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정 침구치료
[개설]
유정은 몽유(夢遺)와 활정(滑精) 두 가지로 나눈 병증이다. 꿈에서 유정이면 몽유(夢遺)라 하고; 꿈에서 성교 또는 색정으로 정액이 흐르는 경우를 활정(滑精)이라 한다. 발병은 정관이 튼튼하지 못한 것이 원인이다. 신경쇠약, 정낭염, 고환염, 모종의 만성질환 등에서 흔히 나타난다.
[병인병기]
(1) 심신불교(心腎不交): 사려과도, 자정종욕(恣情纵欲), 심화(心火)는 신(腎)과 교섭하지 못하고, 신수(腎水)는 심(心)에 미치지 못하여 심신불교(心腎不交), 수(水)의 부족으로 심화독항(心火独亢), 요동정실(扰动精室), 다몽유정(多夢遺精)한다.
(2) 신허실장(肾虚失藏): 방실부절(房室不节), 또는 구병상신(久病伤肾), 봉장실사(封藏失司), 정관불고(精关不固)하여 활정(滑精)이 발생한다.
(3) 습열하주(濕熱下注): 습열내온(濕熱內蘊), 유주우하(流注于下), 요동정실(扰动精室), 정관불고(精关不固)하여 유정이 발생한다.
[변증치료]
(1) 심신불교(心腎不交):
증상: 몽중유정(夢中遺精), 두훈 심계, 심번(心煩), 요산이명(腰酸耳鳴), 소변황, 설질홍(舌質紅), 맥세삭(脉細數).
치법: 소음경혈을 취하여 사법하고; 족소음경혈을 취하여 보법한다. 심신(心腎)을 교통하고 교정지유(固精止遗)한다.
처방: 신문, 심유, 태계, 지실.
해석: 신문, 심유로 강심화(降心火)하여 심신(心腎)을 교통 한다; 태계로 익신기(益腎氣)하고, 지실을 배합하여 고정관(固精關)한다.
(2) 신허실장(腎虛失藏)
증상: 주야를 가리지 않고 색에 대한 생각하면 유정이 발생하고, 신체는 허약하며, 정신은 피곤하고, 안색창백(顔色蒼白), 설질담(舌質淡), 맥침세약(脉沈細弱)하다.
치법: 족태양, 족태음, 임맥을 취한다. 침자 보법하고, 뜸을 병용하여 보신고정(補腎固精)한다.
처방: 신유, 지실, 명문, 관원, 삼음교
해석: 신유, 지실로 보신(補腎)하여 고정관(固精關)하고; 명문으로 온신(溫腎)하여 고봉장(固封藏)하며; 관원으로 대보원기(大補元氣)하여 배원고본(培元固本)하고, 삼음교를 배합하여 건비보간익신(健脾補肝益腎)한다.
(3) 습열하주(濕熱下注)
증상: 유정빈작, 소변 시에 정액이 보이며, 심번, 불면, 입은 쓰고 마르고, 소변황색, 시원하지 못하며, 설태황니(舌苔黃膩), 맥유삭(脉濡數)하다.
치법: 임맥, 족태음경을 취하여 사법으로 청열이습(淸熱利濕), 영정정궁(宁静精宫)한다.
처방: 중극, 음릉천, 삼음교
해석: 중극은 방광 모혈(募穴)이고, 사법으로 선통방광지기(宣通膀胱之氣)하여 습열을 소변으로 배출한다; 음릉천, 삼음교로 건비이습(健脾利濕), 청열이뇨(淸熱利尿)하며; 중극, 삼음교는 족삼음경과 교회혈이고, 중극은 하복부에 위치하여 2혈을 배합하여 고정영궁(固精營宮)하며, 각혈을 배합하여 청열이습(淸熱利濕)함으로 정액 배출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기타요법
(1) 이침
취혈: 외생식기, 내분비, 신문, 심, 신.
방법: 매번 2-3개혈을 취하여 가볍게 자극하고, 유침 15-30분간, 또는 이혈 안압요법도 한다.
(2) 약침 주사
취혈: 관원, 중극, 지실
방법: 비타민 B₁주사액, 또는 당귀주사액으로 매개 혈위에 0.2-0.5ml 주입, 진침 후에 침감이 앞 방향으로 음부에 전도하면 서서히 약물을 주입한다.
'病症別 鍼處方 > 강장 양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성 피로 종합 증후군 (0) | 2016.09.13 |
---|---|
양위 (0) | 2016.09.11 |
양위 (0) | 2016.09.10 |
평형침임상 - 기업가 증후군, 과로 후유증 (0) | 2016.08.30 |
(陽痿양위) 침구치료 (0) | 2015.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