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반 비위장병 침구 치료법
|
1.구토 ▶개념: 위장의 내용물이 입을 통하여 밖으로 나오는 것을 말한다. 소리를 내면서 위장의 내용물이 나오는 것을 구(嘔), 소리 없이 위장의 내용물만 나오는 것을 토(吐), 소리는 나지만 위장의 내용물이 나오지 않는 것을 건구(乾嘔)라 한다.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이것을 가려내기 힘들므로 함께 묶어 치료하고 있다. 급성 위염 · 위궤양 · 십이지장궤양 · 위경련 · 췌장염 · 담낭염 · 복막염 · 임신 · 정신 이상인 때도 구토증이 있다. 그러므로 반드시 원인 치료를 하면서 위 기능을 조화시켜 구토 증상을 멈출 수 있도록 변증 치료를 한다. 구토는 침뜸으로 잘 해소되지만, 기질적 변화가 심한 질병에는 약물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치료 방법: 족양명위경의 혈들을 위주로 침을 하여 위기(胃氣)를 조화시키고, 구토를 멈추는 작용을 하는 혈들을 배합하여 쓰되, 한성(寒性) 구토에는 유침(留鍼)과 함께 뜸을 뜨고 열성(熱性) 구토에는 유침을 하지 않고 뜸도 뜨지 않는다. 위음(胃陰) 허한증(虛寒證)과 위음 부족증은 보법(補法)을 쓰거나 평보사법(平補瀉法)을 쓰고, 간기울결(肝氣鬱結)은 족궐음간경의 혈을 위주로 사(瀉)해 준다. 중기(中氣)가 허할 때에는 장문과 비유 혈에 뜸을 뜨는 것이 좋다. ▶기본 치료 혈: 중완, 내관, 족삼리, 공손 ▶증상에 따른 가미법: 열증(熱證)이면 합곡 · 내정 혈, 한증(寒證)에는 상완 · 중완 혈, 담음증(痰飮證)에는 전중 · 풍륭 혈, 식상(食傷)으로 구토할 때는 하완 · 선기 혈, 간기울결(肝氣鬱結)이면 양릉천 · 태충 혈, 중기(中氣) 허약으로 구토할 때는 비유 · 장문 혈, 위음(胃陰) 부족증에는 삼음교 · 조해 혈, 열증성(熱證性)으로 구토가 멎지 않으면 금진 · 옥액 혈에 추가로 침을 한다. 헛구역질이 멎지 않는 때는 간사 혈에 뜸을 뜨고, 메스꺼워서 음식을 먹지 못하는 때는 격유 혈에 뜸을 뜬다. ▶처방 풀이: 위의 모혈(募穴)인 중완과 배유혈(背兪穴)인 위유와 하합혈(下合穴)인 족삼리를 배합하여 침을 하면 치밀어 오른 위기를 내리는 효과가 있다. 수궐음경의 낙혈이자 음유맥과의 교회(交會) 혈인 내관 혈은 상초와 중초의 기능을 조화시킨다. 족태음비경의 낙혈이면서 충맥과의 교회 혈인 공손 혈은 중초의 기능을 조화시켜 치밀어 오른 위기를 내려 주며, 상완 혈은 위의 국소 혈로서 여기에 뜸을 뜨면 위가 따뜻해진다. 내정과 합곡 혈은 수소양경의 경기(驚氣)를 사하여 위열을 없애고, 풍륭 혈은 족양명위경의 낙혈로서 비위의 기능을 돕고, 전중 혈은 온몸의 기를 조화시킨다. 선기와 하완 혈은 국소 혈로서 비위의 기능을 돕는 한편, 경기를 조화시켜 체기를 없앤다. 양릉천과 태충 혈은 간담의 경기를 통하게 하여 울결된 간기를 풀고 위기를 조화시킨다. 비유와 장문 혈은 비의 운화(運化) 기능을 돕고 중기를 보하며, 삼음교와 조해 혈은 신기(腎氣)를 돕고 음액을 불려 준다. 2.딸꾹질 ▶개념: 위기가 거슬러 올라 생긴다. 비위가 차거나 위화(胃火)가 성할 때, 또 비신양(脾腎陽)이 허하거나 위음이 부족할 때 위기가 거슬러 올라올 수 있다. 대체로 실증일 때는 딸꾹질 소리가 크고 연속적이며 얼굴과 온몸에 열감이 있을 수 있고, 허증일 때는 소리가 약하고 얼굴이 창백하며 손발이 싸늘하다. 건강한 사람들도 갑자기 몸을 차게 하거나 급하게 식사를 하면 딸꾹질이 나는데 이런 생리적 딸꾹질은 치료하지 않아도 된다. 위염 · 간염 · 췌장염 등 소화기병, 폐렴 등 호흡기질환, 유행성 뇌염 등에 의한 딸꾹질이 있다. 또 복부 수술 후에 생기는 반사성 딸꾹질, 오줌독 · 당뇨병 혼수 · 알코올 중독 등 물질 대사의 이상에 의한 중추 자극성 딸꾹질, 뇌출혈 · 뇌종양 · 간질 · 히스테리 등에 의해서 생기는 신경성 딸꾹질, 심낭 질병 등 횡격막 신경 말초가 자극되어 생기는 자극성 딸꾹질 등 여러 가지가 있다. ▶치료 방법: 족양명위경과 족궐음간경 수궐음심포경의 혈을 위주로 하여 위를 조화시키는 방법으로 치료한다. 위 열증과 간기울결증 등 실증에는 호침으로 사하고, 위음 부족 등 허증에는 보하고, 위 한증과 비신양허증에는 뜸을 뜬다. 딸꾹질에 침 치료는 효과가 있다. 특히 실증에 치료 효과가 크다. 정기(精氣)가 몹시 쇠약해진 경우에는 침 치료 효과가 별로 없다. ▶기본 치료 혈: 격유, 전중, 중완, 내관, 족삼리, 태충 ▶증상에 따른 가미법: 위 한증에는 비유 · 위유, 위 열증에는 내정, 비신양허증에는 비유 · 신유, 위음 부족증에는 삼음교 · 태계, 간기울결증에는 기문 혈에 추가로 침을 한다. ▶처방 풀이: 격유 · 전중 · 내관 혈은 기혈을 잘 돌게 하고, 횡격막 기능을 조화시키고, 위기를 잘 통하게 한다. 중완과 족삼리 혈을 사하면 열을 내리고, 거슬러 오른 위기를 끌어내린다. 보하면 비위가 따뜻해진다. 태충 · 기문 혈은 몰린 간기(肝氣)를 풀고 위기를 통하게 한다. 이 처방은 간기울결을 풀고, 위기를 조화시키고, 구토를 멈추는 작용이 있다. 3.위통 ▶개념: 위 부위 즉 명치 부위의 아픔을 말하는데, 비위가 허한(虛寒)하거나 맺힌 간기(肝氣)가 위에 영향을 주어 생긴다. 비위 허한증인 때는 명치 밑이 은은하게 아프고, 자주 신물이 넘어오고, 트림을 한다. 따뜻한 것을 좋아하며, 위 부위를 덥게 하면 아픔이 덜해진다. 기체에는 명치 부위가 더부룩하면서 아프고, 통증이 옆구리로 뻗치고, 한숨을 자주 쉬며 신물을 게운다. 급성 및 만성 위염, 위궤양, 십이지궤양, 위경련, 췌장염 등의 증상이 있을 때 위통이 생긴다. ▶치료 방법: 간위 불화(기체)로 생긴 위통에는 족궐음경과 족양명경의 혈을 주로 쓰는데 호침으로 사해 준다. 비위 허한성에는 비위의 배유혈과 모혈, 그리고 족양명경의 혈을 많이 쓰는데, 호침으로 보해 주거나 뜸을 병행한다. ▶기본 치료 혈(처방 1): 중완, 족삼리, 기문, 태충, 내관 ▶적응증: 간위 불화로 생긴 위통, 즉 위염 · 위궤양 · 십이지장궤양 · 위하수 · 위경련 등의 위통에 효과가 높다. ▶증상에 따른 가미법: 명치 부위가 묵직하고 헛배가 부른 때는 비유 · 공손 혈, 신물이 올라오는 때는 간유 · 담유 · 구허 혈, 통증이 몹시 심한 때는 양구 혈, 옆구리가 아프면 양릉천 혈에 추가로 침을 한다. ▶처방 풀이: 중완과 족삼리 혈은 위기를 통하게 하여 맺힌 것을 풀어 주고 아픔을 멈추며, 내관과 공손 혈은 가슴이 맺히는 것을 풀어 주고, 기문과 태충 혈은 간기를 통하게 하며 통증을 가라앉힌다. 이와 같이 간기가 잘 통하고 위기가 조화되면 통증이 멎는다. ▶기본 치료 혈(처방 2): 비유, 위유, 장문, 내관, 족삼리 ▶비위 허한성 위통에 적응증이 높다. ▶증상에 따른 가미법: 소화 장애에는 선기 · 공손 혈, 비허 설사에는 천추 · 대장유 혈, 통증이 심하면 양구 혈에 추가로 침을 한다. ▶처방 풀이: 비위의 배유혈인 비유와 위유, 위의 모혈인 중완을 침으로 보하거나 뜸을 뜨면 중초가 따뜻해져 비위의 기능이 좋아지고, 내관과 족삼리 혈은 위기를 조화시켜 위통을 가라앉힌다. 이 처방은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한사(寒邪)를 없애는 작용을 한다. 4.열격 ▶개념: 먹은 음식물이 잘 내려가지 않거나 도로 올라오는 병증이다. 과음과 우울하거나 불쾌한 정서로 담이나 기혈이 흉격에 몰려서 생긴다. 그밖에 약물에 의한 식도 화상이나 피와 진액 부족 등에 의해서도 생길 수 있다. 증상은 목안과 가슴이 막히는 감이 있으면서 답답하고 음식을 먹으려 하여도 넘기기 힘들고 억지로 넘겨도 막혀서 내려가지 않고 토한다. 더 심해지면 가슴이 아프고 몸이 여위며, 음이 부족한 증상들이 나타난다. 식도경련 · 식도염 · 식도암 · 위암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치료 방법: 막힌 것을 열어 주고 위를 조화시키는 방법으로 평보사법을 쓴다. 열격은 침뜸 치료로 효과를 볼 수 있다. 특히 식도경련이나 위경련과 같은 기능적인 장애들은 침 치료에 잘 반응한다. 하지만 식도암과 같이 기질적인 장애에는 그 증상을 좋아지게 할 수는 있지만 완전히 낫게 하기에는 어려우므로 약물 치료를 병행한다. ▶기본 치료 혈(처방 1): 천골, 전중, 격유, 거궐, 내관, 비유, 위유, 족삼리 ▶적응증: 식도경련, 식도염, 위경련 ▶증상에 따른 가미법: 가슴이 몹시 답답하면 격관, 담이 성하면 풍륭에 추가로 침을 한다. ▶처방 풀이: 기(氣)의 회혈(會穴)인 전중과 천돌 혈을 배합하여 치료하면 가슴 속의 기가 잘 돌아 몰린 기가 풀린다. 격유는 혈(血)의 회혈이면서 횡격막의 국소 혈이므로 기를 조화시키고 혈을 잘 돌게 하여 가슴 속에 맺힌 것을 열어 준다. 거궐 혈은 심(心)의 모혈(募穴)이고, 내관 혈은 심포경의 낙혈이며 심포경은 가슴 속으로 순행하므로 이 혈들은 흉격에서 거슬러 오르는 기를 내려 준다. 비유 · 위유 · 족삼리 혈은 비위를 보하고 그 기능을 조화시켜 기혈을 충실하게 하며, 기의 순환을 좋게 하여 담과 어혈을 삭힌다. 이 처방은 흉격이 막힌 것을 열어 주고, 위를 조화시켜 음식물이 잘 내려가게 한다. 5.반위 ▶개념: 위장 안에 들어갔던 음식들이 일정한 시간이 지나서 도로 올라오는 증상이다. 비위가 허하거나 명문의 화가 부족하여 생긴다. 증상은 음식을 먹으면 명치 부위가 불러 오르고 그득하며, 음식을 먹은 다음 1~2시간 또는 여러 시간 지나서 게운다. ▶치료 방법: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비위의 기능을 조화시키는 방법으로 족양명위경과 임맥의 혈들을 주로 쓰며 평보사법으로 치료한다. 뜸을 뜨는 것도 좋다. 위무력증이나 위경련의 침 치료는 효과가 좋으나, 기질적 변화로 오는 반위에는 효과가 좋지는 않다. ▶기본 치료 혈: 중완, 위유, 장문, 비유, 기해, 족삼리, 중괴 ▶적응증: 위경련, 위 종양, 위 무력증 ▶증상에 따른 가미법: 위통에는 이내정, 구토가 멎지 않는 데는 노궁에 침을 추가로 한다. ▶처방 풀이: 중완과 위유, 장문과 비유는 유모배혈(兪募配穴)로서 보법을 쓰면 비를 보하고, 위를 조화시키고, 중초를 따뜻하게 하고, 한사를 없앤다. 기해와 족삼리 혈은 위기를 잘 돌게 하여 치미는 것을 내리며, 중괴는 경외기혈로서 위기를 조화시켜 구토하는 것을 멎게 한다. 이 처방은 위기를 조화시켜 치미는 것을 멈추는 화위(和胃) 작용이 있다. 6.복통 ▶개념: 일반적으로 배 안의 장기에 이상이 있을 때 생기는 배 아픔을 말한다. 위장의 병으로 생기는 아픔은 윗배에 국한되므로 위통으로 취급하고, 배알에 병이 있을 때에 생기는 아픔과 여성 자궁질환으로 인한 통증은 가운데 배와 아랫배에 국한되므로 이것만을 복통으로 취급한다. 대체로 날씨가 차거나 몸을 차게 할 때 배가 더 아프고, 몸을 덥게 하면 아픔이 덜어지는 경향이 있다. 입안이 마르지 않으며 설태(舌苔)가 얇고 흰 것은 한증이고, 아픔이 갑자기 있었다가 갑자기 멎는 경향이 있으면서 갈증이 있고 변비가 있으며 설태가 누런 것은 열증이다. 배가 아플 때 누르면 더 아프거나 누르는 것을 싫어하는 것은 실증이고, 누르면 아픔이 덜어지거나 멎는 것은 허증이다. 아픈 곳이 일정하지 않은 것은 기체이고, 찌르는 듯이 아프면서 고정되어 있는 것은 어혈증이다. 예전에 복통은 섭생 잘못, 기체, 담음, 어혈, 기생충 등에 의해 생긴다고 보았다. 급성 위장염 · 소대장염 · 장 경련 · 췌장염 · 급성 맹장염 · 장 불통증 · 성기 질병 등이 있을 때 복통이 있을 수 있다. ▶치료 방법: 한성 복통에는 임맥과 족태양경과 족양명경의 혈들에 호침으로 사(瀉)하거나 신궐 혈에 뜸을 뜬다. 허한성 복통에는 해당되는 배유혈과 임맥 · 족태음경 · 족양명경의 혈들에 호침으로 보하거나 뜸을 뜨고, 실열증(實熱證)에는 침을 놓고 강자극을 준다. 음식 섭생을 잘 하지 못하여 생긴 복통에는 임맥과 족태음경과 족양명경의 혈들을 사하거나 뜸을 같이 뜰 수 있다. 복통에 대한 침뜸 치료의 효과는 좋다. 그러나 복통에 대하여 침뜸 치료를 할 때는 반드시 치료 대상을 정확히 선정한 조건에서 해야 한다. 장 불통증이나 천공성 질병에 진통 치료를 먼저 하면 진단이 곤란할 수 있고, 나쁜 결과를 가져 올 수 있다. 또한 복통시의 침뜸 치료는 반드시 원인 치료와 병행해야 한다. ▶기본 치료 혈(처방 1): 중완, 신궐(뜸), 관원(뜸), 족삼리, 공손 ▶적응증: 냉한 복통(장 경련 위장염으로 인한 복통) ▶증상에 따른 가미법: 배가 몹시 아프면 기해 · 삼음교, 설사하는 데는 천추 · 대장유, 식적(食積)에는 이내정 · 선기에 침을 추가로 한다. ▶처방 풀이: 중완 · 족삼리 · 공손 혈은 위장의 기능을 조화시켜 건비화위(健脾和胃)하고, 신궐과 관원 혈에 뜸을 떠서 하초의 원기를 보하고, 하초를 덥게 해서 복통을 멈추게 한다. ▶기본 치료 혈(처방 2): 비유, 위유, 중완, 기해, 장문, 족삼리 ▶적응증: 비양(脾陽) 부족으로 생기는 허한성 복통(만성 소대장염이나 스트레스로 인한 복통) ▶증상에 따른 가미법: 복통이 발작적으로 나타날 때는 신궐 · 내정, 설사를 하면 천추 · 대장유에 침을 하는 것을 추가한다. ▶처방 풀이: 비위의 배유혈과 모혈인 비유 · 위유 · 중완 · 장문 혈은 비위의 양기를 북돋아 주고 기해와 족삼리 혈은 소화 기능을 도와 준다. 이 처방은 온중건비(溫中健脾)하는 작용이 있다. ▶기본 치료 혈(처방 3): 중완, 기해, 족삼리, 선기, 이내정 ▶적응증: 먹은 음식물이 내려가지 못하여 생긴 습열 복통(급성 위 · 소 · 대장염, 췌장염, 장 불통증폐으로 오는 복통) ▶증상에 따른 가미법: 헛배가 부르면 비유 · 위유, 입이 마르면 내정, 역한 냄새가 나는 트림이 나거나 신물이 넘어오면 구허 · 공손에 침을 추가로 한다. ▶처방 풀이: 중완 · 족삼리 · 천추 기해 혈은 위장 기능을 조화시켜 음식을 소화시키고 체기를 풀어 주며, 선기 · 이내정 혈은 식체를 치료하는 경험 혈이다.. |
'病症別 鍼處方 > 비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화성궤양(消化性溃疡) (0) | 2016.08.12 |
---|---|
위하수(胃下垂) (0) | 2016.08.12 |
식욕 상실 해소의 특효 혈과 치료법 (0) | 2016.07.28 |
역류성 식도염의 핵심 원리와 특효방 (0) | 2016.07.26 |
소화불량 (0) | 2016.02.06 |