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부상통(五臟別通)
太陽(開) | 少陽(樞) | 陽明(闔) | |||
방광(足) | 소장(手) | 담(足) | 삼초(手) | 위(足) | 대장(手) |
폐(手) | 비(足) | 심(手) | 신(足) | 심포(手) | 간(足) |
太陰(開) | 少陰(樞) | 劂陰(闔) |
五行別通
肝與大陽通 : 肝病宜疎導大腸 大腸病宜平肝爲主
脾與小腸通 : 脾病宜泄小腸火 小腸病宜潤脾爲主
肺與膀胱通 : 肺病宜淸利膀胱 膀胱病宜淸肺氣爲主
腎與三焦通 : 腎病宜調三焦 三焦病宜補腎爲主
<해설 1>
肝與大陽通 : 肝病宜疎導大腸 大腸病宜平肝爲主
간과 대장은 통한다 : 간병은 마땅히 대장을 막힘없히 통하게 해야 하고,
대장병은 마땅히 간을 평온하게 하는것을 위주로 해야 한다.
* 宣 : 마땅히 ~해야 한다.
* 疎導 : 막히지 아니하고 잘 통하게 하다.
* 平 : 평온하게 하다.
脾與小腸通 : 脾病宜泄小腸火 小腸病宜潤脾爲主
비와 소장은 통한다 : 비병은 마땅히 소장화를 사해야 하고 ,
소장병은 마땅히 비를 윤활하게 (부드럽게) 함을 위주로 해야 한다.
肺與膀胱通 : 肺病宜淸利膀胱 膀胱病宜淸肺氣爲主
폐와 방광은 통한다 : 폐병은 마땅히 방광을 청정해야 하고,
방광병은 마땅히 폐를 맑게 함을 위주로 해야 한다.
腎與三焦通 : 腎病宜調三焦 三焦病宜補腎爲主
신과 삼초는 통한다 : 신병은 마땅히 삼초를 조절해야 하고,
삼초는 신장을 보양하는것을 위주로 해야 한다.
이번에는 장부 상통관계를 암기라기 보다는, 쉽게 추론하는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
우선 다음 표를 잘 살펴 보십시오.
太陽(開) | 少陽(樞) | 陽明(闔) | |||
방광(足) | 소장(手) | 담(足) | 삼초(手) | 위(足) | 대장(手) |
폐(手) | 비(足) | 심(手) | 신(足) | 심포(手) | 간(足) |
太陰(開) | 少陰(樞) | 劂陰(闔) |
위 표에서 우선 알아둘 것은 색깔이 같은 것끼리 상통관계라는 점입니다.
그 다음에, 왼 손을 기준으로 하여
1지 --- 목 간(내측) 담(외측)
2지 --- 군화 심(내측) 소장(외측)
3지 --- 토 비(내측) 위(외측)
4지 --- 금 폐(내측) 대장(외측)
5지 --- 수 신(내측) 방광(외측)
손바닥 --상화 심포(내측)
손등 --- 상화 삼초(외측)으로 배정하여 이를 토대로 합니다.
1) 그 다음에 우선 담-심의 관계를 손에서 살펴 보면 이웃한 손가락에 앞뒤가 바뀌어 있습니다.
즉 젓가락 같은 물건을 가지고 담과 심의 위치에 해당되는 손가락에 대어 보면,
엄지 손가락의 뒷면과 검지 손가락의 앞면으로 젓가락이 닿아서 이어지게 됩니다.
2) 또 같은 방식으로 소장과 비를 연결해 보면 검지 손가락의 뒷면과 중지의 앞면이 이어지게 됩니다.
3) 또 같은 방식으로 폐와 방광을 연결해 보면 4지의 앞면과 5지의 뒷면이 이어지게 됩니다.
4) 또 같은 방식으로 신과 삼초를 연결해 보면 5지의 앞면과 손등(뒷면)이 이어지게 됩니다.
이때 손등은 마치 6번째 손가락이 있는 것처럼 생각하면 이해가 쉬울 수 있습니다.
5) 이상과 같이 하고 나면 남는 것이 위-심포의 상통 관계와 간-대장의 상통관계 2가지 뿐입니다.
그런데, 식사를 하다가도 기분이 나쁘면 즉시 속이 안좋아진다는 점을 고려할 때
위는 심포와 직결된 것으로서 위-심포가 상통한다고 기억하시면 됩니다.
6) 마지막으로 간- 대장의 상통관계는 중풍 환자의 대부분이 극심한 변비라는 점을 기억하시면 될 겁니다.
즉 간의 문제인 중풍이 대장의 문제인 변비를 수반한다는 점을 기억하라는 겁니다.
(극심한 변비는 대장 처방으로 되지 않고, 간 처방으로 처리 된다는 점도 기억하시면 좋지요)
결국 이상과 같이 외우면, 12개 장부의 상통관계가 저절로 기억될 수 있습니다.
평소에 외워두고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필요할 때 왼 손을 펴서 상호관계를 추론하여 계산을 해 내는 것이지요.
그리고 이처럼 계속하여 사용하다 보면, 어느 덧 12개 장부의 상통관계가 저절로 외워지는 날이 옵니다.
'鍼灸 小考 > 침구 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원혈의 의미와 침의 운용법 (0) | 2017.07.23 |
---|---|
6대 관절론 (0) | 2017.07.18 |
통증(痛證)이란 무엇인가? (0) | 2017.05.16 |
한침 사용 소고 (0) | 2017.03.20 |
침술 치료원리 (0) | 2017.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