病症別 鍼處方/대소장

이질(痢疾)의 변증 및 침구치료

초암 정만순 2016. 9. 5. 09:31



이질(痢疾)의 변증 및 침구치료


이질(痢疾)은 여름이나 가을에 흔히 나타나는 장도전염병이다. 임상에서 복통(腹痛), 이급후중(裏急後重), 하리(下痢)때 적백농혈(赤白膿血)이 있는 등의 특징이 있으며 일반적으로 습열리(濕熱痢), 역독리(疫毒痢), 금구리(噤口痢), 휴식리(休息痢) 및 한습리(寒濕痢)의 5종의 유형(類型)으로 나눈다.

♠ 습열리(濕熱痢) : 비위(脾胃)에 습열이 맺혀 소화기능이 장애를 받으며 건전한 운화기능을 상실하고 습열이 정체되어 나타난다.
♠ 역독리(疫毒痢) : 역리(疫痢)라고도 함. 체질이 원래 허하거나 전염성 독(毒)이 비위(脾胃)에 같이 전입되어 일어나고, 위험한 증후가 나타나며 중독성이질과 유사하다.
♠ 금구리(噤口痢) : 이질(痢疾)로 인해 식욕이 부진하고 구토가 있어 먹지 못하는 것을 말한다.
♠ 휴식리(休息痢) : 증상이 발작했다가 그쳤다가 하면서 오래도록 낫지 않는 이질(痢疾)이다.
♠ 한습리(寒濕痢) : 비위(脾胃)의 양(陽)이 허하면 습탁(濕濁)이 내부에 막혀 나타난다. 고물과 같은 설사(泄瀉)를 한다.

⑴ 병인병기(病因病機)

A. 외감시사(外感時邪) : 서습(暑濕)이 장위(腸胃)에 침범, 습열(濕熱)이 역독(疫毒)과 결합하여 습열리(濕熱痢) 또는 역독리(疫毒痢)가 된다.

B. 내상음식(內傷飮食) : 음식부절(飮食不節), 오식독물(誤食毒物) 등으로 습열이 내부로 침습하면 습열리(濕熱痢)에 이르고, 습한이 내부로 침습하면 한습리(寒濕痢)에 이른다.

⑵ 변증(辨證)

A. 습열리(濕熱痢) : 복통하리(腹痛下痢), 이급후중(裏急後重), 적백상겸(赤白相兼), 항문작열(肛門灼熱), 소변단적(小便短赤), 설홍태황니(舌紅苔黃膩), 맥활삭(脈滑數).

B. 역독리(疫毒痢) : 발병급폭(發病急暴), 이하선자농혈(痢下鮮紫膿血), 장열구갈(壯熱口渴), 두통번조(頭痛煩躁), 장통극열(腸痛劇熱), 이급후중(裏急後重)이 비교적 심하고, 설질홍강(舌質紅絳), 태황조(苔黃燥), 맥대활삭(脈大滑數).

C. 금구리(噤口痢) : 음식불진(飮食不進), 오심구토(惡心嘔吐), 복통하리(腹痛下痢), 심하면 형체소수(形體消瘦), 신피핍력(神疲乏力), 설태황니(舌苔黃膩), 맥유삭(脈濡數).

D. 한습리(寒濕痢) : 이하적백점동(痢下赤白粘凍), 백다적소(白多赤少), 복부은통(腹部隱痛). 이급후중(裏急後重), 사말불온(四末不溫), 식소신피(食少神疲), 구담부갈(口淡不渴), 요산파냉(腰酸怕冷 : 허리가 시끈거리고 찬 것을 두려워함), 설질담태백니(舌質淡苔白膩), 맥유완(脈濡緩).

E. 휴식리(休息痢) : 하리시발시지(下痢時發時止), 오랫동안 낫지 않고, 권태겁냉(倦怠怯冷), 눕기를 좋아하며, 대변점체(大便粘滯), 설질담태니(舌質淡苔膩), 맥유연(脈濡軟) 혹 허삭(虛數).

⑶ 치료(治療)

- 치법(治法) : 소조장위(疏調腸胃), 행기화혈(行氣和血).
- 처방(處方) : 합곡(LI4), 천추(ST25), 상거허(ST37).
- 방의(方義) : 합곡(수양명 원혈) - 양명사열(陽明邪熱)을 해소.
천추(대장 모혈), 상거허(대장하합혈) - 소조대장(疏調大腸), 이기행체(理氣行滯).
3혈 상배하면 이질(痢疾)치료의 기본방이다.
- 수증배혈(隨證配穴) :
① 습열리(濕熱痢) : 가(加) 곡지(LI11), 내정(ST44).
곡지(수양명 합혈), 내정(족양명 형혈) - 양명의 사열을 설하(泄下)시킴. 주방의 제혈과 상배하면 대장의 기혈을 통조시키는 기능이 있다.
② 역독리(疫毒痢) : 가(加) 대추(DU14), 십선(EX-UE11).
대추, 십선 - 설열해표(泄熱解表).
주방 제혈과 상배하여 통체청장(通滯淸腸), 청열해독(淸熱解毒)한다. 호침자용사법(毫鍼刺用瀉法) 혹은 삼릉침(三棱鍼)으로 점자방혈(点刺放血)한다. 불구(不灸).
③ 금구리(噤口痢) : 가(加) 중완(RN12), 내정(ST44), 내관(PC6).
중완(족양명 모혈) - 조중(調中). 내관(수궐음 낙혈) - 삼초(三焦)의 역기(逆氣)를 통강(通降)시킨다. 내정(족양명 형혈) - 청설열독(淸泄熱毒). 제혈을 합용하면 설열강탁(泄熱降濁), 화위조중(和胃調中), 호침자용사법(毫鍼刺用瀉法), 정황에 따라 가구(加灸).
④ 한습리(寒濕痢) : 가(加) 족삼리(ST36), 기해(RN6), 음릉천(SP9). 족삼리(족양명 합혈), 음릉천(족태음 합혈), 기해 - 익기건중(益氣健中), 행체화온(行滯化溫). 호침자용보법(毫鍼刺用補法), 가구(可灸).
⑤ 휴식리(休息痢) : 가(加) 비유(BL20), 위유(BL21), 신유(BL23), 관元(RN4).
비유, 위유, 신유와 관원을 배합하면 조보중기(調補中氣), 자생화원(資生化源), 익신고본(益腎固本)한다. 주방 제혈과 상배하면 보익비신(補益脾腎), 소조위장(疏調胃腸)의 기능이 있다. 호침자용보사겸시(毫鍼刺用補瀉兼施), 정황에 따라 가구(加灸).

 

대한침구사협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