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모
탈모의 묘방 - ‘계란노른자기름’
지난 3월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정책연구원이 건강보험 진료비 지급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09년에 탈모 때문에 양방 병원을 찾은 사람은 18만1천 명으로 2005년 14만5천 명에 비해 24.8퍼센트 늘어난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령대별로 보면 20대가 4만1천9백14명, 30대가 4만6천90명으로 20~30대의 비중이 전체의 절반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40대가 3만7천2백78명, 50대가 2만1천46명이었고 10대도 1만8천3백90명이나 됐다.
이처럼 20~30대에서 탈모 때문에 양방 병원을 찾은 사람이 많은 이유는 이 연령대의 사람들이 외모에 관심이 많기 때문이라 하겠다.
즉, 외모에 신경을 쓰는 이 연령대의 사람들이 초기 탈모 증상만 나타나도 혹시 치료 방법이 있을까 싶어 양방 병원을 찾은 것이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드러나지는 않았지만 탈모로 고민하는 사람은 훨씬 많을 게 분명하다.
한 신문의 보도를 보면 국내 탈모 인구는 9백만 명에 달하고, 탈모 관련 산업 규모도 1조3천억 원이 넘는다고 한다.
탈모란 머리카락이 비정상적으로 많이 빠지거나 한 부분의 머리카락이 집중적으로 빠지는 증상을 말한다.
대개 유전에 의한 남성형 탈모, 폐경기 이후에 주로 발생하는 여성형 탈모, 동전 모양으로 머리카락이 빠지는 원형 탈모, 영양 결핍과 질병으로 인한 휴지기 탈모 등이 있다.
전통의학에서는 탈모가 발생하는 것은 신장계통에 문제가 있기 때문으로 보고 있다.
이것은 신장이 오장육부 중에서 머리털을 주관하는 장기라고 하는 견해에서 출발한 것이다.
전통의학에서 말하는 신장은 단순한 혈액의 여과장치가 아니라, 정기(精氣)의 근원이 되고, 양기(陽氣)를 발현하는 장기이다.
또 탈모의 중요한 원인으로 생각할 수 있는 것이 혈액의 문제이다.
『동의보감』을 보면 발자혈지여(髮者血之餘)라 하여 머리카락은 혈액의 나머지라고 하였다.
즉, 눈에 보이는 뼈가 이빨인 것처럼 머리카락은 눈에 보이는 피인 것이다.
이런 점에서 맑은 혈액이 왕성하면 머리털에 윤기가 있고, 혈액이 부족하거나 탁하면 머리털에 윤기가 없어진다.
또 혈액이 열을 받으면 머리털이 누렇게 되고, 혈액이 상하면 머리털이 희어진다.
결국 이를 종합하면 모발이 잘 자라기 위해서는 신장의 기능이 원활해야 한다.
또 현미와 야채 위주의 자연식을 통해 올바로 영양을 섭취함으로써 체내에 맑은 혈액이 왕성하게 넘치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유정란의 노른자에는 비오틴이라는 성분이 있어 탈모의 예방과 치유에 효과를 발휘하므로 신경을 써서 섭취하는 게 필요하다.
또 검은콩은 비타민 E와 불포화지방산을 품부하게 함유하고 있는데, 이들 성분은 혈관을 확장시켜 말초혈관의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촉진시켜 주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두피에 필요한 영양성분을 공급해 탈모를 막아 주므로 이 역시 신경을 써서 섭취하는 게 필요하다.
여기에다 검은깨나 다시마, 미역 등 검은색 식품을 함께 먹으면 신장 기능이 강화되어 탈모의 예방과 치유에 더욱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반면 탈모 방지를 위해 필히 삼가야 할 식품은 화학 첨가제로 가공한 인스턴트식품이나 패스트푸드이다.
이들 식품은 체내에 화학 독소와 불순한 음식의 용해물을 쌓이게 해 피를 독혈(毒血)과 탁혈(濁血)로 오염시키는 요인이 된다.
그리고 화학 샴푸나 화학 염모제 등은 두피를 건조하게 함으로써 탈모의 원인이 되니 삼가야 한다.
탈모 방지와 발모(發毛)에 효과적인 내치법(內治法)과 외치법(外治法)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효과를 얻기까지 꾸준히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 외치법
▶ 재료 : 상백피·상엽·상지 각 50그램
▶ 사용법 : 상기 재료에 물을 750cc 붓고 물이 절반으로 줄 때까지 은은한 불에 서서히 달인다.
그러고 나서 이 물을 모근에 문질러 바른다.
그리고 물이 마르기를 기다렸다가 계란 노른자기름을 바른다.
계란 노른자기름을 만드는 방법은 방목하여 키운 닭의 유정란을 구해 삶은 다음, 노른자만 모아 압착하여 기름을 짜면 된다.
그렇지 않으면 프라이팬에 놓고 센 불로 가열하면 나중에 기름만 남게 된다.
◎ 내치법
▶ 재료 : 당귀·하수오·구기자·상심자·한련초 각 50그램
▶ 복용법 : 상기 재료에 물을 2리터 붓고, 물이 절반으로 줄 때까지 은은한 불에 달인다.
이것을 하루에 걸쳐 차처럼 수시로 다 마신다.
▶ 처방풀이 : 상기 처방의 당귀와 하수오는 보혈(補血)에 효능이 큰 약재이고, 구기자와 상심자는 보음(補陰)에 효능이 큰 약재이다.
따라서 이들 약재는 두피에 혈액과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모근을 건강하게 해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症狀別 方劑處方 > 피부 비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성초 발모액 (0) | 2016.09.20 |
---|---|
청춘두(여드름) (0) | 2016.09.11 |
습진과 피부 반점 ‘죽엽유방탕’ (0) | 2016.08.26 |
종기와 염증 ‘선방활명음’ (0) | 2016.08.25 |
사마귀 (0) | 2016.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