症狀別 方劑處方/호흡기계

感氣 治療의 妙方 "마황탕"

초암 정만순 2016. 8. 26. 09:21


感氣 治療의 妙方  "마황탕"



마황탕’ 오한과 열나는 겨울철 감기에 특효

■  이우정 

요즘 계절은 기후 변화로 인해 봄가을은 짧아지는 반면, 여름과 겨울이 길어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런 빠른 기후의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선 그 어느 때보다 올바른 섭생과 운동으로 면역력을 강화하는 것이 요구된다. 그런데 요즘은 화학 첨가제로 가공한 인스턴트식품이나 육류 음식, 그리고 화학 약을 비일비재하게 섭취한 나머지 면역력이 떨어져 계절의 변화에 적응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 결과 겨울철 한기(寒氣)를 이기지 못해 감기에 시달리는 사람이 많다. 이렇게 한기로 인해 감기에 걸리면 오한(惡寒)과 함께 열이 나고, 맑은 콧물이 난다. 또 머리가 지끈거리며, 온몸의 마디마디가 아프게 된다. 예로부터 전통의학에서는 이런 증상을 ‘마황탕(麻黃湯)’으로 다스렸다.
‘마황탕’은 해표제(解表劑)이면서 탕제(湯劑)다. 해표제(解表劑)란 표증(表證)을 치료하는 약으로 사기(邪氣)가 표부(表部)에 있으면서 아직 이부(裏部)로 들어가지 않은 경우에만 사용한다. 해표제는 대부분 가벼워서 날리는 약물이므로 센 불로 급히 달여서 휘발 성분의 손실을 방지해야 한다. 탕제는 몸에 흡수가 잘되고, 잡병 질환 치료에 적합하다. 또한 약물의 가감이 편리하고 변화가 쉬우므로 변증 치료에 가장 적합하다.


◎ 변증(辨證)
병의 증상과 증후를 진단하고 분석하는 과정을 변증(辨證)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오한발열(惡寒發熱), 두신동통(頭身疼痛), 무한이천(無汗而喘), 설태박백(舌苔薄白), 맥부긴(脈浮緊)의 증상이 나타나면 질병의 원인(病因)은 한사(寒邪), 병의 위치(病位)는 체표(體表), 병의 성질은 실증(實證)에 속한다. 즉, 외감풍한(外感風寒)에 의한 표실증(表實證)으로 피부의 털구멍이 막혀서 열은 나지만 땀은 나지 않으며, 진액이 아직 상하지 않았으므로 갈증은 나타나지 않는다. 또한 사기(邪氣)가 아직 속으로 침입하지 않았으므로 혓바닥은 엷은 흰색을 띤다. 그러다 한사(寒邪)가 피부층을 침습하면 사기(邪氣)를 몰아내기 위한 정기(正氣)의 작용으로 맥이 부긴(浮緊)하게 된다. 두통과 기침은 그 외의 주요 증상이다.


◎ 입법(立法)
변증이 되면 처방 약물을 선택해야 하는데, 이를 입법(立法)이라고 한다. 표증(表證)에는 땀을 내는 것이 우선이다. 특히 한사가 원인일 경우에는 온성(溫性) 약물을 사용하고, 기침을 멈추게 하는 신온약(辛溫藥)으로 발한(發汗)과 선폐평천(宣肺平喘)시켜야 한다.


◎ 처방(處方)
입법(立法)이 되면 군약(君藥), 신약(臣藥), 좌약(佐藥), 사약(使藥)의 배합 원칙에 따라 구체적인 약물과 양을 정하게 된다. 이를 처방(處方)이라고 한다. 군약은 질병의 주된 증상에 치료 작용을 강화하는 약물이다. 신약은 군약의 작용을 돕고, 치료 작용을 강화하는 약물이다. 좌약은 군약과 신약을 돕거나, 군약과 신약의 강한 독성을 완화하는 약물이다. 또는 병이 중하고 사기가 심하여 약물을 거부할 때 이를 무마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물이다. 사약은 약물이 병소에 직접 전달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거나, 처방 약물들을 조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약물이다.


◎ 처방례
마황탕
군약 : 마황(麻黃) 6그램
신약 : 계지(桂枝) 4그램
좌약 : 행인(杏仁) 9그램
사약 : 감초(甘草) 3그램
▶ 복용법 : 물로 달여 복용한다.
▶ 처방 해설 : 마황은 성질이 따뜻하여 양기를 돋우고, 한기를 흩어지게 한다. 신맛은 해표(解表)하므로 오로지 폐경(肺經)에 응용하는 약물이다. 또한 선폐평천(宣肺平喘)하므로 주요 증상에 대한 처방에서 군약(君藥)이 된다. 계지는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달아서 온경산한(溫經散寒)하면서 통경통위(通經達衛)하므로 마황를 도와 영혈(營血)과 위기(衛氣)를 통창(通暢)시킨다. 아울러 두신동통(頭身疼痛)을 제거하므로 신약이 된다. 행인은 이폐강기(利肺降氣)하므로 마황을 도와 해수를 멈추게 하고 기침을 가라앉힌다. 감초는 마황과 계지의 지나친 약성을 완화시키고, 마황과 행인의 선강불화(宣降不和)를 조화시키므로 사약이 된다. 구워서 쓰면 한사를 해소하는 데 더 적합하다.
▶ 금기 사항 : 본방(本方)은 신온(辛溫)하므로 병이 좀 더 침투하여 안으로 들어가는 증후에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이런 경우 열이 나거나 갈증이 있고, 맥이 빨라 가슴이 답답하면서 불안하며, 메스꺼운 증상 등이 나타난다.

 <참조 : 『한약 처방의 구성 원리』, 영림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