鍼灸 小考/사암오행침

폐실증(肺實證)의 활용

초암 정만순 2017. 1. 2. 18:22



폐실증(肺實證)의 활용


1), 풍한속표(風寒束表)
① 원인(原因) : 폐위표한증(肺衛表寒證). 폐(肺)가 한사(寒邪)에 의해 속박(束縛)되어 폐기하의(肺氣下宜)하고 표위(表衛)가 불고(不固)
② 주요증상(主要症狀) : 해천(咳喘), 묽은 가래를 많이 밷어내며 표한증(表寒症)이 나타남. 오한(惡寒), 두통(頭痛), 재치기, 비류청체(鼻流淸涕), 발열(發熱), 두신통(頭身痛), 두통(頭痛), 콧물, 신체통(身體痛), 해수(咳嗽), 천(喘), 담(痰)은 많으면서 희박(稀薄)하다.
* 설태(舌苔) : 백(白).
* 맥상(脈象) : 부(浮) / 부긴(浮緊)
③ 자침응용.
ⓐ 폐사(肺瀉) : 음곡(陰谷),척택(尺澤)을 "선사"하고, 소부(少府),어제(魚際)를 "후보"한다.
ⓑ 신사(腎瀉) : 태돈(太敦), 용천(湧泉)를 "선사"하고, 태백(太白), 태계(太谿) 를 "후보"한다.
ⓒ 심보(心補) : 태돈(太敦), 소충(少衝)을 "선보"하고, 음곡(陰谷), 소해(少海)를 "후사" 한다.
ⓓ 간보(肝補) : 음곡(陰谷), 곡천(曲泉)을 "선보"하고, 경거(經渠), 중봉(中封)를 "후사"한다.
ⓔ 육기(六氣)[위보(胃補)] : 족임읍(足臨泣), 함곡(陷谷)을 "선보"하고, 상양(商陽), 여태( 兌)를 "후사"한다.
(참고) ;
(a),소상(少商)/태연(太淵),은백(隱白),태백(太白).열결(列缺)/공최(孔最),공손(公孫)/지기(地機)/음능천(陰陵泉)중 압통혈(壓痛穴) 및 필요혈에 자침한다.
(b),상합치료(相合治療)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표리관계를 다스린다.
(c),상합(相合)과 교상합(交相合)[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수족관계(手足關係)로 교상합(交相合)]의 복합치료를 한다.

2) 한사범폐(寒邪犯肺).
① 원인(原因) : 한사(寒邪)가 폐(肺)를 침범(侵犯).
② 한사범폐(寒邪犯肺)의 주요증상(主要症狀) : 해수(咳嗽), 호흡곤난(呼吸困難), 묽은담(痰), 흉고(胸苦)
* 설태(舌苔):백(白).
* 맥상(脈象):긴(緊).
③ 자침응용 : 경증(輕症).
ⓐ 폐보(肺補) : 태백(太白), 태연(太淵)을 "선보"하고, 소부(少府),어제(魚際)를 "후사"한다.
ⓑ 비보(脾補) : 소부(少府), 태도(太都)을 "선보"하고, 태돈(太敦), 은백(隱白)를 "후사"한다.
ⓒ 심사(心瀉) : 태백(太白), 신문(神門)을 "선사"하고, 음곡(陰谷), 소해(少海)를 "후보"한다,
ⓓ 간사(肝瀉) : 소부(少府), 행간(行間)을 "선사"하고, 경거(經渠), 중봉(中封)를 "후보"한다,
ⓔ 육기(六氣)[위보(胃補)] : 양곡(陽谷), 해계(解谿)을 "선보"하고, 족임읍(足臨泣), 함곡(陷谷)를 "후사"한다.
(참고) ;
(a), 소상(少商),은백(隱白).열결(列缺)/공최(孔最)/척택(尺澤),공손(公孫)/지기(地機)/음능천(陰陵泉)중 압통혈(壓痛穴) 및 필요혈을 자침한다.
(b), 상합치료(相合治療)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표리관계(表裏關係)를 다스린다.
(c),상합(相合)과 교상합(交相合)[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수족관계(手足關係)로 교상합(交相合)]의 복합치료 한다.
④ 자침응용 : 중증(重症).
ⓐ 폐한(肺寒)은 보해야 하니 발열(發熱)해야 하므로 소부(少府), 어제(魚際)을 "선보"하고, 음곡(陰谷),척택(尺澤)를 "후사"한다.
ⓑ 신한(腎寒)은 보해야 하니 발열(發熱)해야 하므로 소부(少府), 연곡(然谷)을 "선보"하고, 음곡(陰谷), 척택(尺澤)를 "후사"한다.
ⓒ 심열(心熱)은 사해야 하니 퇴열(退熱)해야 하므로 소부(少府), 연곡(然谷)을 "선사"하고, 소해(少海), 음곡(陰谷)를 "후보"한다.
ⓓ 간열(肝熱)은 사해야 하니 퇴열(退熱)해야 하므로 태충(太衝), 태백(太白)을 "선사"하고, 음곡(陰谷), 곡천(曲泉)를 "후보"한다.
ⓔ 육기(六氣)[위한(胃寒)은 보해야 하니 발열(發熱)해야 하므로 해계(解谿), 양곡(陽谷)을 "선보"하고, 내정(內庭), 통곡(通谷)를 "후사"한다.
(참고) ;
(a), 소상(少商),태연(太淵),은백(隱白),태백(太白). 열결(列缺)/공최(孔最),공손(公孫)/지기(地機)/음능천(陰陵泉)중 압통혈(壓痛穴) 및 필요혈에 자침한다.
(b), 상합치료(相合治療)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표리관계(表裏關係)를 다스린다.
(c), 상합(相合)과 교상합(交相合)[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수족관계(手足關係)로 교상합(交相合)]의 복합치료 한다.

3), 풍열범폐(風熱犯肺).
① 원인(原因) : 외감풍열(外感風熱), 사범폐위(邪犯肺衛)
② 주요증상(主要症狀) : 호흡(呼吸)이 거칠며 빨라진다. 기침(氣侵)소리가 크다. 진득진득한 황담(黃痰), 오풍발열(惡風發熱), 인통(咽痛 : 편도선염(扁桃腺炎), 두통(頭痛), 구갈(口渴)
* 설질(舌質) : 홍(紅)/황색(黃色).
* 맥상(脈象) : 부삭(浮數)
③ 자침응용(刺鍼應用)
ⓐ 폐열(肺熱)→퇴열(退熱) : 태백(太白), 태연(太淵)을 "선사"하고, 척택(尺澤), 음곡(陰谷)를 "후보"한다.
ⓑ 신열(腎熱)→퇴열(退熱) : 태백(太白), 태계(太谿)을 "선사"하고, 음곡(陰谷), 소해(少海)를 "후보"한다.
ⓒ 심한(心寒)→발열(發熱) : 소부(少府), 연곡(然谷)을 "선보"하고, 음곡(陰谷), 소해(少海)를 "후사"한다.
ⓓ 간한(肝寒)→발열(發熱) : 행간(行間), 소부(少府)을 "선보"하고, 음곡(陰谷), 곡천(曲泉)를 "후사"한다.
ⓔ 육기(六氣)[위열(胃熱)→퇴열(退熱)] : 족삼리(足三里), 위중(委中)을 "선사"하고, 내정(內庭), 통곡(通谷)를 "후보"한다.
(참고) ;
(a), 소상(少商),은백(隱白).열결(列缺)/공최(孔最),공손(公孫)/지기(地機)/음능천(陰陵泉)중 압통혈(壓痛穴) 및 필요혈에 자침한다.
(b), 상합치료(相合治療)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표리관계를 다스린다.
(c), 상합(相合)과 교상합(交相合)[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수족관계(手足關係)로 교상합(交相合)]의 복합치료 한다.

4) 열사범폐(熱邪犯肺).
① 원인(原因) : 사열(邪熱)이 폐(肺)를 침범(侵犯)하여 선발기능(宣發機能)과 숙강기능(肅降機能)의 실조(失調)
② 주요증상(主要症狀) : 해수(咳嗽), 호흡곤란(呼吸困難), 황색담(黃色痰), 코에서 열기 가남, 담(痰)이 잘 떠러지지 않는다. 담(痰)과 콧물이 진득진득하고 황색(黃色), 인건통(咽乾痛), 대변건결(大便乾結), 흉통(胸痛)
* 설질(舌質) : 홍(紅), 설태(舌苔) : 황조(黃燥).
* 맥상(脈象):삭(數).
③ 자침응용(刺鍼應用) : 상기 "풍열범폐(風熱犯肺) 참조"
③ 자침응용(刺鍼應用) ; 참고.

5) 담열옹폐(痰熱壅肺)/폐옹(肺癰)/열박혈결(熱搏血結)/혈응상폐(血凝傷肺).
① 원인(原因) : 폐(肺)에 사기(邪氣)가 침범(侵犯) 울결(鬱結)되어 열(熱)로 화(化)하여 습열(濕熱)이 이부(裏部)에 온결(蘊結)
② 주요증상(主要症狀) : 해천(咳喘), 농담과다(膿痰過多), 비린내 및 악후(惡嗅), 오한(惡寒), 발열(發熱), 해수기천(咳嗽氣喘), 혈담(血痰), 흉고통(胸苦痛)
설태(舌苔) : 황이(黃 ), 맥(脈) : 활삭(滑數)
③ 자침응용→발열(發熱)이 심하면
ⓐ 폐열(肺熱)→퇴열(退熱) : 태백(太白),태연(太淵)을 "선사"하고, 척택(尺澤),음곡(陰谷)를 "후사"한다.
ⓑ 신열(腎熱)→퇴열(退熱) : 태백(太白), 태계(太谿)를 "선사"하고, 음곡(陰谷), 소해(少海)를 "후보"한다.
ⓒ 심한(心寒)→발열(發熱) : 소부(少府), 연곡(然谷)을 "선보"하고, 음곡(陰谷), 소해(少海)를 "후사"한다.
ⓓ 간한(肝寒)→발열(發熱) : 행간(行間), 소부(少府)을 "건보"하고, 음곡(陰谷), 곡천(曲泉)를 "후사"한다.
ⓔ 육기(六氣)[위열(胃熱)→퇴열(退熱)] : 족삼리(足三里), 위중(委中)을 "선사"하고, 내정(內庭), 통곡(通谷)를 "후보"한다.
(참고) ;
(a),소상(少商),은백(隱白).열결(列缺)/공최(孔最).공손(公孫)/지기(地機)/음능천(陰陵泉)중 압통혈(壓痛穴) 및 필요혈을 자침한다.
(b), 상합치료(相合治療)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표리관계를 다스린다.
(c),상합(相合)과 교상합(交相合)[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수족관계(手足關係)로 교상합(交相合)]의 복합치료 한다.
④ 자침응용(刺鍼應用)→실(實)할 때
ⓐ 폐사(肺瀉) : 음곡(陰谷),척택(尺澤)을 "선사"하고, 소부(少府),어제(魚際)를 "후보"한다.
ⓑ 신사(腎瀉) : 태돈(太敦), 용천(湧)을 "선사"하고, 태백(太白), 태계(太谿)를 "후보"한다.
ⓒ 심보(心補) : 태돈(太敦), 소충(少衝)을 "선보"하고, 음곡(陰谷), 소해(少海)를 "후사"한다.
ⓓ 간보(肝補) : 음곡(陰谷), 곡천(曲泉)을 "선보"하고, 경거(經渠), 중봉(中封)를 "후사"한다.
ⓔ 육기(六氣)[위사(胃瀉)] : 상양(商陽), 여태( 兌)을 "선사"하고, 족임읍(足臨泣), 함곡(陷谷)를 "후보"한다.
(참고) ; (a), 소상(少商),태연(太淵).은백(隱白),태백(太白). 열결(列缺)/공최(孔最), 공손(公孫)/지기(地機)/음능천(陰陵泉) 중 압통혈(壓痛穴) 및 필요혈.
(b),상합치료(相合治療)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표리관계(表裏關係).
(c),상합(相合)과 교상합(交相合)[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수족관계(手足關係)로 교상합(交相合)]의 복합(複合)치료(治療)

6) 조사범폐(燥邪犯肺)
① 원인(原因) : 조사상폐(燥邪傷肺), 폐실청윤(肺失淸潤)
② 주요증상(主要症狀) : 건해무담(乾咳無痰)/소담(少痰), 비건인조(鼻乾咽燥), 구갈(口渴), 흉통(胸痛), 각혈( 血), 인통(咽痛), 피부건조(皮膚乾燥), 한열(寒熱), 객담불상(喀痰不爽), 객담(喀痰)중 혈사(血絲)
* 설(舌) : 첨홍(尖紅), 태(苔) : 박황(薄黃),
* 맥(脈) : 세삭(細數)/삭(數)
③ 자침응용(刺鍼應用)→실(實)할 때
ⓐ 폐사(肺瀉) : 음곡(陰谷), 척택(尺澤)을 "선사"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를 "후보"한다.
ⓑ 신사(腎瀉) : 태돈(太敦), 용천(湧泉)을 "선사"하고, 태백(太白), 태계(太谿)를 "후보"한다.
ⓒ 심보(心補) : 태돈(太敦), 소충(少衝)을 "선보"하고, 음곡(陰谷), 소해(少海)를 "후사"한다.
ⓓ 간보(肝補) : 음곡(陰谷), 곡천(曲泉)을 "선보"하고, 경거(經渠), 중봉(中封)를 "후보"한다.
ⓔ 육기(六氣)[위사(胃瀉)] : 상양(商陽), 여태( 兌)을 "선보"하고, 족임읍(足臨泣), 함곡(陷谷)를 "후보"한다.
(참고) ; (a), 소상(少商),태연(太淵).은백(隱白),태백(太白).열결(列缺)/공최(孔最),공손(公孫)/지기(地機)/음능천(陰陵泉)중 압통혈(壓痛穴) 및 필요혈.
(b), 상합치료(相合治療)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표리관계(表裏關係).
(c), 상합(相合)과 교상합(交相合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수족관계(手足關係)로 교상합(交相合))의 복합(複合)치료(治療)
④ 자침응용(刺鍼應用)→발열(發熱)이 심(甚)하면
ⓐ 폐열(肺熱)→퇴열(退熱) : 태백(太白), 태연(太淵)을 "선사"하고, 척택(尺澤), 음곡(陰谷)를 "후보"한다.
ⓑ 신열(腎熱)→퇴열(退熱) : 소해(少海), 음곡(陰谷)을 "선사"하고, 음곡(陰谷), 소해(少海)를 "후보"한다.
ⓒ 심한(心寒)→발열(發熱) : 소부(少府), 연곡(然谷)을 "선보"하고, 태백(太白),태계(太谿)를 "후사"한다.
ⓓ 간한(肝寒)→발열(發熱) : 행간(行間), 소부(少府)을 "선보"하고, 음곡(陰谷), 곡천(曲泉)를 "후사"한다.
ⓔ 육기(六氣)[위열(胃熱)→퇴열(退熱)] : 족삼리(足三里), 위중(委中)을 "선사"하고, 내정(內庭), 통곡(通谷)를 "후보"한다.
(참고) ; (a), 소상(少商),은백(隱白).열결(列缺)/공최(孔最),공손(公孫)/지기(地機)/음능천(陰陵泉)중 압통혈(壓痛穴) 및 필요혈.
(b), 상합치료(相合治療)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표리관계(表裏關係).
(c), 상합(相合)과 교상합(交相合)[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수족관계(手足關係)로 교상합(交相合)]의 복합치료 한다.

7) 담탁조폐(痰濁阻肺)/담음복폐(痰飮伏肺)/담습조폐(痰濕阻肺)
① 원인(原因) : 담탁조폐(痰濁阻肺)로 폐실선숙(肺失宣肅 : 선발(宣發) 과 숙강기능(肅降機能)의 실조(失調))하고 수음(水飮)이 머물러 있고 습담(濕痰)이 폐(肺)에 축적(蓄積)되어 담(膽)이 많이 나온다.
② 주요증상(主要症狀) : 해수(咳嗽), 기천(氣喘), 담다(痰多), 흉고민(胸苦悶)으로 눕지를 못함, 후중담명(喉中痰鳴)
* 설태(舌苔) : 니( ).
* 맥상(脈象) : 활(滑)/현활(弦滑)/연(軟)
③ 자침응용(刺鍼應用)→상기 6) ③ 실(實)할 때 참조(參照)
④ 자침응용(刺鍼應用)→상기 6) ④ 발열(發熱)이 심(甚)하면 참조(參照)

8) 폐실통조(肺失通調)/풍수상박(風水相搏)
① 원인(原因) : 폐기울폐(肺氣鬱閉)로 폐(肺)의 선발숙강기능(宣發肅降機能) 실조(失調)로 체내(體內)에 수액(水液)이 정체(停滯)된 것.
② 주요증상(主要症狀) : 면부(面部)의 부종(浮腫), 소변단적(小便短赤), 심(甚)하면 융폐( 閉), 소복창만(少腹脹滿), 해수(咳嗽), 기천(氣喘), 오한발열(惡寒發熱), 인통(咽痛), 급격한 전신부종(全身浮腫), 뇨량(尿量)감소, 오풍(惡風), 해천(咳喘), 수종(水腫)
* 설태(舌苔) : 백활(白滑), 박백(薄白).
* 맥상(脈象) : 유삭(濡數)
③ 자침응용(刺鍼應用) : 음수부종(陰水浮腫)
ⓐ 폐사(肺瀉) : 음곡(陰谷), 척택(尺澤)을 "선사"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를 "후보"한다.
ⓑ 신사(腎瀉) : 태돈(太敦), 용천(湧泉)을 "선사"하고, 태백(太白), 태계(太谿)를 "후보"한다.
ⓒ 심보(心補) : 태돈(太敦), 소충(少衝)을 "선보"하고, 음곡(陰谷), 소해(少海)를 "후사"한다.
ⓓ 간보(肝補) : 음곡(陰谷), 곡천(曲泉)을 "선보"하고, 경거(經渠), 중봉(中封)를 "후사"한다.
ⓔ 육기(六氣)[위사(胃瀉)] : 상양(商陽),여태( 兌)을 "선사"하고, 족임읍(足臨泣),함곡(陷谷)를 "후보"한다.
(참고) ; (a), 소상(少商),태연(太淵).은백(隱白),태백(太白).열결(列缺)/공최(孔最).공손(公孫)/지기(地機)/음능천(陰陵泉)중 압통혈(壓痛穴) 및 필요혈.
(b), 상합치료(相合治療)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표리관계(表裏關係).
(c), 상합(相合)과 교상합(交相合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수족관계(手足關係)로 교상합(交相合))의 복합(複合)치료(治療)

9) 폐실공통(肺實共通)

차) 담음(痰飮)
① 원인(原因) : 폐(肺)가 탁하여 져서 오는 증상(症狀)
② 주요증상(主要症狀)
ⓐ 건실(健實)하던 사람이 갑자기 파래지며 장간(腸間)에 물이 체(滯)해서 꿀꿀 소리가 나고 가슴이 더부룩하며 눈이 아물거리기도 한다.
ⓑ 장위(腸胃)에 수(水)가 정체(停滯)되어 있어 출렁이는 소리가 나며 사람이 갑자기 살이 찌기도 하고 갑자기 마르기도 한다. 흉협(胸脇이 거득하기도 하고 눈이 아물거리기도 하며 애기( 氣), 탄산(呑酸), 조잡(  ), 구홰(嘔  : 재치기) 한열(寒熱)등의 증(症)을 호소(呼訴)한다.(폐탁:肺獨)
③ 자침응용(刺鍼應用)→실(實)할 때
ⓐ 폐사(肺瀉) : 음곡(陰谷),척택(尺澤)을 "선사"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를 "후보"한다.
ⓑ 신사(腎瀉) : 태돈(太敦), 용천(湧泉)을 "선사"하고, 태백(太白), 태계(太谿)를 "후보"한다.
ⓒ 심보(心補) : 태돈(太敦), 소충(少衝)을 "선보"하고, 음곡(陰谷), 소해(少海)를 "후보"한다.
ⓓ 간보(肝補) : 음곡(陰谷), 곡천(曲泉)을 "선보"하고, 경거(經渠), 중봉(中封)를 "후사"한다.
ⓔ 육기(六氣)[위사(胃瀉)] : 상양(商陽), 여태( 兌)을 "선사"하고, 족임읍(足臨泣), 함곡(陷谷)를 "후보"한다.
(참고) ; (a), 소상(少商),태연(太淵).은백(隱白),태백(太白).열결(列缺)/공최(孔最).공손(公孫),지기(地機),음능천(陰陵泉)중 압통혈(壓痛穴) 및 필요혈에 자침한다.
(b), 상합치료(相合治療)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표리관계(表裏關係)를 다스린다.
(c), 상합(相合)과 교상합(交相合)[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수족관계(手足關係)로 교상합(交相合)]의 복합치료 한다.

10), 폐승격응용(肺勝格應用)
(1) 기복통(氣腹痛)
① 원인(原因) : 폐탁(肺濁)
② 주요증상(主要症狀) : 가슴이 더부룩하고 배꼽 위가 살살 아프고 흉복(胸腹)이 창만(脹滿)하고 대변(大便)이 보고 싶으면 통증(痛症)이 감(減)하는 증. (肺濁)
③ 자침응용(刺鍼應用)
ⓐ 폐승격응용(肺勝格應用) : 척택(尺澤), 곡천(曲泉)을 "선사"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를 "후보"한다.
(참고) ; (a), 소상(少商),태연(太淵).은백(隱白),태백(太白).열결(列缺)/공최(孔最).공손(公孫)/지기(地機)/음능천(陰陵泉)중 압통혈(壓痛穴) 및 필요혈.
(b), 상합치료(相合治療) : 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표리관계(表裏關係).
(c), 상합(相合)과 교상합(交相合)[삼음(三陰)과 삼양(三陽)의 수족관계(手足關係)로 교상합(交相合)]의 복합치료 한다.

4, 폐승격(肺勝格)의 활용.

(1) 중폐(中肺);기중(氣中).
① 증상(症狀) : 중풍(中風)의 이증(裏症)으로서 구규(九竅)에 체(滯)하는 것이 보통인데 인사(人事)를 못 차리며 담(痰)이 목구멍을 막아서 씩씩거리고 혹은 사지(四肢)를 못쓰며 언어(言語)를 되 채지 못하는 증상(症狀), 상(上)과 같은 증(症)에 땀기가 많고 바람을 싫어하며 백색(白色)을 나타내는 증상(症狀)
② 자침(刺鍼) : 폐실(肺實)이니 소부(少府)을 "선사"하고, 태백(太白)를 "후보" 한다.

(2) 상한다한오풍(傷寒多汗惡風).
① 증상(症狀) : 땀기가 많고 바람을 싫어하는 증상(症狀)
② 자침(刺鍼) : 소부(少府)을 "선사"하고, 태백(太白)을 "후보"한다.

(3) 담음(痰飮).
① 증상(症狀) : 건실(健實)하던 체격(體格)이 별안간 파리해지며 장간(腸間)에 물이 체(滯)해서 꿀꿀소리가 나고 가슴이 더부룩하며 눈이 아물거리는 증(症)을 소(訴)한다. 또한 장위(腸胃)에 수(水)가 정체(停滯)되어 있어 출렁거리는 소리가 나며 사람이 갑자기 살이 찌기도 하고 갑자기 마르기도 한다. 흉협(胸脇)이 그득하기도 하고 눈이 아물거리기도 하며 애기( 氣), 탄산(呑酸), 조잡( 雜) 구홰(嘔 )등의 증(症)을 나타낸다.
② 자침(刺鍼) : 폐탁(肺濁)인지라 척택(尺澤), 음곡(陰谷)을 "선사"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를 "후보" 한다.

(4) 기창(氣脹).
① 증상(症狀) : 물먹기를 싫어하고 얼굴 색이 희며(面白) 배가 크고(腹大) 사지(四肢)가 수척(瘦削)한 증을 분심기음증(分心氣飮症)이라 한다, 이 증상은 칠정울결(七情鬱結)으로 기도옹색(氣道壅塞)하여 부득승강(不得升降)하므로 신체종대(身體腫大)하고 사지수척한 증.
② 자침(刺鍼) : 폐실(肺實)인지라 . 용천(湧泉), 연곡(然谷)을 "선사"하고, 고황(膏 )을 "후보"하고, 소부(少府), 노궁(勞宮)을 "영(迎)"한다.

(5) 기복통(腹痛;氣腹痛).
① 증상(症狀) : 가슴이 더부룩하고 배꼽위가 살살 아픈 증, 가슨과 배(胸腹)가 불러 가득(脹滿)하고 배꼽위가 살살 아프며 대변이 보고 싶으면 통증이 감해지는 증.
② 자침(刺鍼) : 폐탁(肺濁)인지라 척택, 곡천(曲泉)을 "선사"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를 "후보" 한다.
③ 한 부인(婦人)이 나이 50세에 복통(腹痛)이 고약하나 별로 이렇다할 부분증후(部分症候)를 확인할 수가 없으며 진찰한 결과 오른쪽 갈비에 만져지는 것이 있어서 담울(痰鬱)과 같으므로 기통방(氣痛方)[척택, 곡천(曲泉)을 "선사"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를 "후보"]을 썼더니 유효하더라. 기통(氣痛)은 우협통(右脇痛)과 같으나 기가 약(氣弱)한 사람은 협통(脇痛)이 많이 생기고 기가 강(氣多)한 사람은 기통(氣痛)을 먼저 처리(先作)하는 것이 통례(通例)이다.

(6) 백호풍(白虎風) ;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
① 증상(症狀) : 사지골절이 여기저기 아프고 관절(關節)이 범(虎)이 무는 것 같은 증.
② 자침(刺鍼) : 폐실(肺實)인지라 척택, 음곡(陰谷)을 "선사"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를 "후보"한다.
③ 한 남자가 나이 30여세에 엄지손가락(手大指)이 나무감각(麻木)이 되었는데 잘못 침(鍼)을 맞고 뜸(灸)을 뜨 벌써 한마디가 물러났으며 병세(病勢)는 더하다 하므로 척택(척택), 음곡(陰谷)을 "선사"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를 "후보"하였더니 유효하더라.
④ 한 남자가 손발(四末)과 얼굴(面部)에 풀을 바른 것 같되, 손의 폐경 분야(肺分野)가 더욱 심(甚)하므로 폐승격(肺勝格)을 썼더니 유효하더라, 백호풍(白虎風)이 아니거늘 이 처방으로 치료 됨은 무슨 이유인가? 폐병(肺病)이 위에 있는 사람은 흔히 폐승격(肺勝格)을 쓰는 까닭이다.

(7) 치다경결( 多硬結)
① 증상(症狀) : 눈꼽이 많이 끼어 덩어리지는 것.
② 자침(刺鍼) : 폐실(肺實)인지라 음곡(陰谷), 척택(尺澤)을 "선사"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을 "후보" 한다.

(8) 중설(重舌) : 소상(少商), 어제(魚際), 용천(湧泉)을 "보" 한다.

(9) 사암오행정리신침가(舍岩五行正理神鍼歌)
① 담현폐실(痰眩肺實) 태백태연(太白太淵),
소부어제(少府魚際) 용폐승격(用肺勝格).
해왈(解曰) : 담(痰)으로 해서 된 어지러운 병에는 소부(少府), 어제(魚際) 혈을 쓰고, 태백(太白), 태연(太淵) 혈을 쓰는 폐승격(肺勝格)을 써라.

② 우변수족원(右邊手足元) 동요(動搖),
내시(乃是) 폐실적당승(肺實赤當勝).
해왈(解曰) : 간질(癎疾)에 오른쪽 수족(手足)을 먼저 내흔드는 것도 폐실(肺實)이니 또한 폐승격(肺勝格)을 써라.

③ 행비지통(行痺之痛) 담승격(膽勝格),
백호역절(白虎歷節) 폐승격(肺勝格).
해왈(解曰) : 행비(行痺)에는 담승격(膽勝格)을 써야 하고, 백호역절풍(白虎歷節風)에는 폐승격(肺勝格)을 써야 한다.

(10) 육무지년(六戊之年).
① 증상(症狀) : 세화(歲火)가 태과(太過)하여 화사(火邪)가 유행(流行)하므로 폐금(肺金)이 사(邪)를 받게 되어 학질( 疾)이 유행(流行)되며 소기(小氣), 해천(咳喘), 혈일(血溢), 혈설(血泄), 신열(身熱), 골통(骨痛) 등의 증(症)을 소(訴)한다.
② 자침(刺鍼) : 소부(少府), 어제(魚際)을 "선사"하고, 소해(少海), 척택(尺澤)를 "후보" 한다.

(11) 담운(痰暈).
① 증상(症狀) : 상증(上症)을 모두 나타내고 담성구토(痰盛嘔吐)하며 머리가 무거워서 잘 들지 못하는 증(症)(반하복령탕증(半夏伏令湯症)
② 자침(刺鍼) : 폐실(肺實)인지라 태백(太白), 태연(太淵)을 "선사"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를 "후보" 한다.
③ 한 남자가 우협(右脇)이 항상 아파서 몸을 움직이기 불편하므로 우협통(右脇痛)이라 하여 태백(太白), 태연(太淵)을 "선보"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를 "후사"하였더니 수일후(數日後)에 홀연히 우협(右脇)이 땅기어서 호흡(呼吸)이 불능(不能)하며 점점 그 이유를 모르겠어서 다시 병의 내력을 자세히 물었더니 혹 1개월(個月)이나 2개월(個月)을 간격으로 현운(眩暈)하기가 간질(癎疾)과 같다하므로 비로소 담현(痰眩)인줄 알고 태백(太白), 태연(太淵)을 "건사"하고, 소부(少府), 어제(魚際)를 "후보" 하였더니 수일후(數日後)에 유효하더라.
④ 한 남자가 나이 15∼16세에 우수(右手)가 구이무력(鉤而無力)하고 얼굴색이 창백하며 겸하여 간질(癎疾)이 있는지라 담현(痰眩)방을 썼더니 우수(右手)의 구(鉤)가 펴지고 현운(眩暈)이 또한 낫더라.
⑤ 한 남자가 항상 현운(眩暈)을 환(患)하여 한달에 3/4회씩 소위 간질(癎疾)을 일으키고 방통지시(方痛之時)에는 혼도(昏倒)하여 우수비(右手臂)를 제하고 만하기 부득한지라 담현방(痰眩方)을 4/5회 썼더니 쾌차하더라.

(12) 진두통(眞頭痛);뇌막염(腦膜炎).
① 증상(症狀) : 뇌(腦)는 "골수(骨髓)의 바다(海)"로서 진기(眞氣)의 소취처(所聚處)인 지라 갑자기 사기(邪)를 받아(受)들이는 법(法)이 없는 것인데, 만일 사기(邪)를 받아(髓)들이면 불치(不治)가 되므로 조발(朝發)하면 석사(夕死)하고 석발(夕發)하면 조사(朝死)하게 되는 증으로서 뇌막염(腦膜炎)이 바로 그것이다. 뇌(腦)가 모두 아프고 차고 시린 기운(氣運)이 수족(手足)에서 부터 시작되어 온몸의 뼈마디까지 파급되어 오는 증.
② 자침(刺鍼) : 중완(中脘)을 "보"하고, 기해(氣海)를 "보"한다.

(13) 안질대자적변두통대작(眼疾大 赤邊頭痛大作).
① 자침(刺鍼) : 태돈(太敦), 소충(少衝), 복류(腹溜)을 "보"하고, 태백(太白), 태연(太淵)를 "사"한다.
② 한 사람이 한쪽 눈에 안질(眼疾)이 대작하고 그쪽 골치가 또한 아픈지라 태돈(太敦), 소충(少衝)을 "보"하고, 태백(太白), 태연(太淵)을 "사" 하였더니 양병이 전쾌하더라.

(14) 비기소(悲氣消).
① 증상(症狀) : 과격(過激)한 비애(悲哀)가 있은 후(後)에 초래(招來)되는 기(氣)의 소산증(消散症), 과비(過悲)하면 폐(肺)가 상(傷)하여 기소(氣消)하므로 면색(面色)이 창백(蒼白)하고 신색부진(神色不振)하며 자주 슬퍼하느 증(症).
② 자침(刺鍼) : 상완(上脘)구(灸), 요유(腰兪)침(鍼)
③ 중풍(中風)으로 수완(手腕)이 무력(無力)한 증(症)에는 열결(列缺)침(鍼)
④ 소양담경(少陽膽經)분야(分野)의 어깨와 팔이 아픈 증(症)에는 족통곡(足通谷), 신맥(申脈)을 "보", 절골(絶骨), 위중(委中), 곤륜(崑崙)를 "사"한다.
⑤ 목안이 몹시 건조(乾燥)한 증(症)에는 태연(太淵), 어제(魚際)에 자침한다.
⑥ 윗 가슴이 크게 붓고 한열(寒熱)이 나면서 고통(苦痛)하는 증(症)에는 척택(尺澤)에 자침하거나 뜸(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