위 또는 나무줄기, 심지어 매끄러운 벽돌까지 가리지 않고 다른 물체에 붙어서 자라는 덩굴나무다.

줄기에서 잎과 마주하면서 돋아나는 공기뿌리의 끝이 작은 빨판처럼 생겨서 아무 곳에나 착 달라붙는 편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벽면(壁面)에 붙어 자라는 모양새를 보면 재미있다.

대체로 식물의 뿌리는 중력과 같은 방향인 땅속으로 자라고 줄기는 중력과 반대 방향인 위로 자란다.

그러나 담쟁이덩굴의 줄기는 이런 규칙을 꼭 따르지는 않는다.

공간이 비면 위나 옆은 물론 아래쪽으로 뻗는 것도 주저하지 않는다.

 나무이름은 흔히 담장에 잘 붙어서 자란다고 하여 ‘담장의 덩굴’이라고 부르다가 ‘담쟁이덩굴’이 되었다.

한자 이름은 돌담에 이어 자란다는 뜻으로 ‘낙석(洛石)’이라고 하여 같은 뜻이다.

옛 양반가를 둘러치는 토담에는 담쟁이덩굴이 올라가 있어야 제대로 된 고풍스런 맛이 난다.

그러나 토담에서 시멘트 담으로 넘어오면서 담쟁이덩굴은 차츰 퇴출당했다.

줄장미와 능소화가 담장의 나무를 대신하였고, 담쟁이덩굴은 숲속의 나무 등걸을 타는 원래의 자리로 되돌아갔다.


담쟁이덩굴은 담이 아니더라도 회색빛 콘크리트 건물을 뒤덮으면 건물의 품위도 올라가고 아울러서 중요한 역할도 할 수 있다. 여름에 햇빛을 차단하여 냉방비를 30퍼센트 정도 줄일 수 있으니 요즘처럼 온 나라가 에너지 문제로 난리일 때는 더욱 그 역할이 돋보인다.

겨울에는 잎이 떨어져 햇빛을 받는데 아무런 지장이 없다.

미국이 자랑하는 단편작가 오 헨리의 〈마지막 잎새〉는 우리에게 잔잔한 감동을 준다.

가난한 화가 지망생인 존시는 폐렴에 걸려 죽어가고 있으면서, 이웃집 담쟁이덩굴의 잎이 모두 떨어지면 자신의 생명도 다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비바람이 휘몰아친 다음날 틀림없이 나목(裸木)으로 있어야 할 담쟁이덩굴에 마지막 잎새 하나가 그대로 붙어 있는 것을 보고 다시 삶의 의욕을 갖게 된다.

기운을 차린 존시에게 친구인 수우가 ‘그 마지막 잎새는 불우한 이웃의 늙은 화가가 밤을 새워 담벼락에 그려 넣은 진짜 이 세상의 마지막 잎새’임을 일러주는 내용이다.

담쟁이덩굴 잎은 가을이 되면 단풍나무를 시샘이라도 하듯 붉은 단풍이 아름답게 든다.

이 담쟁이덩굴의 단풍은 단번에 잎을 떨어뜨리게 하는 ‘떨켜’가 잘 생기지 않으므로 바로 떨어지지 않고 겨울에 들어서야 떨어진다.


조선조의 선비들은 담쟁이덩굴이 다른 물체에 붙어서 자라는 것을 두고 비열한 식물로 비하했다.

인조 14년(1636)에 김익희란 이가 올린 상소문에 보면 “빼어나기가 송백(松柏)과 같고 깨끗하기가 빙옥(氷玉)과 같은 자는 반드시 군자이고 빌붙기를 등나무나 담쟁이같이 하고 엉겨 붙기를 뱀이나 지렁이같이 하는 자는 반드시 소인일 것이요”라고 하여 담쟁이덩굴은 등나무와 함께 가장 멸시하던 소인배에 비유했다.

담쟁이덩굴의 오래된 줄기는 회갈색인데, 발목 굵기 정도까지 자라기도 한다.

잎은 어긋나기로 달리고 넓은 달걀모양이며, 끝이 세 개로 깊이 갈라지는 것이 보통이나 얕게 갈라지기도 하여 모양이 여러 가지다.

잎의 크기는 아기 손바닥만 하며,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가 매우 길다.

꽃은 암꽃과 수꽃이 따로 피는데, 초여름에 황록색으로 핀다. 열매는 작은 포도 알처럼 열리고 하얀 가루로 덮여 있으며, 검은빛으로 익어서 포도와 같은 집안임을 금세 알 수 있다.

최근에는 담쟁이덩굴과 꼭 닮은 미국담쟁이덩굴을 많이 심고 있다.

잎이 다섯으로 갈라지는 겹잎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는 것이 재래종 담쟁이덩굴과의 차이점이다.


《동의보감》에 보면 “작은 부스럼이 잘 낫지 않는 데와 목 안과 혀가 부은 것, 쇠붙이에 상한 것 등에 쓰며 뱀독으로 가슴이 답답한 것을 없애고 입안이 마르고 혀가 타는 것 등을 치료한다”라고 하였으며, 잔뿌리가 내려 바위에 달라붙어 있으며, 잎이 잘고 둥근 것이 좋다고 한다.



담쟁이덩굴은 덩굴식물로 분류되지만, 실제로는 감고 올라가는 형태가 아니라, 타고 오르는 구조다.

칡이나 등나무처럼 이웃하는 식물을 죽이거나 생육에 지장을 주는 방식은 아니다.

덩굴손이라고 부르지만 흡반(, sticky pad) 구조로 영락없는 청개구리 발가락처럼 생겼다.

끝이 다른 물체에 달라붙을 수 있는 구조여서, 감지 않고 달라붙어 기어오른다.

그런 메커니즘이 완전히 규명되진 않았지만, 청개구리 발바닥과 비슷한 방식일 것으로 추정된다.

모든 물체 표면에서 그리고 평면이건 수직이건 어떤 방향으로든 줄기를 뻗어서 큰 다발을 만드는 게릴라전략을 구사한다.

모듈성(modularity)이 탁월하다는 의미다.

담쟁이덩굴 한 포기를 화단에 심으면, 건물 벽을 따라 사방으로 퍼진다.

일본명 쭈다(, 조)는 물체를 따라서 뭔가 전달한다()는 뜻의 일본말 쭈다와루(わる)에서 유래한다고 한다. 담쟁이덩굴의 그런 특성을 드러내는 명칭이다.


담쟁이덩굴은 나무()이기 때문에 성장하면서 수피가 발달하고 줄기도 아주 굵어진다.

늙은 담쟁이덩굴은 줄기 마디에서 공기뿌리()을 낸다.

그래서 건물의 외벽이 풍화되는 문제를 지적하는 사람도 있지만, 흙이나 나무로 된 벽체이면 영향이 있을 것이나, 콘크리트나 벽돌로 된 건물은 우려할 바가 아니다.

오히려 비생물적인 잿빛 도시에서 담쟁이덩굴은 건물 복사열 저감()효과가 아주 크고, 열매는 야생 조류나 설치류에게 훌륭한 먹이가 되고, 정서적, 심미적 편안함을 제공하며 녹색갈증(biophilia) 해소에 도움을 주는 등, 생태계서비스(ecosystem service) 기능이 매우 크다.

담쟁이덩굴의 덩굴은 마주 난 잎의 한 쪽이 변형된 것이다.

잎이 난 마디에서 덩굴손은 연속해서 생겨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덩굴손이 계속 나 있는 마디 중 세 번째 마디에는 잎만 있고, 마주 나야할 덩굴손은 없다. 퇴화한 것이다.

마디마다 덩굴손이 모두 있을 필요가 없어진 것이다.

그만큼 흡반()의 기능이 우수하다는 의미이기도 하다.

붙어 기댈 물체가 무엇이냐에 따라서 그에 대응해 덩굴손과 기근()이 적절하게 발달하며, 어떤 외부적인 환경변화에도 한번 정착한 개체군은 쉽게 사라지지 않는다.

한자명(, 파산호)은 그런 의미를 담고 있다.

‘산에서 기어 다니는() 모진(매서운) 풀’로 한번 정착하면 좀처럼 죽지 않는다는 뜻이다.

그러나 담쟁이덩굴은 반드시 건조하지 않은 흙에서만 정상적으로 뿌리를 내리고, 건조해지면 죽는다.

그러나 지상부의 식물체는 바위 위에서와 같이 직사광선이 내리쬐고 복사열이 심해서 극단적으로 건조한 개방입지에서도 잘 견딘다.

그래서 도시의 건물 외벽을 피복()하기에 아주 적합한 자원식물이다.

담쟁이덩굴 종류는 동아시아와 북미 동부지역에만 자생하며, 모두 유용한 조경식물로 이용된다.

우리의 경우, 오래된 토담이나 돌담과 어우러져 정겨운 전통 마을의 풍광을 창출한다.

담쟁이덩굴은 영어로 보스턴 아이비이다.

뉴욕, 보스턴 일대는 미국담쟁이가 흔하다.

영미소설 오 헨리의 『마지막 잎새』도 그곳에서 탄생했다.

아이비(ivy)는 상록인 송악 종류(Hedera spp.)를 지칭하고, 하록()인 담쟁이덩굴과 속()이 전혀 다르다.


담쟁이덩굴은 울타리(담)에 기어오르며 사는 덩굴이란 순수 우리말로, 처음부터 담쟝이, 담장이덩클, 담장이넝굴 따위로 불러왔다.

담쟝이란 이름은 울타리의 ‘담’과 접미사 ‘장이’의 합성어로 ‘담에 붙어사는 녀석’이란 의미다.

속명 파르테노치수스(Parthenocissus)는 희랍어의 처녀(parthenos)와 덩굴(kissos)의 합성어다.

꽃가루받이 없이도 종자를 생산하는 담쟁이덩굴의 처녀생식()으로부터 유래한다.

종소명 트리쿠스피다타(tricuspidata)는 잎 끝이 세 갈래로 갈라진 모양에서 유래하는 라틴어다.




'老巨樹 保護樹 記念物 > 樹木 圖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딸기나무  (0) 2019.06.05
개옻나무  (0) 2019.06.05
오리나무  (0) 2019.06.05
아왜나무  (0) 2019.06.03
개오동나무  (0) 2019.06.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